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203B1 -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 Google Patents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203B1
KR102123203B1 KR1020200003338A KR20200003338A KR102123203B1 KR 102123203 B1 KR102123203 B1 KR 102123203B1 KR 1020200003338 A KR1020200003338 A KR 1020200003338A KR 20200003338 A KR20200003338 A KR 20200003338A KR 102123203 B1 KR102123203 B1 KR 10212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e
truss girder
wire tray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0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를 위해 필요한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횡방향 전선 트레이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결합된 통전브리지를 통해 트러스거더의 전기용접이 가능함과 함께 통전브리지에 종방향 전선트레이가 설치되어져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이 필요없이 전기설비의 종배선을 종방향 전선트레이를 통해 실현할 수 있고, 횡방향 전선 트레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쌍의 하현재, 하현재의 상부에 배치된 상현재, 하현재와 상현재에 용접 접합되어 있는 래티스근으로 이루어젼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트러스거더와; 스틸로 제작되어져 중간에 일정량 절취되어진 브리지 절취부를 갖고 트러스거더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고, 절취 이전에 상기 한쌍의 하현재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고, 트러스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통전 브리지와; 상기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 얻기 위해 상기 통전 브리지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와; 상기 통전 브리지의 브리지 절취부에 위치되어져 통전 브리지에 고정된 후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전선이 배치되는 통전배선스페이서를 갖는 종방향 전선트레이와; 이웃한 트러스 거더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를 매개로 연결된 횡방향 전선트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Traverse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ceiling electric wire using wiring spacer of truss girder}
본 발명은 천정 전선배선라인용 탈형바닥판의 횡방향 거리조절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를 위해 필요한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횡방향 전선 트레이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결합된 통전브리지를 통해 트러스거더의 전기용접이 가능함과 함께 통전브리지에 종방향 전선트레이가 설치되어져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이 필요없이 전기설비의 종배선을 종방향 전선트레이를 통해 실현할 수 있고, 횡방향 전선 트레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콘크리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전단 보강을 위해 트러스거더를 시공한다. 이 경우 합판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위에 피복 두께를 고려하여 트러스거더를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한다. 이때 전기 배선 박스는 콘크리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데, 이 경우 트러스 거더에 의하여 전기 배선 파이프와 전기 배선 박스를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전기설비를 위해 콘크리트 천정에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81903호로서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폭방향 마주보는 양측면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고, 양측면 관통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T형 단면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하부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하부에 마주보도록 걸림턱이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박스 본체와; 내부가 비어 있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측부의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결합구가 통공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방향의 인접한 양측부에 T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링과 결합링의 하단부에서 각각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클립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에 형성되어, 박스 본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 홈에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기 배선 파이프와; 상부에 수평의 지지면과, 지지면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서 외측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 지지부와, 사선 지지부의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ㄱ형상의 하현재 결합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박스 본체와 전기 배선박스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러스 데크 상부의 정확한 위치에 전기 배선박스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전기 배선박스가 트러스거더의 상부에 위치되어 슬배브의 바닥에 노출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에서 배선을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과 결합되는 수단이 없어 트러스 거더의 설치위치를 잡기가 어렵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에 전기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부가적으로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81903호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를 위해 필요한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횡방향 전선 트레이와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결합된 통전브리지를 통해 트러스거더의 전기용접이 가능함과 함께 통전브리지에 종방향 전선트레이가 설치되어져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이 필요없이 전기설비의 종배선을 종방향 전선트레이를 통해 실현할 수 있고, 횡방향 전선 트레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쌍의 하현재, 하현재의 상부에 배치된 상현재, 하현재와 상현재에 용접 접합되어 있는 래티스근으로 이루어젼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트러스거더와; 스틸로 제작되어져 중간에 일정량 절취되어진 브리지 절취부를 갖고 트러스거더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고, 절취 이전에 상기 한쌍의 하현재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고, 트러스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통전 브리지와; 상기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 얻기 위해 상기 통전 브리지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와; 상기 통전 브리지의 브리지 절취부에 위치되어져 통전 브리지에 고정된 후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전선이 배치되는 통전배선스페이서를 갖는 종방향 전선트레이와; 이웃한 트러스 거더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를 매개로 연결된 횡방향 전선트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방향 전선트레이는 이웃한 트러스 거더간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웃한 일측 드러스거더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와, 상기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한 타측 드러스거더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와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에 삽입된 복수개의 트레이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전 브리지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받이하여 하현재 상호의 전기적 통전을 수행하는 하현재 통전받이부, 하현재 통전받이부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하향 기립부, 하향 기립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향 기립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 받침부, 수평받침부에서 상향 절곡된 상향 기립부, 상향 기립부에 근접하여 폭이 좁아진 절단 커팅부, 통전기능을 수행한 후 종방향 전선트레이의 설치를 위해 절단 커팅부에 연결된 통전 브리지부가 절취되어져 형성된 브리지 절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탈형 바닥에 노출되도록 체결용 나사홀을 갖는 배선박스 소켓이 각기 매설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트레이 스페이서에는 배선박스 소켓에 체결용 나사홀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진 배선박스가 더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전선트레이에는 통전배선스페이서에 위치되어져 배선분배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분배 캐리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배선분배 캐리지는 판상형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와,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에서 절취되어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한쌍의 전선지지판과, 한쌍의 전선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전선배치홀과, 한쌍의 전선지지판에 의해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에 열려진 전선인출용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에 따르면,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의해 트러스거더의 피복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배선박스 소켓이 설치되어지는 경우, 트러스거더에 전기용접을 위해 통전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고, 횡방향 전선트레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을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에 볼트 또는 스크류 결합하여 타설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타설 하중지지 기능이 완료되면 탈착하여 바닥판의 하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바닥판의 시공단계에는 작업자 공간과 타설 콘크리트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타설 완료 후에는 콘크리트 면을 노출시켜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종방향 전선트레이의 통전배선스페이서가 노출됨에 따라 바닥판 하부에 어떠한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 없이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종배선 또는 횡배선을 설치할 수 있는 전기설비 공사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전선트레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트러스거더간의 설치 간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를 나타내는 일 형태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일측단면도로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트러스거더가 매설된 상태도.
도 2a는 도 1a에서 횡방향 전선트레이의 변형된 설치상태도.
도 2b는 도 2a의 일측단면도로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트러스거더가 매설된 상태도.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횡방향 전선트레이의 변형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a의 일부분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가 절취된 통전브리지를 통해 전기적 용접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전선배선라인용 탈형바닥판의 선매립 종배선구조를 갖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의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전브리지의 절취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브리지의 절취전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와 결합된 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절취된 통전브리지와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와 결합된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통전브리지와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선분배 캐리지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정 전선배선라인용 탈형바닥판의 선매립 횡배선구조에서는 트러스거더(12)가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트러스거더(12)는 한쌍의 하현재(121,121a), 하현재(121,121a)의 상부에 배치된 상현재(122), 하현재(121,121a)와 상현재(122)에 용접 접합되어 있는 래티스근(123,123a)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한쌍의 하현재(121,121a)는 그 하부에 후술할 종방향 전선트레이(18)가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이격 공간을 갖도록 설치된다. 트러스거더(12)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트러스거더(12)가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설되면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전단저항이 증가되고 인장균열이 억제된다.
트러스거더(12)는 통전 브리지(14)에 지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과 같이 통전 브리지(14)는 스틸로 제작되어져 중간에 일정량 절취되어진 브리지 절취부(147)를 갖고 트러스거더(12)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통전 브리지(14)는 절취 이전에 한쌍의 하현재(121,121a)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통전 브리지(14)는 트러스거더(1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통전 브리지(14)는 트러스거더(1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규칙적인 배열 간격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통전 브리지(14)는 트러스거더(12)의 하현재(121,121a)를 받이하여 하현재(121,121a) 상호의 전기적 통전을 수행하는 하현재 통전받이부(141,141a), 하현재 통전받이부(141,141a)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하향 기립부(142,142a), 하향 기립부(142,142a)에서 수평 절곡된 하향 기립부(142,142a)를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 받침부(143), 수평받침부(143)에서 상향 절곡된 상향 기립부(144,144a), 상향 기립부(144,144a)에 근접하여 폭이 좁아진 절단 커팅부(145,145a), 통전기능을 수행한 후 종방향 전선트레이(18)의 설치를 위해 절단 커팅부(145,145a)에 연결된 통전 브리지부(146)가 절취되어져 형성된 브리지 절취부(147)를 갖는다.
따라서 통전 브리지(14)는 브리지 절취부(147)를 갖기 전에 통전 브리지부(146)를 통해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져 하현재(121,121a), 상현재(122) 및 래티스근(123,123a)은 상호 전기적 용접이 이루어져 트러스거더(12)가 제작된다.
도 6과 같이 트러스거더(12)의 피복 두께(t)를 얻기 위해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가 설치된다. 또한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는 도 4와 같이 배선박스(30)의 설치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는 통전 브리지(14)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바닥면에 면접되어 설치된다.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에는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탈형 바닥에 노출되도록 체결용 나사홀(201)을 갖는 배선박스 소켓(20)이 각기 매설되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쌍의 트레이 스페이서(16,16a)에는 배선박스 소켓(20)에 체결용 나사홀(201)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진 배선박스(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물론,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을 배선박스 소켓(20)에 볼트(210) 또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에 작용하는 하향력(타설 콘크리트 자중)을 트러스거더(12)의 래티스근(123,123a)과 상현재(122)로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바닥판 작업을 위해서 공간을 형성하고자 트러스거더(12)의 아래쪽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이동과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위쪽 트러스거더(12)에 전달시켜 건축용 바닥판 공사를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에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을 제거시켜 콘크리트 하부면의 균열이나 변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해진다.
통전 브리지(14)에 종방향 전선트레이(18)가 고정 설치된다. 종방향 전선트레이(18)는 통전 브리지(14)의 브리지 절취부(147)에 위치되어져 통전 브리지(14)에 고정된 후 트러스거더(12)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진다. 종방향 전선트레이(18)는 전선 및 각종 전기설비가 배치되는 통전배선스페이서(181)를 갖는다.
종방향 전선트레이(18)는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시공 단계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 도 7과 같이 폼재(50)가 통전배선스페이서(181)에 설치된 후,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 탈형시 폼재(50)가 제거됨으로써 배선을 설치할 수 있는 통전배선스페이서(181)를 갖게 된다.
이같이 트러스거더(12)와 함께 일체된 종방향 전선트레이(18)가 설치되어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 후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이 제거되면, 통전배선스페이서(181)가 노출되어져 후속공정인 천정 전기설비(또는 기타 설비)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이웃한 트러스 거더(12와 1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를 매개로 연결된 횡방향 전선트레이(19)가 설치된다. 횡방향 전선트레이(19)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구조를 갖는다. 횡방향 전선트레이(19)는 종방향 전선트레이(18)로부터 전선을 인입시키기 위해 양단에 전선인입홀(19a)이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전선트레이(19)에는 도 4에 도시된 배선박스(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횡방향 전선트레이(19)가 설치됨으로써 천정에 횡방향 전기배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횡방향 전선트레이(19)는 이웃한 트러스 거더(12와 12a)간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웃한 일측 드러스거더(12)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한 타측 드러스거더(12)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2)로 분할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2)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191a,192a)에 삽입된 복수개의 트레이 체결볼트(193)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트러스 거더(12와 12a)간의 설치 간격에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2)간의 전체 길이를 슬라이딩 조절 한 후, 트레이 체결볼트(193)를 체결함으로써 이웃한 트러스 거더(12와 12a)간의 설치 간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16)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전단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거더(12)의 일정한 피복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16)는 트러스거더(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기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16)에 배선박스 소켓(20)이 설치되어지는 경우, 트러스거더(12)에 전기용접을 위해 통전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슬래브 바닥 거푸집판(200)을 전선 트레이 스페이서(16)에 볼트 또는 스크류 결합하여 타설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타설 하중지지 기능이 완료되면 탈착하여 바닥판의 하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바닥판의 시공단계에는 작업자 공간과 타설 콘크리트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타설 완료 후에는 콘크리트 면을 노출시켜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종방향 전선트레이(18)의 통전배선스페이서(181)가 노출됨에 따라 바닥판 하부에 어떠한 콘크리트의 천공이나 앵커링 작업 없이 통전배선스페이서(181)를 이용하여 트러스거더(12)와 종방향 전선트레이(18)의 배치방향에 따라 종배선 또는 횡배선을 설치할 수 있는 전기설비 공사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종방향 전선트레이(18)에는 통전배선스페이서(181)에 위치되어져 배선분배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분배 캐리지(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배선분배 캐리지(40)는 판상형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와,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에서 절취되어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과,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전선배치홀(403,403a)과,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에 의해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에 열려진 전선인출용 개구부(40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배선분배 캐리지(40)가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분배박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트러스거더
14: 통전 브리지
16,16a: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
18: 종방향 전선트레이
19: 횡방향 전선트레이
20: 배선박스 소켓
30: 배선박스
40: 배선분배 캐리지

Claims (6)

  1. 한쌍의 하현재(121,121a), 하현재(121,121a)의 상부에 배치된 상현재(122), 하현재(121,121a)와 상현재(122)에 용접 접합되어 있는 래티스근(123,123a)으로 이루어젼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설되는 트러스거더(12)와;
    스틸로 제작되어져 중간에 일정량 절취되어진 브리지 절취부(147)를 갖고 트러스거더(12)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고, 절취 이전에 상기 한쌍의 하현재(121,121a)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고, 트러스거더(1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통전 브리지(14)와;
    상기 트러스거더(12)의 피복 두께(t)를 얻기 위해 상기 통전 브리지(14)의 양단에 각기 결합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바닥면에 면접되는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와;
    상기 통전 브리지(14)의 브리지 절취부(147)에 위치되어져 통전 브리지(14)에 고정된 후 트러스거더(12)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져 전선이 배치되는 통전배선스페이서(181)를 갖는 종방향 전선트레이(18)와;
    이웃한 트러스 거더(12와 1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16a)를 매개로 연결된 횡방향 전선트레이(1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전선트레이(19)는 이웃한 트러스 거더(12와 12a)간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웃한 일측 드러스거더(12)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상기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한 타측 드러스거더(12)의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2)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제1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1)와 제2횡방향 전선트레이 본체(192)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191a,192a)에 삽입된 복수개의 트레이 체결볼트(193)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브리지(14)는 상기 트러스거더(12)의 하현재(121,121a)를 받이하여 하현재(121,121a) 상호의 전기적 통전을 수행하는 하현재 통전받이부(141,141a), 하현재 통전받이부(141,141a)에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하향 기립부(142,142a), 하향 기립부(142,142a)에서 수평 절곡된 하향 기립부(142,142a)를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 받침부(143), 수평받침부(143)에서 상향 절곡된 상향 기립부(144,144a), 상향 기립부(144,144a)에 근접하여 폭이 좁아진 절단 커팅부(145,145a), 통전기능을 수행한 후 종방향 전선트레이(18)의 설치를 위해 절단 커팅부(145,145a)에 연결된 통전 브리지부(146)가 절취되어져 형성된 브리지 절취부(14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스페이서(16)에는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탈형 바닥에 노출되도록 체결용 나사홀(201)을 갖는 배선박스 소켓(20)이 각기 매설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트레이 스페이서(16)에는 배선박스 소켓(20)에 체결용 나사홀(201)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진 배선박스(30)가 더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전선트레이(18)에는 통전배선스페이서(181)에 위치되어져 배선분배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분배 캐리지(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배선분배 캐리지(40)는 판상형의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와,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에서 절취되어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과,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전선배치홀(403,403a)과, 한쌍의 전선지지판(402,402a)에 의해 종방향 전선트레이 덮개부(401)에 열려진 전선인출용 개구부(40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KR1020200003338A 2020-01-09 2020-01-09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KR10212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38A KR102123203B1 (ko) 2020-01-09 2020-01-09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38A KR102123203B1 (ko) 2020-01-09 2020-01-09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203B1 true KR102123203B1 (ko) 2020-06-15

Family

ID=7108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338A KR102123203B1 (ko) 2020-01-09 2020-01-09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2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92Y1 (ko) * 2002-05-10 2002-08-03 임춘갑 철근콘크리트 매설용 풀박스
KR101435004B1 (ko) * 2014-06-23 2014-08-2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581902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903B1 (ko)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JP6099979B2 (ja) * 2013-01-07 2017-03-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92Y1 (ko) * 2002-05-10 2002-08-03 임춘갑 철근콘크리트 매설용 풀박스
JP6099979B2 (ja) * 2013-01-07 2017-03-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101435004B1 (ko) * 2014-06-23 2014-08-2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581902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903B1 (ko)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3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permanent railroad track
EP0292449B1 (en) Fire resistant steel beam coacting with concrete
US20060101761A1 (en) Flooring
CN109183614B (zh) 一种电缆槽主承载t梁复合材料人行道及其安装方法
JP5848483B1 (ja) ホームドア用ケーブルの敷設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ホームドア用ケーブルキャビネット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36944B1 (ko) 연속화 거더 및 거더의 연속화 구조와 그 시공방법
JP2009256873A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CN113585075A (zh) 一种钢混叠合梁现浇桥面板模架
KR102123203B1 (ko)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횡배선구조
KR101359725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와 거더의 일체화 구조물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2123202B1 (ko) 트러스거더의 통전배선스페이서를 이용한 천정 선매립 전선배선라인용 전기 종배선구조
KR101631096B1 (ko) 교량용 멀티 합성거더
CN214615228U (zh) 一种地下车站分块装配式轨顶风道
CN108487291B (zh) 一种铁路钢混结合梁上接触网立柱基础的安装方法
CN216712734U (zh) 一种钢混组合梁预制桥面板的连接结构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5442001U (zh) 预制侧墙中板节点板及装配式地下车站
US20040231249A1 (en) Platfor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20036198A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JP2004263551A5 (ko)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101684477B1 (ko) 거더 일체형 코핑부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