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070B1 -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070B1
KR101372070B1 KR1020120105897A KR20120105897A KR101372070B1 KR 101372070 B1 KR101372070 B1 KR 101372070B1 KR 1020120105897 A KR1020120105897 A KR 1020120105897A KR 20120105897 A KR20120105897 A KR 20120105897A KR 101372070 B1 KR101372070 B1 KR 10137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x
electrical wiring
wiring box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
Priority to KR102012010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중공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폐쇄토록 조립되는 후면 덮개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조립되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전면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배선박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배선박스{Electric wiring box}
본 발명은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배선박스는 건물의 벽체 시공 시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배선이 인입되도록 하여 조명의 스위치, 전원콘센트 등의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배선박스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벽체의 일면에 전기부품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배선을 포위하는 배관이 상기 전기배선박스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전기배선박스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의 스위치, 전원콘센트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위치 박스 또는 콘센트 박스가 용도에 따라 조립된다.
그런데, 스위치 박스가 설치되는 경우 스위치 박스는 전기배선박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콘센트 박스는 전기배선박스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만입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와 콘센트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가 별개로 제조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에 스위치 박스가 조립되어야 하며, 콘센트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에 콘센트 박스가 조립되어야 한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조되는 전기배선박스가 각각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일단 정해진 위치에 용도별 전기배선박스가 설치된 이후에는 다른 용도의 전기배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3662호 2. 한국공개실용 제2000-0019821호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는 중공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폐쇄토록 조립되는 후면 덮개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조립되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전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전면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면이 서로 다른 폭으로 분할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조립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타측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벽체에 매립시 철근이 결합되는 철근배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철근배근부재의 전면 하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전면부재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콘센트 박스용 전면부재와 스위치 박스용 전면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다기능 전면부재의 조립방향을 변경하여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1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2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1 사용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1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2 사용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2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일예로서, 본체부(120), 후면 덮개부재(140) 및 다기능 전면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기배선박스(100)는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 등의 전기 부품을 벽체의 내부에 전기배선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세로 방향은 도 1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가로 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방향은 도 1에서 Z 방향을 의미한다.
본체부(120)는 중공의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부(120)는 사각형의 개구부가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체부(120)의 타측에는 삽입돌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돌기(122)는 본체부(120)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체부(120)에는 벽체에 매립시 철근이 결합되는 철근배근부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시 본체부(12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20)에는 철근이 결합되는 철근배근부재(12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철근배근부재(124)가 본체부(1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삽입돌기(122)는 철근배근부재(124)의 전단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삽입돌기(122)가 철근배근부재(124)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삽입돌기(122)는 본체부(12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삽입돌기(122)는 본체부(120) 내부면 모든 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체부(120)의 내부면 일측에는 후면 덮개부재(140)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공간에는 흡음재 또는/및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흡음재의 경우는 건물 벽체의 일측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이 타측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으며, 이로 인해 차음 및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열재의 경우에는 건물 벽체의 일측의 공간과 타측의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2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흡음재 또는/및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흡음재 또는/및 단열재로 사용되는 어떠한 흡음재 또는/및 단열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후면 덮개부재(140)는 본체부(120)의 일측을 폐쇄토록 조립될 수 있다. 한편, 후면 덮개부재(140)에는 다수의 전기배선을 포함하는 배관(미도시)이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면 덮개부재(140)는 본체부(120)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141)와, 밀폐부(141)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120)와 후면 덮개부재(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42)는 후면 덮개부재(14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가이드부(142)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체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부(142)는 후면 덮개부재(140)에 형성되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142)에는 배관연결구(미도시)가 연결되어 배관을 상기한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14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이 안정적으로 상기한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폐부(141)의 외부면에는 상기한 조립홈(126)과 결합되는 조립돌기(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돌기(141a)는 밀폐부(141)의 네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기능 전면부재(160)는 본체부(120)의 타측에 조립되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미도시) 또는 스위치 박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기능 전면부재(160)는 본체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부(162)와, 프레임부(162)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162)는 본체부(120)에 조립될 때 본체부(12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다기능 전면부재(160)는 본체부(120)와 함께 전기배선박스(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다기능 전면부재(160)는 본체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연장부(164)는 프레임부(162)의 내부면이 서로 다른 폭으로 분할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62)의 내부면은 연장부(164)에 의해 분할되는데, 분할된 프레임부(162)의 내부면 폭 방향(Z)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 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연장부(162)는 프레임부(162)의 내부면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스위치 박스가 설치되는 경우 스위치 박스는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콘센트 박스는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만입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발명이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와 콘센트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가 종래에는 별개로 제조되어야 했었다. 그리고, 스위치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에 스위치 박스가 조립되어야 하며, 콘센트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에 콘센트 박스가 조립되어야 한다.
하지만, 프레임부(162)의 내부면 폭 방향(Z) 길이가 서로 다른 다기능 전면부재(160)를 본체부(120)에 설치함으로써,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 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전기배선박스(100)에 스위치 박스 또는 콘센트 박스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프레임부(162)의 외부면에는 조립방향에 따라 본체부(1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는 삽입홀(16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64)가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프레임부(162)를 본체부(120)에 설치하는 경우 본체부(120)의 삽입돌기(122)가 결합되는 제1 열의 복수개의 삽입홀(162a)이 형성되며, 연장부(164)가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으로부터 만입되어 배치되도록 프레임부(162)를 본체부(120)에 설치하는 경우 본체부(120)의 삽입돌기(122)가 결합되는 제2 열의 복수개의 삽입홀(16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62a)은 삽입돌기(1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삽입돌기(122)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64)에는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의 조립을 위한 나사공(164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가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연장부(16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공(16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콘센트 박스용 전면부재와 스위치 박스용 전면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방향을 변경하여 조립한 후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스위치 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전기배선박스(100)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후면 덮개부개(140)가 설치된다.
이후, 본체부(120)와 후면 덮개부재(140)의 조립체는 벽체에 매립된다. 이때, 본체부(120)의 철근배근부재(124)에 철근이 배치되어 본체부(120)와 후면 덮개부재(140)의 조립체는 벽체의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다기능 전면부재(160)가 본체부(120)의 타측에 조립된다. 이때,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프레임부(162)에 형성된 제1 열의 삽입홀(162a)에 철근배근부재(124)에 형성된 삽입돌기(122)가 삽입되어 다기능 전면부재(160)가 본체부(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부(162)의 외부면은 본체부(120)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64)는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트롤 박스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박스(100)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후면 덮개부재(140)가 설치될 수 잇다.
이후, 본체부(120)와 후면 덮개부재(140)의 조립체는 벽체에 매립된다.
그리고, 다기능 전면부재(160)가 본체부(120)의 타측에 조립되는데, 이때에는 상기한 스위치 박스를 설치하기 위해 조립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본체부(120)에 조립된다.
이때,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프레임부(162)에 형성된 제2 열의 삽입홀(162a)에 철근배근부재(124)에 형성된 삽입돌기(122)가 삽입되어 다기능 전면부재(160)가 본체부(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64)는 전기배선박스(1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만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방향에 따라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콘센트 박스용 전면부재와 스위치 박스용 전면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다기능 전면부재(160)의 조립방향을 변경하여 조립한 후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100 : 전기배선박스
120 : 본체부
140 : 후면 덮개부재
160 : 다기능 전면부재

Claims (8)

  1. 중공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폐쇄토록 조립되는 후면 덮개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다기능 전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기능 전면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상기 일방향으로 조립되는 경우 스위치 박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상기 타방향으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으로 조립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대적으로 상기 후면 덮개부재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콘센트 박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면이 서로 다른 폭으로 분할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콘센트 박스 또는 스위치 박스의 구현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조립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타측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전기배선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벽체에 매립시 철근이 결합되는 철근배근부재가 구비되는 전기배선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철근배근부재의 전면 하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KR1020120105897A 2012-09-24 2012-09-24 전기배선박스 KR10137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97A KR101372070B1 (ko) 2012-09-24 2012-09-24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897A KR101372070B1 (ko) 2012-09-24 2012-09-24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070B1 true KR101372070B1 (ko) 2014-03-07

Family

ID=5064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897A KR101372070B1 (ko) 2012-09-24 2012-09-24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56A (ko) 2021-10-14 2023-04-21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음 콘센트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49Y1 (ko) * 1997-06-20 2000-02-01 원용희 매립형 배전상자
KR200276329Y1 (ko) 2002-02-28 2002-05-18 (주)삼부테크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
KR20120005110A (ko) * 2010-07-08 2012-01-16 신원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KR101179851B1 (ko) 2012-04-04 2012-09-04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49Y1 (ko) * 1997-06-20 2000-02-01 원용희 매립형 배전상자
KR200276329Y1 (ko) 2002-02-28 2002-05-18 (주)삼부테크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
KR20120005110A (ko) * 2010-07-08 2012-01-16 신원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KR101179851B1 (ko) 2012-04-04 2012-09-04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56A (ko) 2021-10-14 2023-04-21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음 콘센트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51015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087768B1 (ko)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JP2014236654A (ja) 電気接続箱
KR101179851B1 (ko) 전기배선박스
KR101372070B1 (ko) 전기배선박스
KR100858893B1 (ko) 외벽체용 전기부품박스
KR101187803B1 (ko)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JP5994142B2 (ja) 電気接続箱
KR100734053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JPH11122752A (ja) 電気接続箱の接合面の防水構造
KR101047492B1 (ko)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1311073B1 (ko) 전기배선박스
KR100744808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1082195B1 (ko) 차음성능을 향상시킨 양방향 전기박스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200446512Y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JP6631864B2 (ja) 分電盤のハウジング及び分電盤
JP2005108499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CN220692758U (zh) 一种接线盒及建筑结构
KR200497502Y1 (ko) 다용도 브라켓 장치
JP5929844B2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258011Y1 (ko) 단자용 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