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529B1 - 배선용 터미널 박스 - Google Patents

배선용 터미널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529B1
KR100968529B1 KR1020100010306A KR20100010306A KR100968529B1 KR 100968529 B1 KR100968529 B1 KR 100968529B1 KR 1020100010306 A KR1020100010306 A KR 1020100010306A KR 20100010306 A KR20100010306 A KR 20100010306A KR 100968529 B1 KR100968529 B1 KR 10096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ring
connector
insertion hole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종
문승수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명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주식회사 명도전기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선용 커넥터에 가해지는 외부충격 등에 대하여 연결부위에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배선연결 작업시 분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뚜껑(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 한 쌍을 부착한 프레임(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배선삽입홀(7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터미널단자(5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외벽에 형성되어 분기선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커넥터삽입홀(60)과 케이스(10)의 외벽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선의 일부가 삽입되는 배선삽입홀(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선용 터미널 박스{JOINING TERMINAL BOX}
본 발명은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으로, 바닥 또는 천정에 전력선 배선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전력선의 분기 또는 배선이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충격에 의해 결합된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천정 또는 바닥배선을 위한 배선작업시 하나의 본선으로부터 다수개의 전력선을 분기할 때, 단순히 전선의 피복을 박피하고 박피된 동선에 바로 결속하는 형태가 쓰였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연결방법은 다수개의 전선을 동시에 연결하게 되면 연결부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피복을 마감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배선용 전력선을 분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장치의 경우 전력선의 단부의 전선을 박피하고 그 일부를 내삽하여 결속하는 형태가 쓰이고 있어서, 현장시공시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커넥터를 이용한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연결부위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선을 위한 커넥터의 접합부가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의 연결부재간의 배선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뚜껑(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 한 쌍을 부착한 프레임(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배선삽입홀(7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터미널단자(5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외벽에 형성되어 분기선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커넥터삽입홀(60)과 케이스(10)의 외벽 일측에 형성되어 분기선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배선삽입홀(70)로 구성되며, 케이스(10)를 작업공간에 설치할 때, 설치되는 곳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켜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거치대(80)가 더 구비되어 완성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전력선의 분기작업 등의 배선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커넥터 등의 연결부재에 외부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연결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접촉면이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기 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합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와 커넥터의 연결을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또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와 커넥터의 연결을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또 다른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는, 케이스(10), 뚜껑(20), 연결부재(30), 프레임(40), 터미널단자(50), 커넥터삽입홀(60), 배선삽입홀(70), 거치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외벽에는 분기선(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커넥터삽입홀(60)이 형성되며, 외부 배선(90)이 삽입되는 배선삽입홀(7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측에 터미널단자(50) 및 한 쌍의 연결부재(30)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40)이 결합되며, 배선으로 결선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단자(50)는 배선삽입홀(70)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한 쌍의 연결부재(50)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40)은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전력선(9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선될 때, 상기 터미널단자(50)를 통하여 결선되기 때문에 상기 전력선(90)과 결선이 용이하도록 배선삽입홀(7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연결부재(50)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40)도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한 쌍의 연결부재(30)가 부착된 프레임(40)을 결합하게 되는 것은,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내부 배선연결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10)에 결합하기 전에 프레임(40)에 한 쌍의 연결부재(30)를 결합하고 배선작업후 케이스(10)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40) '┛'형태 또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한 쌍의 연결부재(30)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에 한 쌍의 연결부재(30)가 부착된 프레임(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40)의 형상은 분기선(100)의 위치에 따라 '┛'형태가 쓰이기도 하고, '┗┛'형태가 쓰이기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분기선(100)이 평행하게 위치할 경우, '┛'형상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 쌍의 연결부재가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한 쌍의 분기선(10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형상의 프레임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케이스(10)와 접하는 한 쌍의 분기선(100)의 결속위치에 따라 정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거치대(80)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를 현장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거치대는 케이스(10)를 설치되는 곳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켜 외부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80)는 케이스(10)의 하단부에 볼트(82)를 이용하여 체결되는데, 상기와 같은 거치대(80)의 일측에 형성된 레일홈(81)에 볼트(82)를 삽입한 후 케이스(10)에 거치대(8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홈(81)은 거치대(80)의 종측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형성된다. 이는 거치대(80)를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거치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거치대(80)의 종측방향으로 길게 천공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와 커넥터의 연결을 도시한 결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와 커넥터의 연결을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3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커넥터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커넥터(100)는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삽입홀(60)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00)의 일부분만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100)가 케이스(10)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이유는, 한 쌍의 연결부재(30)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40)이 케이스(10)의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연결부재(30)와 커넥터(100)의 연결부위가 케이스(10)의 외벽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넥터(100)의 일부분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내삽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외벽에 의해 커넥터(100)의 일부분이 지지되기 때문에, 커넥터(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삽입홀(60)에는 커넥터지지대(61)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커넥터지지대(61)는 커넥터가 삽입될 때, 보다 넓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면형상의 판으로 형성된다. 이는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삽입홀(60)이 천공된 홀 형상으로 형상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삽입홀(60)의 단면이 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100)가 내삽되고 커넥터삽입홀(60)의 단면에 거치될 때, 선형상으로 거치되는 것보다 면형상의 커넥터지지대(6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예로, 상기 커넥터(100)와 결합되어 있는 외부 전력선의 자중 등에 의해 커넥터(100)가 연결부재(3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100)가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일부분 삽입되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외부요인에 의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요인이란, 물기 등의 요인을 말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프레임(4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30)는 배전을 위한 전력선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넥터(1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0) 한 쌍을 프레임(40)의 일측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40)은 '┛'형태 또는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판에 한 쌍의 연결부재(30)를 각각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프레임(40)의 측면판에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재(30)를 부착한 프레임(40)을 케이스(10)의 외벽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케이스(10)의 내측에 부착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40)의 바닥판을 케이스(10)에 밀착시킨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30)는 프레임(40)에 부착될 때, 배선연결을 통하여 결선되게 된다. 이는 통상의 터미널박스 등이 각각의 구성품을 부착한 후 내부 배선작업을 하기 때문에, 배선상태가 복잡하거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0)에 한 쌍의 연결부재(30)를 부착하고 배선작업을 완료한 후, 연결부재(30)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40)을 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30)는 결합구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거나, 각각의 연결부재(30)의 결합구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재(30)는 결합구의 방향을 커넥터삽입홀(60)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의 외벽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인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분기선(100)이 평행하게 배치되면, 한 쌍의 연결부재(30)의 결합구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한 쌍의 분기선(10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한 쌍의 연결부재(30)의 결합구의 방향의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는 하나의 전력선(9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개의 전력선으로 분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선용 터미널 박스의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선삽입홀(70)에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90)의 일부분이 내삽되고, 박피된 전선을 터미널단자(5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단자(50)에 전력선(90)이 결선되면, 상기 터미널단자(50)와 한 쌍의 연결부재(30)도 내부 배선으로 결선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연결부재(30)이 전력선(90)과 결선된 후, 분기선(110)의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100)를 연결부재(30)에 결합하여 분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기선(110)은 단순히 커넥터(100)를 연결부재(3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천정 또는 바닥에 전력선 배선작업을 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사시 노후화된 배선을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10 : 케이스 20 : 뚜껑
30 : 연결부재 40 : 프레임
50 : 터미널단자 60 : 커넥터삽입홀
70 : 배선삽입홀 80 : 거치대

Claims (8)

  1. 건물 내부의 배선작업시 사용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 있어서,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뚜껑(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커넥터삽입홀(6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 한 쌍을 부착하고, 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될 때, 커넥터삽입홀(60)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의 외벽과 이격되어 결합되며, '┛'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배선삽입홀(7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터미널단자(5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측면 외벽에 형성되어 분기선의 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커넥터삽입홀(60)과;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측면 외벽에 형성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배선의 일부가 삽입되는 배선삽입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거치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80)의 일측에는 종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천공된 레일홈(8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삽입홀(60)에는 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커넥터지지대(6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30)는 결합구의 방향이 커넥터삽입홀(60)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의 외벽쪽으로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프레임(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터미널 박스.
KR1020100010306A 2010-02-04 2010-02-04 배선용 터미널 박스 KR10096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306A KR100968529B1 (ko) 2010-02-04 2010-02-04 배선용 터미널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306A KR100968529B1 (ko) 2010-02-04 2010-02-04 배선용 터미널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29B1 true KR100968529B1 (ko) 2010-07-09

Family

ID=4264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306A KR100968529B1 (ko) 2010-02-04 2010-02-04 배선용 터미널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83Y1 (ko) *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20020017383A (ko) * 2000-08-30 2002-03-07 윤종용 입력 저전압 보호회로
KR200274778Y1 (ko) * 2002-02-06 2002-05-09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20020074778A (ko) * 2001-03-22 2002-10-04 이정수 인서트 드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83Y1 (ko) *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20020017383A (ko) * 2000-08-30 2002-03-07 윤종용 입력 저전압 보호회로
KR20020074778A (ko) * 2001-03-22 2002-10-04 이정수 인서트 드릴
KR200274778Y1 (ko) * 2002-02-06 2002-05-09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0905762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US11664611B2 (en)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cable tray with such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protective conductor set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US9692221B2 (en) Junction box and contactor device
JP5120078B2 (ja) 住宅の断熱構造
KR100968115B1 (ko)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200451748Y1 (ko)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20100058388A (ko)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JP7212879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の止水構造及び止水方法
JP5215910B2 (ja) 配線ダクト
CN202262161U (zh) 电子装置的封装盒
CN211666080U (zh) 一种轻质隔墙电气预埋结构
JP5154259B2 (ja) 電気機器のアダプタ
KR100744465B1 (ko) 건축물 층간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6756183B2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458673Y1 (ko) 전선관로용 격리대 설치구조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CN209963675U (zh) 一种组合式线槽
KR200258011Y1 (ko) 단자용 함체
JP2019068499A (ja) 充電設備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