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803B1 -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803B1
KR101187803B1 KR1020100031484A KR20100031484A KR101187803B1 KR 101187803 B1 KR101187803 B1 KR 101187803B1 KR 1020100031484 A KR1020100031484 A KR 1020100031484A KR 20100031484 A KR20100031484 A KR 20100031484A KR 101187803 B1 KR101187803 B1 KR 10118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upport frame
fire door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079A (ko
Inventor
강대신
Original Assignee
강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신 filed Critical 강대신
Priority to KR102010003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8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을 용접 없이 조립하는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 프레임의 양쪽으로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판과 후면판을 보강프레임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을 측방향으로 서로 끼워준 후 상하측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Fire door and method of assembly}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을 용접 없이 조립하는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범과 방재용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은 벽에 설치되는 방화문용 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되어 좌우 회동 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방화문은 내측으로 단열재가 채워진 보강 프레임을 기준으로 외기(外氣)와 접촉하는 전면판과 내기(內氣)와 접촉하는 후면판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단열재가 채워지는 보강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방화문의 구조는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도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절곡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되며, 특히 보강 프레임이 아닌 전면판과 후면판의 고정에 용접을 시키지 않고 고정을 이루지 못하는 어려움과 함께 자동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여 영세 사업자는 수작업으로 방화문을 제작하게 되므로, 방화문 제작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었다.
특히, 기존의 방화문이 덮개부를 구비하여 방화문용 프레임의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현재는 유럽형 방화문이라 불리는 덮개부가 형성되지 않는 형태의 방화문을 사용하는 추세이어서, 유럽형 방화문을 제작하여야 하나, 기존의 유럽형 방화문은 제작에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거나 수작업으로 작업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보강 프레임의 양쪽으로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판과 후면판을 보강프레임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을 측방향으로 서로 끼워준 후 상하측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의 상하측에 각각 지지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의 측면에는 일측으로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1
형태의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판의 측면에는 일측으로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2
형태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의 끼움홈에 후면판의 측면이 끼워지고 후면판의 끼움홈에 전면판의 측면이 끼워지며, 상기 후면판의 상하부와 전면판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마감프레임을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의 결합시 용접 작업 없이 끼움 방식에 의한 조립과 나사를 박는 작업으로 간단히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럽형 방화문의 제작에 있어서,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으로 끼움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으로써 결합되게 한 후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부는 지지프레임에 꺾어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의 조립과정에서 용접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방화문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방화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방화문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 방화문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방화문의 상부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방화문의 상부 조립 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방화문의 상부 조립 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방화문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방화문의 하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방화문의 하부 조립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방화문의 하부 조립 후 단면도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용접을 하지 않으면서 고가의 장비를 이용치 않고도 방화문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조립 방식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문(100)의 전면을 이루어는 전면판(10)과, 방화문(100)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판(20)과,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내측에 위치하고 단열재가 채워지는 보강 프레임(30)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인 방식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보강 프레임(3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용접 작업 없이 끼움방식과 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30)은 단열재가 내부에 끼워져 방화문(100)의 기본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규격화된 방화문(100)을 구성하기 위해 공장에서 직사각체 형태로 고정시키게 되며, 용접을 하지 않고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내측은 전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방화문(100) 제작 시 보강 프레임(30)의 내측으로 단열재를 채워주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강프레임(30)에는 상측으로 도 3과 같이 후방이 상부로 돌출된 지지프레임(31)을 고정하고,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하측에는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3
형태의 받침프레임(32)을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프레임(31)에는 후방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받침프레임(32)에는 전후방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1)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와 받침프레임(20)의 후방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후면판(20)의 상하부가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는 형태로 도 6 및 도 10과 같이 고정되고, 받침프레임(32)의 전방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전면판(10)의 하부가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는 형태로 도 10과 같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전면판(10)은 상측과 양쪽으로 일정폭과 길이를 갖게 ㄷ자 형태로 꺾어주어 방화문(100)의 전면 양측과 상측에 돌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10)의 하측으로는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도 10과 같이 ㄴ자 형태를 갖도록 꺾어주며, 상기 전면판(10)의 측면으로는 한쪽 측면에는 일자 형태를 갖고 다른쪽 측면에는 ㄷ자형태의 끼움홈(12)을 도 3 및 도 7과 같이 형성한다.
여기서 끼움홈(12)은 전면판(20)의 한 쪽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후면판(20)은 상하측으로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ㄱ자 형태로 도 3 및 도 8과 같이 꺾어주고, 상기 후면판(20)의 측면으로는 한쪽 측면에는 일자 형태를 갖고 다른 쪽 측면에는 ㄷ자형태의 끼움홈(22)을 도 3및 도 7과 같이 형성한다.
여기서 끼움홈(22)은 후면판(20)의 한 쪽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면 도 7과 같이 전면판(10)의 끼움홈(12)에 후면판(20)의 일자형 측면이 끼워지고, 후면판(20)의 끼움홈(22)에 전면판(10)의 일자형 측면이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화문(100)에는 상측으로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4
자 형태의 마감프레임(33)을 끼운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31)에 고정시켜 지지프레임(31)의 돌출부 내측을 채워줌으로써 방화문(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성의 방화문(100)은 직육각체 형상의 보강프레임(30)을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상측으로 후방 상부가 돌출되는 형태의 지지프레임(31)을 고정시키는 한편 보강프레임(30)의 하측으로 전후방 하부가 돌출되는 형태의 받침프레임(32)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전방에는 양측면과 상부에 돌출부(11)가 형성되게 절곡되고 일측면 선단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타측면은 끼움홈(12)을 형성하게 절곡되는 전면판(10)을 위치시키고, 보강프레임(30)의 후방에는 일측면 선단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타측면은 끼움홈(22)을 형성하게 절곡되는 후면판(20)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면판(10)의 측면 끼움홈(12)에는 후면판(2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지고, 후면판(20)의 측면 끼움홈(22)에는 전면판(1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져 고정되는 과정과: 상기 후면판(20)의 상부를 지지프레임(31)의 내측으로 꺾어주어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후면판(20)의 하부와 전면판(10)의 하부를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주어 밀착 고정시키는 과정과; 지지프레임(30)의 돌출부위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로 마감프레임(33)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측면이 각각 끼움홈(12)(22)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고,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상하부는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화문을 조립하는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육각체 형상의 보강프레임(30)을 제작하는 과정은 앵글 등을 이용하여 강도 보강용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전후면은 개방된 상태이고, 내부에는 단열재를 채워주어 단열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러한 보강프레임(30)의 전후방에 각각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결합시킴으로써 방화문(100)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보강프레임(30)의 제작이 완료되면 보강프레임(30)의 상측으로 지지프레임(31)을 고정하고, 하측에는 받침프레임(32)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지지프레임(31)은 후방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고, 받침프레임(32)은 전방과 후방이 모두 하부로 돌출되는 단면이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5
자 형태를 갖게 된다.
보강프레임(30)에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1)이 고정된 후에는 보강프레임(30)의 전면에는 전면판(10)을 위치시키고, 보강프레임(30)의 후면에는 후면판(20)을 위치시키되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은 서로 결합 고정되는 한편 보강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에 의해서도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전면판(10)은 상측과 양측면을 일정폭의 돌출부(11)를 형성하도록 절곡하되 전면판(10)의 양쪽 측면은 각각 일직선 형태가 되게 하거나 ㄷ자 형태의 끼움홈(12)으로 절곡되게 하고, 전면판(10)의 하부는 받침프레임(32) 쪽을 향하게 ㄴ자 형태로 꺾어 주게 된다.
본 발명의 후면판(20)은 양측 측면을 각각 일직선 형태가 되게 하거나 ㄷ자 형태의 끼움홈(22)으로 절곡하고, 후면판(22)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 쪽을 향하게 ㄴ자 형태로 꺾어 주게 된다.
여기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는 경우 전면판(10)의 끼움홈(12)과 후면판(20)의 끼움홈(22)은 대칭적인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측면이 상기 끼움홈(12)(22)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전면판(10)의 측면 끼움홈(12)에는 후면판(2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지게 하고, 후면판(20)의 측면 끼움홈(22)에는 전면판(1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도 7과 같이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결합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양쪽에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화문(100)을 구성한 후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분리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위와 같이 보강프레임(30)이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양쪽 끼움홈(12)(22)을 이용한 결합이 완료되면, 먼저 후면판(10)의 상부를 지지프레임(30)의 내측으로 꺾어 주어 지지프레임(30)의 후방 상측에 밀착 고정되게 하고, 다시 후면판(20)의 하부와 전면판(10)의 하부를 받침프레임(30)의 내측으로 꺾어 주어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즉, 후면판(20)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고, 전면판(10)은 하측만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져 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이 완료되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은 서로 측면이 결합되고,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상하부는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31)의 돌출부위 내측으로
Figure 112010021931584-pat00006
자 형태의 마감프레임(33)을 끼워 공간을 없앤 후 나사로 마감프레임(33)을 지지프레임(31)에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10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화문(100)은 조립 과정에서 용접을 하지 않고, 또한 대형기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간단히 조립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용접 기능사를 활용하지 않고도 방화문(100)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10 : 전면판 11 : 돌출부
12 : 끼움홈 20 : 후면판
22 : 끼움홈 30 : 보강프레임
31 : 지지프레임 32 : 받침프레임
33 : 마감프레임 100 : 방화문

Claims (4)

  1. 직사각체 형태를 갖는 보강프레임(30)의 상하측에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을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판(10)의 측면은 일자형으로 하되 일측에만
    Figure 112012028207028-pat00020
    형태의 끼움홈(12)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판(20)의 측면은 일자형으로 하되 일측에만
    Figure 112012028207028-pat00021
    형태의 끼움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10)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에는 후면판(20)의 측면에 형성된 일자형 측면이 끼워지고 후면판(20)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에는 전면판(10)의 측면에 형성된 일자형 측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후면판(2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지지프레임(31)과 받침프레임(32)에서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를 내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절곡하여 밀착 고정시키되 전면판(10)의 하부는 받침프레임(32)의 하방향으로 돌출된 부위를 내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절곡하여 밀착 고정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상부에는
    Figure 112012028207028-pat00022
    자 형태의 마감프레임(33)을 끼운 후 나사로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직육각체 형상의 보강프레임(30)을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상측으로 전방이 하측을 향하게 꺾어지고 후방이 상부을 향하게 꺾어지는 형태의 지지프레임(31)을 고정시키는 한편 보강프레임(30)의 하측으로 전후방이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받침프레임(32)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전방에는 양측면과 상부에 돌출부(11)가 형성되게 절곡되고 일측면 선단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타측면은 끼움홈(12)을 형성하게 절곡되는 전면판(10)을 위치시키고, 보강프레임(30)의 후방에는 일측면 선단은 일직선 형태를 가지며 타측면은 끼움홈(22)을 형성하게 절곡되는 후면판(20)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면판(10)의 측면 끼움홈(12)에는 후면판(2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지고, 후면판(20)의 측면 끼움홈(22)에는 전면판(10)의 일직선 형태의 측면이 끼워져 고정되는 과정과;
    상기 후면판(10)의 상부를 지지프레임(31)의 내측으로 꺾어 주어 밀착 고정시키는 한편 후면판(20)의 하부와 전면판(10)의 하부를 받침프레임(32)의 내측으로 꺾어주어 밀착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돌출부위 내측으로 마감 프레임(33)을 끼운 후 나사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화문 조립방법.
KR1020100031484A 2010-04-06 2010-04-06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KR10118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84A KR101187803B1 (ko) 2010-04-06 2010-04-06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84A KR101187803B1 (ko) 2010-04-06 2010-04-06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79A KR20110112079A (ko) 2011-10-12
KR101187803B1 true KR101187803B1 (ko) 2012-10-02

Family

ID=4502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84A KR101187803B1 (ko) 2010-04-06 2010-04-06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514A (ko) 2014-06-12 2015-12-22 강대신 조립식 방화문
KR20200058916A (ko) 2018-11-20 2020-05-28 최재고 방화문의 조립식 인너프레임
KR20210022874A (ko) 2019-08-21 2021-03-04 아주엠씨엠(주) 방화문의 자동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985A (zh) * 2015-09-18 2015-12-23 安徽乐金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理疗房
KR20220145996A (ko) 2021-04-23 2022-11-01 곽장해 방화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514A (ko) 2014-06-12 2015-12-22 강대신 조립식 방화문
KR101611549B1 (ko) * 2014-06-12 2016-04-12 강대신 조립식 방화문
KR20200058916A (ko) 2018-11-20 2020-05-28 최재고 방화문의 조립식 인너프레임
KR20210022874A (ko) 2019-08-21 2021-03-04 아주엠씨엠(주) 방화문의 자동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79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549B1 (ko) 조립식 방화문
KR101187803B1 (ko)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KR101465396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JP7211905B2 (ja) 建具
KR101331205B1 (ko)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611587B1 (ko) 자체 보강구조를 갖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471B1 (ko) 커튼월 구조
JP486329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パネルユニット
JP4027920B2 (ja) 樹脂サッシ
JP6510752B2 (ja) 開口部装置
KR20150083194A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101050218B1 (ko) 기능성 난방장치
JP6595407B2 (ja) 障子及び建具
JP7386056B2 (ja) 建具
JP2015048572A (ja) 樹脂製建具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JP2018071257A5 (ko)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JP6009374B2 (ja) 建具
JP4897436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壁体構造
JP6494365B2 (ja) ドア
KR101602673B1 (ko)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