KR100671065B1 -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065B1
KR100671065B1 KR1020060085356A KR20060085356A KR100671065B1 KR 100671065 B1 KR100671065 B1 KR 100671065B1 KR 1020060085356 A KR1020060085356 A KR 1020060085356A KR 20060085356 A KR20060085356 A KR 20060085356A KR 100671065 B1 KR100671065 B1 KR 10067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ire
ceiling
coupled
wire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08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 부재를 통해 전선이 통과하며,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하거나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할 수 있고,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거나 천정면(7100)에 결합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내부 관통구나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5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1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는 경우 사용되는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선형부재의 한 쪽 단부는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봉부(7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면(7100)과 결합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폭방향으로 연이어서 접하도록 형성된 경우 사용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 사이의 아래 부분의 개방 부위를 막아 주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측면부위를 통해 상기 전선(5100)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선.

Description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Electric wire fixing block assembly}
도 1은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전선 통과 블럭부(100), 블럭 연결봉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전선 통과 블럭부(100)를 보여주되, 단부에서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선 통과 블럭부 101 : 블럭부 몸체부
110 : 블럭부 상부면부 120 : 천정면 결합 관통구부
150 : 천정 달대 결합 암나사부 160 :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
170 : 블럭부 하부 오목부 180 : 연결판 결합 암나사부
190 : 전선 통과 관통구 500 : 블럭 연결판부
501 : 블럭 연결판부 몸체부 520 : 블럭 연결판부 암나사부
700 : 블럭 연결봉부 710 : 연결봉부 수나사부
720 : 연결봉부 암나사부 900 : 천정결합나사
910 : 블럭부결합나사 2100 : 천정 달대
2190 : 천정 달대 단부 수나사부 5100 : 전선
7100 : 천정면 9100 : 인서트
본 발명은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거나 천정면(7100)에 결합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내부 관통구나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5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1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는 경우 사용되는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선형부재의 한 쪽 단부는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봉부(7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면(7100)과 결합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폭방향으로 연이어서 접하도록 형성된 경우 사용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 사이의 아래 부분의 개방 부위를 막아 주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측면부위를 통해 상기 전선(5100)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5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블럭 부재를 통해 전선이 통과하며,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하거나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할 수 있고,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배선되는 전선은 구조물 사이를 구조물에 인접하여 통과하게 된다. 전선의 배선을 잘 가이드해 주고 안정되게 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돕는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할 수 있거나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 부재를 통해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통과 블럭부(100), 블럭 연결봉부(700), 블럭 연결판부(500) 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1에서는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나란히 인접해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천정면(7100)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와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전선 통과 블럭부(100), 블럭 연결봉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서는 전선(5100)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전선 통과 블럭부(100)를 보여주되, 단부에서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나사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산 부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거나 천정면(7100)에 결합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내부 관통구나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5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1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는 경우 사용되는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선형 부재의 한 쪽 단부는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봉부(7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면(7100)과 결합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폭방향으로 연이어서 접하도록 형성된 경우 사용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 사이의 아래 부분의 개방 부위를 막아 주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측면부위를 통해 상기 전선(5100)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블럭부 몸체부(101)의 상부 부위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플랜지 부위로 형성되는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부 플랜지부(160) 밑으로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 양 측면부위가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의 내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는 상기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의 가장자리 부위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면(7100) 내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9100)와 함께 나사 부재인 천정결합나사(90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를 상기 천정면(7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천정면 결합 관통구부(120), 상기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의 상부면인 블럭부 상부면부(11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 결합 암나사부(150),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는 전선 통과 관통구(190),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의 밑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내에 형성된 암나사산 부위와 함께 나사 부재인 블럭부결합나사(91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를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의 밑면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연결판 결합 암나사부(18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블럭 부재인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상기 전선 통과 관통구(190)로 상기 전선(5100)이 통과한다.
따라서, 블럭 부재를 통해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천정결합나사(900)에 의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천정면 결합 관통구부(120)와 상기 천정면(7100) 내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9100)가 함께 결합하면서, 블럭 부재인 상기 전선(5100)을 통과시키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면(7100)에 직접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는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의 상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부 표면으로부터 몸체 내부로 홈이 파여지되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 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2100)의 단부의 수나사 부위인 천정 달대 단부 수나사부(2190)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부 암나사부(720),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의 하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부 암나사부(720)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위의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상부 표면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암나사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부 수나사부(7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블럭부재인 상기 전선(5100)을 통과시키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에 의해 상기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는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 몸체부(501)의 가장자리 부위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밑면에 형성된 암나사산 부위와 함께 나사 부재인 나사 부재인 블럭부결합나사(91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를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밑면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 암나사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상기 전선 통과 관통구(190)로 상기 전선(5100)이 통과한다.
또한, 추가되는 전선으로 블럭 부재인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상기 전선 통과 관통구(190)에 수용되지 못하는 상기 전선(5100)은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측면 부위를 통해 추가되는 상기 전선(5100)이 통과한다.
따라서,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천정면(7100)에 직접 결합 되기도 하지만, 벽체면에 결합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블럭 부재를 통해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면에 직접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전선이 통과하는 블럭 부재가 천정 달대(2100)에 결합하게 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블럭 부재의 내부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는 전선은 상기 블럭 부재의 측면 부위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거나 천정면(7100)에 결합하는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내부 관통구나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5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1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는 경우 사용되는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선형부재의 한 쪽 단부는 상기 천정 달대(2100)와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봉부(700);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천정면(7100)과 결합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가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폭방향으로 연이어서 접하도록 형성된 경우 사용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 사이의 아래 부분의 개방 부위를 막아 주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측면부위를 통해 상기 전선(5100)을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5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는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블럭부 몸체부(101)의 상부 부위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플랜지 부위로 형성되는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블럭부 플랜지부(160) 밑으로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 양 측면부위가 상기 블럭부 몸체부(101)의 내부로 오목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는
    상기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의 가장자리 부위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면(7100) 내에 매립되어 있던 인서트(9100)와 함께 나사 부재인 천정결합나사(90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를 상기 천정면(7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천정면 결합 관통구부(120);
    상기 블럭부 상부 플랜지부(160)의 상부면인 블럭부 상부면부(11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천정 달대 결합 암나사부(150);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는 전선 통과 관통구(190);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의 밑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내에 형성된 암나사산 부위와 함께 나사 부재인 블럭부결합나사(91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를 상기 블럭부 하부 오목부(170)의 밑면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연결판 결합 암나사부(18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선 통과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는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의 상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부 표면으로부터 몸체 내부로 홈이 파여지되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 달대(2100)의 단부의 수나사 부위인 천정 달대 단부 수나사부(2190)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부 암나사부(720);
    상기 블럭 연결봉부(700)의 하부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부 암나사부(720)와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위의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상부 표면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암나사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봉부 수나사부(71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블럭 연결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는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 몸체부(501)의 가장자리 부위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밑면에 형성된 암나사산 부위와 함께 나사 부재인 나사 부재인 블럭부결합나사(910)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블럭 연결판부(500)를 상기 전선 통과 블럭부(100)의 밑면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 암나사부(5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블럭 연결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KR1020060085356A 2006-09-05 2006-09-05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KR10067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56A KR100671065B1 (ko) 2006-09-05 2006-09-05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56A KR100671065B1 (ko) 2006-09-05 2006-09-05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065B1 true KR100671065B1 (ko) 2007-01-19

Family

ID=3801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356A KR100671065B1 (ko) 2006-09-05 2006-09-05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08B1 (ko) * 2008-08-22 2009-08-31 (주)신영전력기술단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711A (ja) * 1995-12-18 1997-06-30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布設方法
KR0124505Y1 (ko) * 1995-02-24 1998-12-15 김기찬 케이블 배선용 랙
KR200193397Y1 (ko) 2000-02-01 2000-08-16 김인태 분배전반의 전력선 지지장치
KR20030030396A (ko) * 2001-10-10 2003-04-18 박종윤 배선 정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505Y1 (ko) * 1995-02-24 1998-12-15 김기찬 케이블 배선용 랙
JPH09172711A (ja) * 1995-12-18 1997-06-30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布設方法
KR200193397Y1 (ko) 2000-02-01 2000-08-16 김인태 분배전반의 전력선 지지장치
KR20030030396A (ko) * 2001-10-10 2003-04-18 박종윤 배선 정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08B1 (ko) * 2008-08-22 2009-08-31 (주)신영전력기술단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53B1 (ko)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US20020036906A1 (en) Enhancements for a suspension, coupling and alignment system and passage for electrical energy cables for fluorescent luminaires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10574007B2 (en) Busway stab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20220384968A1 (en)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cable tray with such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protective conductor set
KR100671065B1 (ko)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110110410A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20034565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20130004201U (ko)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KR20180097951A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EP2874167A1 (en) Junction box and contactor device
JP5917451B2 (ja) 配線ボックス
KR101104692B1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의 절연체구조
CN220692758U (zh) 一种接线盒及建筑结构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KR102668782B1 (ko) 다세대주택용 적산전력계의 전력선 접속 방법
KR20150102429A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
KR200446512Y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200252766Y1 (ko) 배선 덕트
KR102668784B1 (ko)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