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903B1 -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 Google Patents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903B1
KR101581903B1 KR1020150080828A KR20150080828A KR101581903B1 KR 101581903 B1 KR101581903 B1 KR 101581903B1 KR 1020150080828 A KR1020150080828 A KR 1020150080828A KR 20150080828 A KR20150080828 A KR 20150080828A KR 101581903 B1 KR101581903 B1 KR 10158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ing
unit
box body
box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8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본체와 전기 배선 박스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러스 데크의 상부의 정확한 위치에 거치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폭방향 마주보는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고, 양측면 관통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T형 단면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하부에 마주보도록 걸림턱이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55)이 형성되는 박스 본체와; 내부가 비어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결합구가 통공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방향의 인접한 양측부에 T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링과 결합링의 하단부에서 각각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클립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에 형성되어, 박스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 홈에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와; 상부에 수평의 지지면과, 지지면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 지지부와, 사선 지지부의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ㄱ형상의 하현재 결합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Electric wiring box for truss deck plate}
본 발명은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본체와 전기 배선 박스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러스 데크의 상부의 정확한 위치에 거치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박스는 슬래브에 매설되는데, 특히 데크 패널의 상부에 트러스 거더가 형성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 트러스 데크의 경우에는 데크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는 트러스 거더에 의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와 전기 배선 박스를 정확히 목표한 위치에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 및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파이프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기선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 배선 박스로의 인입 및 인출시 또는 위치이동 및 시공 오차시에 수납된 전기선이 변경된 길이를 수용할 수 없어 별도로 전기선을 연장하거나 남는 전기선을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392호"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배선박스본체(2)의 상측 개구부에 덮개(3)를 결합하여 덮어주도록 된 전기 배선박스에 있어서, 덮개(3)의 밑면에는 돌테삽탈구(10)를 일체로 형성하여 배선박스본체(2)의 개구부로 삽입시킨 것과; 돌테삽탈구(10)의 내면과 배선박스본체(2)의 내면에는 결속공(12)(14)이 대향되게 형성된 복수의 결속구(11)(13)를 형성한 것과; 대향하는 각 결속구(11)(13)의 결속공(12)(14)에는 탄발수단을 결합하여 덮개(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트러스 데크의 상부에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 파이프 및 전기 배선 박스의 매설시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고 매설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특히 구조가 복잡한 트러스 딥데크의 경우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392호"매입형 전기 배선박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볼트결합, 용접 등의 작업 없이 트러스 데크의 상부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전기 배선 파이프 및 전기 배선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 파이프가 박스 본체에 미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박스 본체의 외부에 전기 배선을 위한 별도의 배선관연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기 배선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기 배선 파이프의 단부에 별도의 길이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전기선의 인입 인출시에 전기선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폭방향 마주보는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고, 양측면 관통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T형 단면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하부에 마주보도록 걸림턱이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박스 본체와; 내부가 비어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결합구가 통공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방향의 인접한 양측부에 T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링과 결합링의 하단부에서 각각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클립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에 형성되어, 박스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 홈에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와; 상부에 수평의 지지면과, 지지면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 지지부와, 사선 지지부의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ㄱ형상의 하현재 결합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결합판과, 결합판의 개구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단면의 직각삼각형 형상의 조절턱이 형성되는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간격 조절 부재의 끼움부가 박스 본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의 결합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C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부재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부재의 양단부에 구성되고 제1 부재의 양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부재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부재의 타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부재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추와, 중심추에서 각각 제1 부재의 내측면과 제2 부재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 장치가, 전기 배선 파이프의 일단부에 제3 부재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3 부재와 제3 부재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는 별도의 볼트결합, 용접 등의 작업 없이 트러스 데크의 상부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전기 배선 파이프 및 전기 배선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 파이프가 박스 본체에 미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박스 본체의 외부에 전기 배선을 위한 별도의 배선관연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기 배선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배선 파이프의 단부에 별도의 길이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전기선의 인입 인출시에 전기선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1)는 박스 본체(50)와, 박스 본체(5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결합클립(13)이 형성되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와, 박스 본체(5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재(20)로 이루어져, 결합 클립(13)이 트러스 데크의 트러스 거더(90) 상현재(91)에 끼워지고, 받침부재(20)의 하단부가 하현재(9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박스 본체(50)가 트러스 거더(90)와 트러스 거더(90)의 사이에 위치하여 볼트 없이 결합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트러스 데크는 데크 플레이트(8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상현재(91)와 상현재(91)의 양측에 구성되는 래티스재(92) 및 래티스재(92)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하현재(93)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거더(90)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은 박스 본체(50)가 인접한 트러스 거더(90)와 트러스 거더(90)의 사이에 위치하여 별도의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이 없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써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박스 본체(50)는 합성수지, 강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스 형상으로 상부에 개폐가 가능한 덮개(52)가 구성되도록 한다. 덮개(52)는 힌지를 구성하여 개폐하거나, 덮개식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박스 본체(50)의 대응하는 폭방향 양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구(51)가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시에 전기 배선 파이프(10) 내부에 수납된 전기선을 직접 관통구(51)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가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는 T형 단면 형상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10)를 박스 본체(50)의 측면 결합시에, 도 3a에서와 같이,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가이드 돌기(12)가 박스 본체(50) 하부의 가이드 홈(5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박스 본체(50)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55)이 형성되도록 하여, 받침부재(20)가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55)은 박스 본체(50)의 하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돌출하여 형성되며, 한 쌍이 마주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일(55)의 사이로 받침부재(20)가 결합되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55)은 상호 마주보는 면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걸림턱(551)이 구성되도록 하여, 받침부재(20) 결합시에 쉽게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박스 본체(50)의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각각 전기 배선 파이프(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전기 배선 파이프(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에는 전기선이 수납되도록 하며,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측면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결합구(11)가 통공되어 형성된다. 결합구(11)는 박스 본체(50)가 결합되어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에 수납된 전기선을 인출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 배선 파이프(10)는 강재, 합성수지재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주면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이루어지는 보강층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측면부의 결합구(11)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50)의 가이드 홈(54)과 대응하는 형상의 T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돌기(12)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2)는 박스 본체(5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배선 파이프(10)는 각각 트러스거더(90)의 상현재(91)의 상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기 배선 파이프(10)와 전기 배선 파이프(10) 간의 이격 거리는 트러스 데크의 트거스 거더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이에 대응하여 박스 본체(50)의 폭도 결정되게 된다.
전기 배선 파이프(10)는 박스 본체(50)의 폭방향 양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박스 본체(5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 홈(54)에 전기 배선 파이프(10) 가이드 돌기(1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와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가 일치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와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이 위치를 일치 시키도록 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에 수납된 전기선을 박스 본체(50)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원형 단면을 갖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와 박스 형상의 박스 본체(50)는 결합되더라도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와 박스 본채(50)의 관통구(51)간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b에서와 같이,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와 박스 본채(50)의 관통구(51)를 연결하는 별도의 간격 조절 부재(60)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간격 조절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간격 조절 부재(60)는 판형상으로 중앙부에 박스 개구부(611)가 형성되는 결합판(61)과, 결합판(61)의 개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끼움부(62)로 이루어진다.
즉, 간격 조절 부재(60)는 끼움부(62)가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를 관통하여 결합판(61)은 박스 본체(50)의 내측면에 면접하도록 하고, 박스 본체(50)에 결합되는 간격 조절 부재(60)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를 지나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측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끼움부(62)의 단면의 크기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의 크기와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조절 부재(60)의 끼움부(62)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에 삽입되었을 때,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더이상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기 위하여, 끼움부(62)의 외주면에는 높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조절턱(621)이 형성된다.
조절턱(621)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단면의 직각삼각형 형상 즉,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62)를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로의 삽입은 압입하여 조절턱(621)의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쉽게 가능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조절턱(621)에 걸려 인출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간격 조절 부재(60)는 도 4(a)에서와 같이, 끼움부(62)가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4(b)에서와 같이, 상부단면의 크기보다 하부단면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부단면이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로의 삽입시에는 하부 단면을 좁혀 억지 끼움하도록 하면 삽입은 용이하고 인출이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 배선 파이프(10)는 또한 트러스 거더(90)의 상현재(91)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하부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결합 클립(13)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 클립(13)을 이용하여 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 클립(13)은 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에 끼워질 수 있는 클립 형상으로,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에 개구부(132)가 형성되는 결합링(131)과, 결합링(13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확대부(133)로 형성된다.
결합링(131)은 트러스 거더의 상현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 결합링(131)의 하부의 개구부(132)로 상현재가 끼워져 고정된다. 개구부(132)의 크기는 상현재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결합링(131)의 내부에 고정되는 상현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결합링(131)의 하부에 구성되는 확대부(133)는 개구부(132)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상현재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부(132)가 확대되는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며, 결합링(131)의 하단부에서 각각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결합 클립(13)은 전기 배선 파이프(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은 강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박스 본체(50)는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10)에 의하여 트러스 거더와 트러스 거더의 사이에 하부에 지지 부재없이 떠있는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이때에는 박스 본체(50)가 하부로 쳐져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부위가 파손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박스 본체(50)의 하부에 별도로 받침부재(2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여 박스 본체(5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받침부재(20)는 얇은 강판을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평 지지면(21)과, 지지면(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 지지부(22) 및 사선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ㄱ형상의 하현재 결합부(23)로 구성된다.
수평 지지면(21)은 박스 본체(50)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55)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져 결합되며 박스 본체(50)의 하부면과 면접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평 지지면(21)의 폭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55)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며, 수평 지지면(21)의 하부면은 걸림턱(551)에 의하여 이탈이 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사선 지지부(22)는 수평 지지면(21)의 폭방향 양측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부터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가이드 레일(55)의 걸림턱(551)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형성되도록한다.
하현재 결합부(23)는 ㄱ형상의 단면을 갖으며 개구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수평의 단부가 사선지지부(22)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된 지점에 결합되도록 하여, 하현재 결합부(23)의 개구부가 트러스 거더(90)의 하현재(93)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가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70)는 C형상의 제1 부재(71)와, 제1 부재(71)의 양단부에서 차례로 끼워져 연결되는 제2 부재(72) 및 제3 부재(7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테니스 라켓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부재(71) 및 제2 부재(72)는 중심추(74)와 스프링(75)에 의해서 연결되어 제1 부재(71)의 단부가 스프링(75)의 탄성에 의하여 제2 부재(72)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3 부재(73)의 일단부에는 제2 부재(72)의 타단부가 이동가능하게 띠워져 스프링(75)이 압축되면 제3 부재(73)의 내부로 제2 부재(72)의 타단부가, 제2 부재(72)의 일단부의 내부로 제1 부재(71)의 단부가 더 깊게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부재(71), 제2 부재(72) 및 제3 부재(73)는 라켓 형상을 분절하여 결합한 형태로, 제1 부재(71)가 C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3 부재(73)는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부재(72)는 제1 부재(71)와 제3 부재(73)를 연결하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부재(71)의 단부가 인입되는 제2 부재(72)의 일단부에서 일정 거리까지는 제1 부재(7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부재(72)의 타단부가 인입되는 제3 부재(73)의 일단부에서 일정 거리까지는 제2 부재(72)와 동일한 형상 또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의 크기는 제1 부재(71), 제2 부재(72) 및 제3 부재(73)가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하여 상호간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인입되는 부분의 단면만을 작게 형성하도록 하여 인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71), 제2 부재(72) 및 제3 부재(73)는 모두 동일한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단면의 개구부는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전기선의 탈착이 개구부를 통하도록 하여 전기선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중심추(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71)와 제2 부재(72)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심추(74)에서 각각 제1 부재(71)의 내측면과 제2 부재(72)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스프링(75)이 각각 구성된다.
이와 같이 중심추(74)는 제1 부재(71)와 제2 부재(72) 의 중앙부에서 스프링(75)을 각각 제1 부재(71) 및 제2 부재(72)로 연결하도록 하여 스프링(75)의 탄성에 따라 압축과 이완이 반복될 시, 중심축(74)을 중심으로 제1 부재(71), 제2 부재(72) 및 제3 부재(73)의 간격이 상호 수축되거나 확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길이조절 장치(70)는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일단부에 제3 부재(73)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며, 전기선이 길이조절 장치(70)의 외측으로 둘러진 이후에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전기선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길이조절 장치(70)에서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주보는 제3 부재(73)와 제3 부재(73)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76)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스프링(76)의 탄력에 의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b에서와 같이,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기선(2)은 길이조절 장치(70)를 거쳐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내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전기선(2)의 인입 인출시에 길이의 오차를 길이조절 장치(70)에서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박스 본체(50)에서 전기선(2)을 당기게 되면 길이조절 장치(70)의 제1 부재(71)의 양단부가 제2 부재(72)의 일단부의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고 제2 부재(72)의 타단부가 제3 부재(73)의 일단부의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어, 스프링(75)이 압축되면서 길이조절 장치(70)를 둘러 구성되는 전기선(2)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오차를 수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선(2)의 길이가 여유가 있을 때에는 스프링(75)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각각의 단부가 내삽되어 있는 제1 부재(71), 제 부재(72) 및 제3 부재(73) 간의 간격이 이격되면서 늘어난 전기선(2)을 수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는 별도의 볼트결합, 용접 등의 작업 없이 트러스 데크의 상부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전기 배선 파이프 및 전기 배선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 파이프가 박스 본체에 미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박스 본체의 외부에 전기 배선을 위한 별도의 배선관연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기 배선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배선 파이프의 단부에 별도의 길이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전기선의 인입 인출시에 전기선 길이의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10 : 전기 배선 파이프
11 : 결합구
12 : 가이드 돌기
13 : 결합클립
20 : 받침부재
50 : 박스 본체
51 : 관통구
52 : 덮개
54 : 가이드 홈
60 : 간격 조절 부재
70 : 길이조절 장치
80 : 데크 플레이트
90 : 트러스 거더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폭방향 마주보는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구(51)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52)가 형성되고, 양측면 관통구(5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T형 단면 형상의 가이드 홈(54)이 형성되며,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하부에 마주보도록 걸림턱(551)이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55)이 형성되는 박스 본체(50)와;
    내부가 비어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결합구(11)가 통공되며, 결합구(11)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방향의 인접한 양측부에 T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돌기(12)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개구부(132)가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링(131)과 결합링(131)의 하단부에서 각각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확대부(13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클립(13)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에 형성되어, 박스 본체(5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 홈(54)에 가이드 돌기(12)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10)와;
    상부에 수평의 지지면(21)과, 지지면(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 지지부(22)와, 사선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ㄱ형상의 하현재 결합부(23)로 구성되는 받침부재(20);를 포함하며,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C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부재(71)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부재(71)의 양단부에 구성되고 제1 부재(71)의 양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부재(72)와, C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부재(72)의 타단부가 일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부재(73)와, 제1 부재(71)와 제2 부재(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추(74)와, 중심추(74)에서 각각 제1 부재(71)의 내측면과 제2 부재(72)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75)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 장치(70)가,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일단부에 제3 부재(73)의 타단부가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부에 개구부(611)가 형성되는 결합판(61)과, 결합판(61)의 개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단면의 직각삼각형 형상의 조절턱(621)이 형성되는 끼움부(62)로 이루어지는 간격 조절 부재(60)의 끼움부(62)가 박스 본체(50)의 관통구(51)를 관통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10)의 결합구(1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부재(73)와 제3 부재(73)의 내측면을 각각 스프링(76)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KR1020150080828A 2015-06-08 2015-06-08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28A KR101581903B1 (ko) 2015-06-08 2015-06-08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28A KR101581903B1 (ko) 2015-06-08 2015-06-08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903B1 true KR101581903B1 (ko) 2015-12-31

Family

ID=5512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28A KR101581903B1 (ko) 2015-06-08 2015-06-08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02B1 (ko) 2020-01-09 2020-06-15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종배선구조
KR102123203B1 (ko) 2020-01-09 2020-06-15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44Y1 (ko) * 2000-12-05 2001-07-19 전찬진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의 처짐 방지장치
KR100719466B1 (ko) * 2006-12-22 2007-05-18 대일이엔씨기술(주)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20080004392A (ko) 2006-07-04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0705B1 (ko) * 2008-07-21 2008-11-27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단자함 구조.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44Y1 (ko) * 2000-12-05 2001-07-19 전찬진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의 처짐 방지장치
KR20080004392A (ko) 2006-07-04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0719466B1 (ko) * 2006-12-22 2007-05-18 대일이엔씨기술(주)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100870705B1 (ko) * 2008-07-21 2008-11-27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단자함 구조.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02B1 (ko) 2020-01-09 2020-06-15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종배선구조
KR102123203B1 (ko) 2020-01-09 2020-06-15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1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9852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20130276843A1 (en) Umbrella quick fram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KR101581903B1 (ko)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US20090145626A1 (en) Separation and/or reinforcement device for a wire cable duct
US8025258B2 (en) Electrical wire bracket device
US8919051B1 (en) Tower with exterior cable support and a modular base
KR10208557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200362772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158190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US20200146460A1 (en) Reinforced bed frame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CN102338138A (zh) 可调式固定装置
CN104328838A (zh) 一种混凝土预制件连接结构、连接件及连接方法
CN110601103A (zh) 电缆固定支架组件
KR101416008B1 (ko) 이상기후대비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CN102043214B (zh) 光缆固定装置
KR101581901B1 (ko) 트러스 데크용 전기 배선 파이프 착탈식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899B1 (ko) 트러스 거더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865139B1 (ko) 콘크리트 말뚝 기초 비닐하우스
CN208190154U (zh) 一种具有可伸缩底架的线缆架
KR101161621B1 (ko) 착탈이 용이한 텐트용 폴 연결구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