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073B1 -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073B1
KR101311073B1 KR1020120072688A KR20120072688A KR101311073B1 KR 101311073 B1 KR101311073 B1 KR 101311073B1 KR 1020120072688 A KR1020120072688 A KR 1020120072688A KR 20120072688 A KR20120072688 A KR 20120072688A KR 101311073 B1 KR101311073 B1 KR 10131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wiring box
electrical wir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
Priority to KR102012007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며, 배관이 인입되도록 하는 배관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배선박스{Electric wiring box}
본 발명은 전기배선박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 내부 또는 콘크리트 설치물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배선박스는 건물의 벽체 시공 시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배선이 인입되도록 하여 조명의 스위치, 전원콘센트 등의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배선박스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벽체의 일면에 전기부품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배선을 포위하는 배관이 상기 전기배선박스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전기배선박스는 전기배선을 포위하는 배관이 벽체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배관심도가 얕아 전기배선박스를 매립하는 경우 벽체철근을 절단하거나 절곡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전기배선을 포위하는 배관이 벽체의 표면에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벽체의 마감재 등이 훼손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배관이 전기배선박스에 연결되더라도 상기 배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기배선과 조명의 스위치, 전원콘센트 등의 전기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다수의 상기 전기배선을 끌어당겨야하는 인위적인 작업이 필수적이므로, 작업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벽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 및 2는 배관심도가 얕아 벽체의 마감재 등이 훼손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매립시 벽체철근을 절단하거나 절곡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3662호 2. 한국공개실용 제2000-00198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차음 및 보안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며, 배관이 인입되도록 하는 배관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가이드부는 축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배선인입부는 상기 배관이 인입되도록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배관인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배관인입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밀폐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배관이 인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배관인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배관인입공을 규정하는 외벽과 상기 밀폐부의 외면 사이에는 벽체훼손방지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밀폐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서리를 따라 외측으로도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와 상기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턱의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에 의하면, 전기배선을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여 전기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관심도를 깊게 하여 벽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벽체철근을 절단하거나 절곡해야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차음 및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에 제공되는 배선인입부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개략 측면도, 개략 평면도 및 개략 후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도시한 개략 분해 절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에 제공되는 배선인입부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개략 측면도, 개략 평면도 및 개략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10) 및 가이드부(122)가 형성되는 배관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 방향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본체부(11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는 방향(X) 또는 그 반대 방향(Y)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은 배관인입부(120)로부터 본체부(110)를 향하는 방향(Z) 또는 그 반대 방향(W)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건물의 벽체(B)에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 등의 전기 부품을 벽체(B)의 내부의 전기배선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배선박스(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및 배관인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은 모두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 등을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112)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타측은 배관인입부(1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나사공(112)은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는 흡음재 및 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될 수 있다.
흡음재의 경우는 건물 벽체(B)의 일측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이 타측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음 및 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열재의 경우에는 건물 벽체(B)의 일측의 공간과 타측의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음재 및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는 배관인입부(120)와의 체결을 위한 걸림턱수용부(11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배관인입부(120)에 형성된 걸림턱(126)과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인입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을 밀폐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전기배선을 포위하는 배관(130)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인입부(120)는 상기 배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기배선을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2)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22)는 축 방향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축 방향에 따른 단면의 형상은 대략 직각 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인입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2)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밀폐부(121)로부터 외측인 타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인입부(120)는 배관(130)이 인입되도록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배관인입공(12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인입공(124)은 상기 가이드부(122)의 일측으로부터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인입공(124)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인입공(124)을 규정하는 외벽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배관연결구(140)에 의해 상기 배관(130)을 상기 배관인입공(124)에 안정적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인입공(124)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1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122)의 폭은 상기 배관인입공(124)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22)는 축 방향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 채 상기 배관인입공(124)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22)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배관(130)이 배관인입공(124)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배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기배선을 굴곡 또는 꼬이지 않은 채 본체부(1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관(130)에 의해 다수의 전기배선은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배관(130)이 배관인입공(124)에 인입된 이후에는 다수의 상기 전기배선은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배관(13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22)에 의해 다수의 상기 전기배선은 자연적으로 본체부(1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므로, 사용자가 다수의 상기 전기배선을 끌어당겨야하는 인위적인 작업 없이도 손쉬운 방법으로 다수의 상기 전기배선과 조명스위치, 전기콘센트 또는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2)의 폭은 배관인입부(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관(130)이 배관인입공(124)에 인입된 이후 상기 배관(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전기배선은 본체부(110)의 일측 방향으로 아무런 장애 없이 가이드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전기배선은 배관(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전기배선의 특성상 사방으로 퍼진 채 노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부(122)이 폭이 배관인입부(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의 배관인입공(124)을 규정하는 외벽과 밀폐부(121)의 외면 사이에는 벽체훼손방지갭(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훼손방지갭(S)은 배관인입공(124)을 규정하는 외벽과 밀폐부(121)의 외면 사이의 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훼손방지갭(S)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벽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벽체훼손방지갭(S)은 전기배선박스(100)의 배관인입공(124)을 벽체(B)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시킴으로써 배관심도를 깊게 할 수 있으므로, 벽체(B)의 마감재 등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관인입공은 벽체(B)의 표면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즉, 배관심도가 얕을수록 벽체(B)의 마감재 등이 훼손될 가능성은 커지게 되며, 얕은 배관심도로 인하여 전기배선박스를 벽체에 매립하는 경우 벽체철근(F)을 절단하거나 절곡해야 하는 문제를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인입공을 벽체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시키는 것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벽체훼손방지갭(S)에 의해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배관인입공(124)을 규정하는 외벽과 밀폐부(12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벽체훼손방지갭(S)에 의해 상기 배관인입공(124)은 벽체(B)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100)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걸림턱수용부(116)에 배관인입부(120)에 형성된 걸림턱(126)이 삽입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26)은 배관인입부(120)의 밀폐부(121)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126)은 상기 모서리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턱수용부(116)와의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수용부(116)는 상기 걸림턱(126)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126)이 삽입되도록 소정깊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126)은 상기 걸림턱(126)의 삽입 방향, 즉, 일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걸림턱(126)이 상기 걸림턱수용부(116)에 삽입되는 경우 부드러운 삽입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외력으로도 본체부(110)와 배관인입부(120)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와 동등한 외력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체부(110)와 배관인입부(120)의 결합을 손쉬운 방법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전기배선박스
110: 본체부
120: 배관인입부
121: 밀폐부
122: 가이드부
124: 배관인입공
130: 배관
S: 벽체훼손방지갭

Claims (7)

  1.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며, 배관이 인입되도록 하는 배관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인입부는 상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배선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축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배관이 인입되도록 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배관인입공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밀폐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전기배선이 굴곡 또는 꼬이지 않은 채 상기 본체부의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배관인입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배관인입공을 규정하는 외벽과 상기 밀폐부의 외면 사이에는 배관심도를 깊게 하여 벽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벽체훼손방지갭이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축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서리를 따라 외측으로도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와 상기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수용부를 구비하는 전기배선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턱의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기배선박스.
KR1020120072688A 2012-07-04 2012-07-04 전기배선박스 KR10131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88A KR101311073B1 (ko) 2012-07-04 2012-07-04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88A KR101311073B1 (ko) 2012-07-04 2012-07-04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073B1 true KR101311073B1 (ko) 2013-09-25

Family

ID=4945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88A KR101311073B1 (ko) 2012-07-04 2012-07-04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56A (ko) 2021-10-14 2023-04-21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음 콘센트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18Y1 (ko) 2002-02-26 2002-05-18 (주)대양 스위치 박스
KR200341331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417702Y1 (ko) * 2006-03-09 2006-06-02 유영재 아웃렛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18Y1 (ko) 2002-02-26 2002-05-18 (주)대양 스위치 박스
KR200341331Y1 (ko) * 2003-11-01 2004-02-11 아이월드 주식회사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417702Y1 (ko) * 2006-03-09 2006-06-02 유영재 아웃렛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56A (ko) 2021-10-14 2023-04-21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음 콘센트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149B1 (en) Electrical box voltage divider
CN106463925B (zh) 电气设备
US8772649B1 (en) Electrical box and frame assembly for shallow wall cavities formed by furring strips
KR101179851B1 (ko) 전기배선박스
US6831222B2 (en) Weatherproof junction box
CA2752402C (en) Open back box with ground screw bump
JP2014229611A (ja) 配電ストリップ
KR101311073B1 (ko) 전기배선박스
US20200032955A1 (en) Apparatuses Including Fixtures and/or Fixture Mounts and Related Methods
KR102107776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07282320A (ja) 電気接続箱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2364781B1 (ko)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KR100780146B1 (ko) 매립 광파이버 케이블용 콘센트
CN220692758U (zh) 一种接线盒及建筑结构
KR101372070B1 (ko) 전기배선박스
KR102576413B1 (ko) 배선박스를 원터치로 배선박스설치대에 조립하는 배선용박스 고정판넬
KR101461645B1 (ko) 공기조화기용 매립형 배관 접속함
KR200334706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하는 배선덕트
KR200287656Y1 (ko) 단자대
US8708738B1 (en)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