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00B1 -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700B1
KR101171700B1 KR1020110077197A KR20110077197A KR101171700B1 KR 101171700 B1 KR101171700 B1 KR 101171700B1 KR 1020110077197 A KR1020110077197 A KR 1020110077197A KR 20110077197 A KR20110077197 A KR 20110077197A KR 101171700 B1 KR101171700 B1 KR 10117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eter
cable tray
meter box
electric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102011007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미리 메인 간선에서 세대 간선을 분기한 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을 전기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결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The Method of Installing Electric Watt Meter Box for Cable Tray}
본 발명은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미리 메인 간선에서 세대 간선을 분기한 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을 전기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결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의 집합 건물에서 각 층에는 각 세대 또는 각 실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EPS실에는 상기 케이블 등을 원활히 배치 및 분배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 등으로부터 각 세대 또는 각 실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세대 또는 각 실별로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데. 이 전기계량기들은 각 층별 또는 구간별로 전기 차단기와 함께 전기계량기 함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기계량기 함은 상기 EPS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설치한다.
종래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을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EPS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배치된 메인 간선을 을 전기계량기 함에 인입하여 전기계량기 함 내에 세대별로 분기되는 세대 간선을 분기하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에서 상기 메인 간선을 전기계량기의 1차측과 결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전기계량기 함 내에서 메인 간선을 분기하는 방법은 전기계량기함 내의 좁은 공간에서 그 분기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어렵고 느슨한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의 메인 간선이 탈선하게 되는 등 누전 및 단전의 문제점도 종종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미리 메인 간선에서 세대 간선을 분기한 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을 전기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결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은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배치된 메인 간선으로부터 세대별로 분기되는 세대 간선을 분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분기된 세대 간선을 상기 전기계량기 함의 1차측에 결선하고 상기 전기계량기 함에 조립 설치된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계량기 함이 그 내부에 일정 폭만큼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를 가지는 전기계량기 함체에 상기 절개구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부착판을 설치하여 상기 부착판에 상기 전기계량기와 상기 전기차단기를 설치한 것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분기된 세대 간선은 상기 절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전기계량기 함의 1차측에 결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단계에서 세대별 인입 간선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벽면에 설치된 풀박스(PULL BOX)에서 인출된 간선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은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의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미리 메인 간선에서 세대 간선을 분기한 뒤,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게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을 전기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결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배치된 메인 간선(40)으로부터 세대 간선을 분기하는 작업과 상기 전기계량기 함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분리하여 진행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분업화가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이 고정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슬리브 단자대를 이용하여 세대 간선을 분기하는 과정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2세대용)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 함(4세대용)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전기계량기 함체에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의 전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 등이 용이하기 시설 및 분기하기 위하여 상기 집합건물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EPS(Electric Pipe Space)실이 각층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EPS실 내부에는 각 실(이하 ‘세대’라 함)로 전기, 통신 등의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1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 세대별로 공급되는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계량기 함(20)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은 상기 EPS실의 벽면(100)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10)에 전기계량기 함(20)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기계량기(23) 및 전기차단기(24)가 설치되지 않는 전기계량기 함체(21)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계량기 함체(21)에 전기계량기(23) 및 전기차단기(24)가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20)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계량기 함체(21)은 그 내부인 바닥면에 일정 폭만큼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22)를 가지게 하여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용이하게 케이블이 인입되게 하고 각 세대에 용이하게 케이블이 인출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슬리브 단자대를 이용하여 세대 간선을 분기하는 과정의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계량기 함(10)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하기 전에 선행되는 작업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배치되어 있는 메인 간선(40)으로부터 용이하게 각 세대에 공급되는 세대 간선(41)을 용이하게 분기하기 위하여 슬리브 단자대(30)를 이용한다. 상기 슬리브 단자대(30)는 이미 여러 형태로 제조되어 있고 공지공용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슬리브 단자대(30)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슬리브 단자대 브래킷(31)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슬리브 단자대 브래킷(31)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전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전면부(10)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슬리브 단자대(30)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견고히 고정 설치한다.
상기 슬리브 단자대(30)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간선(40)으로부터 해당 층의 세대별로 공급되는 세대 간선(41)을 분기하고, 그 분기된 세대 간선(41)은 상기 전기계량기 함(20) 내의 전기계량기(23)의 1차측과 결선될 정도의 길이로 한다.
이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전기계량기(23)와 전기차단기(24)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2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전기계량기 함(10)은 상기 절개구(22)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부착판(25)을 설치하여 상기 부착판(25)에 상기 전기계량기(23)와 상기 전기차단기(24) 등을 설치한 것이고 상기 전기계량기(23)와 상기 전기차단기(24) 간의 결선도 이루어진 상태로서, 현장에서 제작되지 않고 공장에서 미리 조립 설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계량기 함(10)은 상기 전기계량기(23)와 전기차단기(24) 외에 통신 모듈 단자대(27)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케이블 트레이 전면부(11)와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이 맞닿는 부분의 상, 하부에 고정 나사(25)를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 설치한다.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되면, 상기 슬리브 단자대(30)에 의하여 분기된 세대 간선(41)을 상기 전기계량기 함(10) 내에 설치된 각 세대별 전기계량기(23)의 1차측과 결선한다. 또한, 상기 전기차단기(24)의 2차측 간선(42)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한다. 상기 세대별 인입 간선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가 설치된 벽면(100)에 설치된 풀박스(PULL BOX, 50)에서 인출된 간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2세대용 전기계량기 함(2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4세대용 전기계량기 함(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전기계량기 함체에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도면으로서, 상기 전기 계량기 함(10)에서 상기 세대 간선(41)이 상기 전기계량기(23)의 1차측과 결선되고, 상기 2차측 간선(42)이 세대별 인입 간선과의 결선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 계량기 함(10)에 도어(28)를 설치한다. 상기 도어(28)는 상기 전기계량기(23)이 설치된 위치에 투명창(28b)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28)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전기계량기(23)의 계량 수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도어(28)는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된 구조가 아니고 양 측에 설치된 도어 잠금장치(28a)에 의하여 취부 또는 탈착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28)는 상, 하부에 돌출편(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전기계량기 함체(21)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하여 상기 전기계량기 함체(21)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 설치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 함(20)을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10)에 미리 슬리브 단자대(30)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배치된 메인 간선(40)으로부터 세대별로 분기되는 세대 간선(41)을 분기한다(S11 단계 참조).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전기계량기(23)와 전기차단기(24)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20)을 고정 설치한다(S12 단계 참조). 이 때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은 상기 전기계량기(23)와 상기 전기차단기(24) 간의 결선도 이루어진 상태이고 공장에서 미리 조립 설치된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기된 세대 간선(41)을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의 전기계량기(24)의 1차측에 결선하는 한편(S13 단계 참조), 상기 전기계량기 함(20)에 조립 설치된 상기 전기차단기(24)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한다(S14 단계 참조). 상기 S13 단계와 상기 S14 단계는 그 순서를 바꾸어서 작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 계량기 함(10)에서 상기 세대 간선(41)이 상기 전기계량기(23)의 1차측과 결선되고, 상기 2차측 간선(42)이 세대별 인입 간선과의 결선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 계량기 함(10)에 도어(28)를 설치한다(S15 단계 참조).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배치된 메인 간선(40)으로부터 세대 간선(41)을 분기하는 작업과 상기 전기계량기 함(10)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분리하여 진행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분업화가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설치 공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벽체 10: 케이블 트레이
11: 케이블 트레이 전면부 20: 전기계량기 함
21: 전기계량기 함체 22: 절개구
23: 전기계량기 24: 전기차단기
25: 부착판 26: 고정 나사
27: 통신모듈 단자 28: 도어
28a: 도어 잠금장치 28b: 투명창
30: 슬리브 단자대 31: 슬리브 단자대 브래킷
40: 메인 간선 41: 세대 간선
42: 2차측 간선 50: 풀박스

Claims (3)

  1. 케이블 트레이에 슬리브 단자대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배치된 메인 간선으로부터 세대별로 분기되는 세대 간선을 분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전기계량기와 전기차단기가 조립 설치된 전기계량기 함을 고정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분기된 세대 간선을 상기 전기계량기 함의 1차측에 결선하고 상기 전기계량기 함에 조립 설치된 상기 전기차단기의 2차측을 세대별 인입 간선과 결선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계량기 함은 그 내부가 일정 폭만큼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를 가지는 전기계량기 함체에 상기 절개구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부착판을 설치하여 상기 부착판에 상기 전기계량기와 상기 전기차단기를 설치한 것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분기된 세대 간선은 상기 절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전기계량기 함의 1차측에 결선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세대별 인입 간선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벽면에 설치된 풀박스(PULL BOX)에서 인출된 간선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20110077197A 2011-08-03 2011-08-03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117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97A KR101171700B1 (ko) 2011-08-03 2011-08-03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97A KR101171700B1 (ko) 2011-08-03 2011-08-03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700B1 true KR101171700B1 (ko) 2012-08-07

Family

ID=4688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97A KR101171700B1 (ko) 2011-08-03 2011-08-03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2B1 (ko) 2014-03-03 2014-04-02 김창덕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CN104569525A (zh) * 2015-01-13 2015-04-29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电能表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83B1 (ko)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066638B1 (ko) 2011-06-17 2011-09-21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KR101163929B1 (ko) 2011-05-23 2012-07-09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양면형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83B1 (ko)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163929B1 (ko) 2011-05-23 2012-07-09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양면형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시공방법
KR101066638B1 (ko) 2011-06-17 2011-09-21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2B1 (ko) 2014-03-03 2014-04-02 김창덕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CN104569525A (zh) * 2015-01-13 2015-04-29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电能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3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in-wall power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CN110469048B (zh) 一种装配式墙体的布线方法
US8455772B2 (en) Open back junction box and method for pre-fab wiring
KR101749649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US9531177B1 (en) TV bridge kit
KR20120020876A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110137912A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US10128646B1 (en) Two-gang TV bridge kit with pre-molded electrical cord for minimizing wiring terminations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13757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163960B1 (ko) 세대 통합 분전함
GB2430087A (en) Mounting box for electrical wiring accessories with pluggable connector
KR20120020877A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US9040848B2 (en) Open back junction box and method for pre-fab wiring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96807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JP2013219979A (ja) 電線引込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配電システム
KR20080068318A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80000659U (ko) 전기 계량기함
JP5712356B2 (ja) 充電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