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017Y1 -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17Y1
KR200288017Y1 KR2020020017420U KR20020017420U KR200288017Y1 KR 200288017 Y1 KR200288017 Y1 KR 200288017Y1 KR 2020020017420 U KR2020020017420 U KR 2020020017420U KR 20020017420 U KR20020017420 U KR 20020017420U KR 200288017 Y1 KR200288017 Y1 KR 200288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wiring box
piece
electrical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태
Original Assignee
(주)상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진전기 filed Critical (주)상진전기
Priority to KR202002001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1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에 전기를 배선하기 위하여 거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전기스위치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지지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써, 지지바의 각 체결공에 배선박스본체를 용이하게 설치해 줄 수 있고, 지지바의 각 체결공에 배선박스본체를 설치해 주게 되면 인접하는 배선박스끼리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바의 내측면에 철근을 고정시켜 주면 철근도 거푸집의 내면과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간격으로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지지바를 배선박스본체에 견실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시키더라도 지지바가 탈락하거나 지지바에 고정된 철근의 위치가 변형되거나 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법에 부합되도록 건축을 시공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A electric wiring box}
본 고안은 건물에 전기를 배선하기 위하여 거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전기스위치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지지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매입배선박스로만 되거나 매입배선박스에 덮개를 덮어주도록 된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에서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외면에 한 쌍씩의 고정받침편을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고정받침편에 지지바를 통상의 볼트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각종 건물을 시공할 때에 전기공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내부에는 매입형 전기배선박스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고 각 전기배선박스의 배선관연결구에는 배선관을 연결시켜주게 되며, 거푸집의 내부에는 철근을 거푸집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거푸집의 내부에 전기배선박스를 설치할 때에 철근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선박스본체의 외면에 고정받침편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볼트스크류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거푸집과 인접하게 되는 철근을 건축법의 규정에 부합되도록 보다 용이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배선박스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본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140146호로 선 등록된 덮개가 있는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와 의장등록 제155983호로 선 등록된 매입형 전기배선박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1a 및 도 2a를 참조하여설명한다. 종래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배선박스본체(3)(3-1)의 전면에 덮개(4)(4-1)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배선박스본체(3)(3-1)의 측면에는 배선관(8)을 배선하여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배선관연결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양측에는 상기 배선과연결구(5)와 교차되도록 간격유지결합편(6)과 철근결합편(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전기배선박스는 거푸집과 같이 매우 좁은 공간에 설치해 주어야 하는데, 인접하는 전기배선박스의 각 간격유지결합편 끼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시켜 전기배선박스 끼리의 간격을 규정에 맞도록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철근결합편(7)에 결합되는 철근에 의해서는 횡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지지해 줄 수 있었다. 그러나,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지지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하여 거푸집의 내면과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거푸집과는 규격에 맞게 설치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23959호 "매입형전기배선박스의 고정구"를 고안하였다.
이는 배선관연결구(5)가 형성된 배선박스본체(3)(3-1)의 상면과 저면에 고정편을 이격 형성하여 고정공이 뚫어진 고정판을 삽입 결합시켜 주거나, 또는 상면과 저면에 고정판을 볼트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편에 고정판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도록 한 것은 결합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시킬 때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충격에 의해 고정판이 고정편에서 탈락할 염려가 있고, 고정판이 탈락하게 되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이 거푸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 못하여 건축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면과 저면에 고정판을 고정시켜 주도록 하는 것은 고정판을 지지해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판을 고정시켜 주기가 용이치 못하였고, 고정판도 평행하게 고정시켜 줄 수 없었으며,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도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고정시켜 줄 수 없게 되는 폐단을 야기 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배선박스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하나 또는 한 쌍의 배선관연결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 덮개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상면과 저면의 양측에는 체결공이 뚫어진 고정받침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바에는 체결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뚫어지는 한 쌍씩의 체결공을 등간격으로 뚫어주며, 지지바에 뚫어진 체결공을 고정받침편에 뚫어진 체결공과 일치시켜 통상의 볼트스크류에 의해 지지바를 고정받침편에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바를 전기배선박스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항상 일정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주더라도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지지바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된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배선박스의 상면과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지지바에 철근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철근을 보다 견실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고, 철근과 거푸집과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철근을 건축법의 규정에 부합되도록 용이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전기배선박스본체(3)(3-1)의 상면과 저면에 하나 또는 한 쌍의 배선관연결구(5)(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 덮개(4)(4-1)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연결구(5)(5-1)가 형성된 상면과 전면의 양측에는 고정받침편(13)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통상의 볼트스크류(12)에 의해 지지바(10)를 고정받침편(13)에 고정시켜서 주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의 전기배선박스(1)(2)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를 보인 사시 도 및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지지바를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시킨 상태의 각기 다른 실 시 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전기배선박스 3. 배선박스본체 4. 덮개
5. 배선관연결구 6. 간격유지결합편 7. 철근결합편
10. 지지바 11.14. 체결공 13. 고정받침편
15. 지지편 16. 지지덧판 17. 환상요홈
18. 착탈구 20. 철근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 결합형의 전기배선박스(1)(2)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1a 및 도 1b는 전기배선박스(1)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다른 전기배선박스(2)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f는 고정받핌편에 지지바를 고정시키는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 결합형의 전기배선박스(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배선박스본체(3)의 개방부에 덮개(4)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배선박스본체(3)에서 4개의 외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외면에 한 쌍식의 배선관연결구(5)를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였고, 저면의 양측에는 간격유지결합편(6)과 철근결합편(7)을 배선연결구(5)와는 교차되게 형성하되 간격유지결합편(6)을 중앙에 형성하고 그 양측에 철근결합편(7)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 전기배선박스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기배선박스(1)에서 배선관연결구(5)가 형성된 면의 양측 단부에는 체결공(14)이 뚫어진 고정편(13)을 일체로 형성하되 고정편(13)의 상면을 배선관연결구(5)의 외주 상단과 동일수평선상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편(13)에는 사각기둥형 또는 원기둥형 등으로 형성된 지지바(10)를 통상의 볼트스크류(12)에 의해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바(10)에는 한 쌍의 체결공(11)을 한 조로 하여 각 고정편(13)에 뚫어진 체결공(14)과 일치하도록 동일간격으로 뚫어주되 한 쌍의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를 등간격(d1)으로 유지시켜 주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 결합형의 다른 전기배선박스(2)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배선박스본체(3-1)의 개방부에 덮개(4-1)를 결합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배선박스본체(3-1)에서 4개의 외면에서 좁은 면적의 외면 중앙에 하나의 배선관연결구(5)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저면의 양측에는 간격유지결합편(6)과 철근결합편(7)을 배선연결구(5)와는 교차되게 형성하되 간격유지결합편(6)을 중앙에 형성하고 그 양측에 철근결합편(7)을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 전기배선박스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기배선박스(2)에서 배선관연결구(5)가 형성된 면의 양측 단부에는 체결공(14)이 뚫어진 고정편(13)을 일체로 형성하되 고정편(13)의 상면을 배선관연결구(5)의 외주 상단과 동일수평선상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편(13)에는 사각기둥형 또는 원기둥형 등으로 형성된 지지바(10)를 통상의 볼트스크류(12)에 의해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바(10)에는 한 쌍의 체결공(11)을 한 조로 하여 각 고정편(13)에 뚫어진 체결공(14)과 일치하도록 동일간격으로 뚫어주되 한 쌍의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를 등간격(d1)으로 유지시켜 주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배선박스본체(3)(3-1)에 형성되는 고정받침편(13)의 각기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a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기본형을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2a에 예시된 받침고정편(13)과 동일하게 형성하였고, 도 3b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기본형으로 형성된 받침고정편(13)의 상면 외측부에 지지편(15)을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ㄴ"형으로 형성하였으며, 도 3c에 예시된것은 받침고정편(13)의 상측에 지지덧판(1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지지바(1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형성하여 받침고정편(13)과 지지덧판(16)과의 사이에 유입구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였다.
도 3d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도 3c에 예시된 고정편을 변형시켜서 된 것으로써, 받침고정편(13)의 상측에 지지바(1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덧판(1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지지덧판(16)의 선단과 받침고정편(13)의 선단을 지지편(15)으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도 3e에 예시된 것은 도 3b에 예시된 고정받침편에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지지바(10)를 안치하고 통상의 볼트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f에 예시된 고정받침편은 받침고정편(13)에 착탈구(18)가 외측으로 뚫어지는 결속요홈(17)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써, 상기 결속요홈(17)은 환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도시된바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되거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바와 같은 사각기둥형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된 지지바(10)를 장착하여 볼트스크류(12)에 의해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전기배선박스(1)(2)를 거푸집(9)전기배선박스(1)(2)의 내부에 설치해 주기 위해서는 지지바(10)에 전기배선박스(1)(2)를 먼저 결합시켜 주어야한다.
지지바(10)에 전기배선박스(1)(2)를 결합시켜 주는 방법으로는 도 3a 내지도 3f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고정시켜 준다.
도 3a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기본형을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2a에 예시된 받침고정편(13)과 동일하게 형성한 것으로써, 받침고정편(13)의 상면에 지지바(10)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3b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기본형으로 형성된 받침고정편(13)의 상면 외측부에 지지편(15)을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ㄴ"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써, 받침고정편(13)에 지지바(10)를 안치시키게 되면 지지바(10)는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편(15)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3c에 예시된 것은 받침고정편(13)의 상측에 지지덧판(1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지지바(1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형성하여 받침고정편(13)과 지지덧판(16)과의 사이에 유입구가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으로써, 받침고정편(13)과 지지덧판(1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지지바(10)를 삽입시키고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 또는 배선박스본체(3)(3-1)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3d에 예시된 받침고정편은 도 3c에 예시된 고정편을 변형시켜서 된 것으로써, 받침고정편(13)의 상측에 지지바(1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지지덧판(1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지지덧판(16)의 선단과 받침고정편(13)의 선단을 지지편(15)으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으며, 받침고정편(13)과 지지덧판(16)과 지지편(1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지지바(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 또는 배선박스본체(3)(3-1)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3e에 예시된 것은 도 3b에 예시된 고정받침편에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지지바(10)를 안치한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 또는 배선박스본체(3)(3-1)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도 3f에 예시된 고정받침편은 받침고정편(13)에 착탈구(18)가 외측으로 뚫어지는 결속요홈(17)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써, 착탈구(18)를 통하여 지지바(10)를 결속요홈(17)에 삽입 장착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스크류(12)를 이용하여 지지바(10)를 받침고정편(13) 또는 배선박스본체(3)(3-1)에 고정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지지바(10)에 뚫어진 체결공(11)들에 전기배선박스(1)(2)를 설치해주게 되면 인접하는 전기배선박스(1)(2)끼리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d1)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바(10)에 배선박스본체(3)(3-1)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거푸집(9)의 내측에 전기배선박스(1)(2)를 설치해주게 되는데, 인접하는 전기배선박스(1)(2)끼리는 일정한 간격(d1)이 유지되어지며, 지지바(10)의 내측면에는 도시된바와 같이 수직으로 유지되는 철근(20)을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지지바(10)에 고정되는 철근(20)은 거푸집(9)과는 일정한 간격(d2)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바의 각 체결공에 배선박스본체를 용이하게 설치해 줄 수 있고, 지지바의 각 체결공에 배선박스본체를 설치해 주게 되면 인접하는 배선박스끼리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바의 내측면에 철근을 고정시켜 주면 철근은 거푸집의 내면과는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간격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게 되며, 지지바를 배선박스본체에 견실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시키더라도 지지바가 탈락하거나 지지바에 고정된 철근의 위치가 변형되거나 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법에 부합되도록 건축을 시공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전기배선박스본체(3)(3-1)의 상면과 저면에 하나 또는 한 쌍의 배선관연결구(5)(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 덮개(4)(4-1)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연결구(5)(5-1)가 형성된 상면과 전면의 양측에는 고정받침편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통상의 볼트스크류(12)에 의해 지지바(10)를 고정받침편에 고정시켜서 주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편(13)의 상면을 배선관연결구(5)의 외주 상단과 동일수평선상으로 평행하게 형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바(10)는 다각형기둥, 원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격된 각 고정받침편(13)에는 체결공(14)을 뚫어 주고, 지지바(10)에도 체결공(14)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공(11)을 한 조로 하여 뚫어주되 한 쌍의 체결공(11)으로 이루어지는 각 조를 등간격(d1)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고정편은 고정받침편(13)의 상면 외측부에 지지편(15)을 돌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고정편은 고정받침편(13)의 상측에 지지덧판(16)을 이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고정편은 고정받침편(13)의 상측에 지지덧판(16)을 이격시켜 형성하고 고정받침편(13)의 선단과 지지덧판(16)의 선단을 지지편(15)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고정편은 받침고정편(13)에 착탈구(18)가 외부와 개방되는 결속요홈(17)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2020020017420U 2002-06-07 2002-06-07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200288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20U KR200288017Y1 (ko) 2002-06-07 2002-06-07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20U KR200288017Y1 (ko) 2002-06-07 2002-06-07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017Y1 true KR200288017Y1 (ko) 2002-09-09

Family

ID=7312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420U KR200288017Y1 (ko) 2002-06-07 2002-06-07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8321B2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288017Y1 (ko)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EP1961093B1 (en) Ceiling box
KR200288018Y1 (ko) 간격유지구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101668056B1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308686Y1 (ko)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200309510Y1 (ko) 지지바 슬라이드형 전기배선박스
KR200248024Y1 (ko) 매립형 전기배선박스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KR200277912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100787605B1 (ko)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100919283B1 (ko) 맨홀 체결장치
JPH0436182Y2 (ko)
KR102254993B1 (ko) 가로등 지주용 기초 구조물 성형장치
KR200223959Y1 (ko)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의 고정구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JP2001057722A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支持金具及び支持金具装置
JP2011024376A (ja) 配線ボックス
KR200296090Y1 (ko)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KR19980062479U (ko) 천장용 배선박스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