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205B1 -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205B1
KR101331205B1 KR1020130083888A KR20130083888A KR101331205B1 KR 101331205 B1 KR101331205 B1 KR 101331205B1 KR 1020130083888 A KR1020130083888 A KR 1020130083888A KR 20130083888 A KR20130083888 A KR 20130083888A KR 101331205 B1 KR101331205 B1 KR 10133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rizontal
female
mal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진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to KR102013008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장방형 단면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을 실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중간공간이 개재되어 배치하고, 상기 중간공간에 중간단열재가 삽입되게 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에 삽입된 내부단열부재와 외부단열부재가 상기 중간단열부재를 관통하여 서로 암수결합되게 함으로써, 내외의 단열공간을 나누는 경계 부위가 종래보다 두꺼워져 종래보다 단열효과가 증대되고, 중간단열공간만을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열재료가 종래보다 절감되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STAINLESS WINDOW FRAME HAVING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외부 및 내부 프레임 사이에 단열부재가 개재되어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창호는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창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에는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의 단열을 위해 단열재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덧붙여, 종래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단열재가 결합될 수 있는 복잡한 구조도 쉽게 성형할 수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알루미늄 재질이 아닌 스테인레스 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창호 프레임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창호 프레임에도 마찬가지로 실내측과 실외측 사이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 결합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인레스는 통상 롤 포밍 장치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므로, 알루미늄에 비해 가공 및 성형성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재질의 창호 프레임에 단열재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호 프레임이 한국등록특허제10-12172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은 구획판에 의해 내부에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단열공간을 갖되, 둘레 방향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열부재; 상기 두 개의 단열공간 중 어느 하나의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부재의 외면을 절곡되어 감싸는 제1 외부 프레임; 및 상기 두 개의 단열공간 중 다른 하나의 단열공간을 이루는 단열부재의 외면을 절곡되어 감싸는 제2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고정창이 삽입되는 고정창 삽입홈; 및 단열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제2 외부 프레임의 끝단은 상기 돌기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창호 프레임은 내외의 단열공간을 나누는 경계 부위가 얇아 단열효과가 미비하고, 2개의 단열공간을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열재료가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중공의 장방형 단면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을 실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중간공간이 개재되어 배치하고, 상기 중간공간에 중간단열재가 삽입되게 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에 삽입된 내부단열부재와 외부단열부재가 상기 중간단열부재를 관통하여 서로 암수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내외의 단열공간을 나누는 경계 부위가 종래보다 두꺼워져 종래보다 단열효과가 증대되고, 중간단열공간만을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열재료가 종래보다 절감되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창호 프레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서 취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서 취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에서 취한 측면도, 및
도 5는 도 1의 5-5선에서 취한 측면도.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프레임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창호 프레임이 부호 1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및 상측에 고정창을 고정하기 위해 사각수평바(H)와 사각수직바(V)가 이음되어 복수개의 장방형 공간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창틀(2)과, 그리고 타측의 하측에 여단이 문을 선회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각수평바(H)와 사각수직바(V)가 이음되어 하나의 장방형 공간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문틀(3)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2)은 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공간(S)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 내창틀(20A)과 외창틀(20B)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문틀(3)도 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경되어 중간공간(S)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 내문틀(30A)과 외문틀(30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간공간(S)에는 단열부재(50), 고정창(60) 및 문(7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창틀(2)의 내창틀(20A)의 사각수직바(V)와 외창틀(20B)의 사각수직바(V)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그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서 뻗은 길다란 수직슬롯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창틀(2)의 내창틀(20A)의 사각수평바(H)와 외창틀(20B)의 사각수평바(H)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그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서 뻗은 길다란 수평슬롯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부재(50)는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형단열바(51) 및 숫형단열바(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암형단열바(51)는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의 양측벽부와 맞닿음하는 또는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의 상하벽부와 맞닿음하는 몸체(51A); 상기 수직슬롯관통구멍(21) 또는 수평슬롯관통구멍(22)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또는 사각수평바(H) 쪽으로 뻗어서 상기 중간공간(S) 내에 선단이 위치된 암형돌기부(51B); 상기 암형돌기부(51B)에 등을 진 몸체(51A)의 면에 형성된 T자형 돌기부(51C); 상기 암형돌기부(51B)에서 상기 몸체(51A)의 폭방향 양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암형돌기부(51B)를 향한 면에서 상기 몸체(51A)의 폭방향 양측 부위에 한 쌍의 암형부(51D)가 형성된 걸음부(51E); 그리고 상기 몸체(51A), 상기 암형돌기부(51B), 및 상기 걸음부(51E)의 중앙에 서로 유통하게 형성된 중공부(51F)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숫형단열바(52)는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의 양측벽부와 맞닿음하는 또는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의 상하벽부와 맞닿음하는 몸체(52A); 상기 수직슬롯관통구멍(21) 또는 수평슬롯관통구멍(22)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또는 사각수평바(H) 쪽으로 뻗어서 상기 중간공간(S) 내에 선단이 위치된 수형돌기부(52B); 상기 숫형돌기부(52B)에 등을 진 몸체(52A)의 면에 형성된 T자형 돌기부(52C); 상기 숫형돌기부(52B)에서 상기 몸체(52A)의 폭방향 양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숫형돌기부(52B)를 향한 면에서 상기 몸체(52A)의 폭방향 양측 부위에 한 쌍의 암형부(52D)가 형성된 걸음부(52E); 그리고 상기 몸체(52A), 상기 숫형돌기부(52B), 및 상기 걸음부(52E)의 중앙에 서로 유통하게 형성된 중공부(52F)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50)는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들 사이의 중간공간(S)에 배치되어 양측벽이 상기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의 마주하는 벽부에 면접촉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양측벽에 형성된 숫형부(53D)가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 중 일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일측 암형부(52D)에 암수결합되는 제1마감단열바(5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53D)가 형성된 부위와 등을 진 부위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하기 위한 암수결합형상부(53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50)는 상기 사각수평바(H)들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바로 면하고 있거나 문에 면하고 있는 사각수평바(H)의 높이가 다른 사각수평바(H)의 높이 보다 크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제1마감단열바(53)의 높이 보다 긴 높이를 가진 제2마감단열바(54)는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마감단열바(54)는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들 사이의 중간공간(S)에 배치되어 양측벽이 상기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의 마주하는 벽부에 면접촉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의 양측벽에는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부(5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54D)가 형성된 부위와 등을 진 부위 즉 바닥을 향한 부위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하기 위한 암수결합형상부(54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부재(50)는 폴리아미드재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된 사각수평바(H)와 사각수직바(V)에 의해 만들어진 내창틀(20A)과 외창틀(20B) 및 내문틀(30A)과 외문틀(30B)에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열부재(50)를 다음과 같이 장착하여 창호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고정창 또는 건물벽부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V)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V)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직바(V)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직바(V)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를 삽입 장착하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직바(V)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직바(V)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를 삽입 장착하고,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외측의 사각수직바(V, V)의 폭방향 양측에 제1마감단열바(53)를 삽입하여 상기 암형 및 숫형 단열바(51, 52)의 일측 및 타측 암형부(51D, 52D; 51D, 52D) 각각에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양측의 숫형부(53D, 53D)를 압수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와 고정창(60) 사이에는 시일(61)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외측 사각수직바(V, V) 사이에 개재되어 문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암수결합형상부(53G)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시킨다.
한편, 상측부가 건물의 천정에 면하고 있고 하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천정측의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천정측의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를 삽입 장착하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를 삽입 장착하고,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외측의 사각수평바(H, H)의 높이 방향 상측에 제1마감단열바(53)를 삽입하여 상기 암형 및 숫형 단열바(51, 52)의 일측 암형부(51D, 52D)에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양측의 숫형부(53D, 53D) 각각을 압수결합시킨다.
또한, 상측부와 하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중간측의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중간측의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를 삽입 장착하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를 삽입 장착한다.
또한, 상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고 하측부가 바닥 또는 문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바닥 또는 문에 인접한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바닥 또는 문에 인접한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를 삽입 장착하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를 삽입 장착한다.
또한, 상기 천정측 사각수평바(H, H)와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 사이에 개재된 고정창에 있어서는 그 상측 및 하측을 시일(61, 61) 각각을 개재하여 상기 천정측 사각수평바(H, H)와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에 결합시키고, 그리고 고정창의 하측과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의 단열부재(50) 사이에는 우드블록(62)을 개재시킨다.
또한,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와 상기 바닥측 사각수평바(H, H) 사이에 개재된 고정창에 있어서는 그 상측 및 하측을 시일(61, 61) 각각을 개재하여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와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에 결합시키고, 그리고 고정창의 하측과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의 단열부재(50) 사이에는 우드블록(62)을 개재시킨다. 그리고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제2마감단열바아(54)의 숫형부(54D)를 장착시키고 다시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에 다른 하나의 제2마감단열바(54)를 장착시킨다.
또한, 문(70)에 인접한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제2마감단열바(54)의 숫형부(54D)를 장착시키고, 문(70)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의 암수결합형상부(54G)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가지고서 상기된 조립 방식으로 조립된 본 실시예의 창호 프레임(1)은 내외의 단열공간을 나누는 경계 부위가 종래보다 두꺼워져 종래보다 단열효과가 증대되고, 중간단열공간만을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열재료가 종래보다 절감되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창과 단열부재 간에 우드블록을 개재시키는 작업과 문과 단열부재 간에 모헤어를 개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창호프레임, 2; 창틀, 3; 문틀 20A; 내창틀, 20B; 외창틀, 30A; 내문틀, 30B; 외문틀, 50; 단열부재, 60; 고정창, 70; 문, H; 사각수평바, S; 중간공간, V;사각수직바

Claims (5)

  1. 일측 및 상측에 고정창을 고정하기 위해 사각수평바(H)와 사각수직바(V)가 이음되어 복수개의 장방형 공간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창틀(2)과, 그리고 타측의 하측에 여단이 문을 선회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각수평바(H)와 사각수직바(V)가 이음되어 하나의 장방형 공간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문틀(3)을 포함하고 있는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틀(2)은 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공간(S)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 내창틀(20A)과 외창틀(20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문틀(3)은 내외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공간(S)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 내문틀(30A)과 외문틀(30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간공간(S)에는 단열부재(50), 고정창(60) 및 문(7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창틀(2)의 내창틀(20A)의 사각수직바(V)와 외창틀(20B)의 사각수직바(V)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그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서 뻗은 길다란 수직슬롯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창틀(2)의 내창틀(20A)의 사각수평바(H)와 외창틀(20B)의 사각수평바(H)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그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서 뻗은 길다란 수평슬롯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부재(50)는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형단열바(51) 및 숫형단열바(52)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단열바(51)는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의 양측벽부와 맞닿음하는 또는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의 상하벽부와 맞닿음하는 몸체(51A); 상기 수직슬롯관통구멍(21) 또는 수평슬롯관통구멍(22)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또는 사각수평바(H) 쪽으로 뻗어서 상기 중간공간(S) 내에 선단이 위치된 암형돌기부(51B); 상기 암형돌기부(51B)에 등을 진 몸체(51A)의 면에 형성된 T자형 돌기부(51C); 상기 암형돌기부(51B)에서 상기 몸체(51A)의 폭방향 양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암형돌기부(51B)를 향한 면에서 상기 몸체(51A)의 폭방향 양측 부위에 한 쌍의 암형부(51D)가 형성된 걸음부(51E); 그리고 상기 몸체(51A), 상기 암형돌기부(51B), 및 상기 걸음부(51E)의 중앙에 서로 유통하게 형성된 중공부(51F)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숫형단열바(52)는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사각수직바(V)의 내부공간의 양측벽부와 맞닿음하는 또는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사각수평바(H)의 내부공간의 상하벽부와 맞닿음하는 몸체(52A); 상기 수직슬롯관통구멍(21) 또는 수평슬롯관통구멍(22)을 관통하여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또는 사각수평바(H) 쪽으로 뻗어서 상기 중간공간(S) 내에 선단이 위치된 숫형돌기부(52B); 상기 숫형돌기부(52B)에 등을 진 몸체(52A)의 면에 형성된 T자형 돌기부(52C); 상기 숫형돌기부(52B)에서 상기 몸체(52A)의 폭방향 양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숫형돌기부(52B)를 향한 면에서 상기 몸체(52A)의 폭방향 양측 부위에 한 쌍의 암형부(52D)가 형성된 걸음부(52E); 그리고 상기 몸체(52A), 상기 숫형돌기부(52B), 및 상기 걸음부(52E)의 중앙에 서로 유통하게 형성된 중공부(52F)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50)는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들 사이의 중간공간(S)에 배치되어 양측벽이 상기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의 마주하는 벽부에 면접촉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양측벽에 형성된 숫형부(53D)가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 중 일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일측 암형부(52D)에 암수결합되는 제1마감단열바(53)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53D)가 형성된 부위와 등을 진 부위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하기 위한 암수결합형상부(53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50)는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높이 보다 긴 높이를 가진 제2마감단열바(54)는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마감단열바(54)는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들 사이의 중간공간(S)에 배치되어 양측벽이 상기 마주하는 사각수평바(H, H)의 마주하는 벽부에 면접촉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의 양측벽에는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부(54D)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에 있어서 상기 숫형부(54D)가 형성된 부위와 등을 진 부위 즉 바닥을 향한 부위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을 암수결합하기 위한 암수결합형상부(54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고정창 또는 건물벽부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V)에 대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사각수직바(V, V)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직바(V)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직바(V)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직바(V)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직바(V)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외측의 사각수직바(V, V)의 폭방향 양측에 제1마감단열바(53)가 삽입되어 상기 암형 및 숫형 단열바(51, 52)의 일측 및 타측 암형부(51D, 52D; 51D, 52D) 각각에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양측의 숫형부(53D, 53D)가 암수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와 고정창(60) 사이에는 시일(61)이 개재되어 있고,
    상측부가 건물의 천정에 면하고 있고 하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천정측의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천정측의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상기 중간공간(S)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내측 및 외측의 사각수평바(H, H)의 높이 방향 상측에 제1마감단열바(53)가 삽입되어 상기 암형 및 숫형 단열바(51, 52)의 일측 암형부(51D, 52D)에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양측의 숫형부(53D, 53D) 각각이 암수결합되어 있고,
    상측부와 하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중간측의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중간측의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상측부가 고정창에 면하고 있고 하측부가 바닥 또는 문에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바닥 또는 문에 인접한 사각수평바(H, H)에 대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바닥 또는 문에 인접한 사각수평바(H, H) 중 건물 내측에 위치된 내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내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암형단열바(51)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건물 외측에 위치된 외측의 사각수평바(H)에 상기 외측의 사각수평바(H)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숫형단열바(52)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상기 천정측 사각수평바(H, H)와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 사이에 개재된 고정창에 있어서는 그 상측 및 하측이 시일(61, 61) 각각을 개재하여 상기 천정측 사각수평바(H, H)와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에 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고정창의 하측과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의 단열부재(50) 사이에는 우드블록(62)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와 상기 바닥측 사각수평바(H, H) 사이에 개재된 고정창에 있어서는 그 상측 및 하측이 시일(61, 61) 각각을 개재하여 상기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와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에 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고정창의 하측과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의 단열부재(50) 사이에는 우드블록(62)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5. 제 4항에 있어서,
    바닥측 사각수평바(H, H)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제2마감단열바아(54)의 숫형부(54D)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에 다른 하나의 제2마감단열바(5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외측 사각수직바(V, V) 사이에 개재되어 문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제1마감단열바(53)의 암수결합형상부(53G)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가 암수결합되어 있고,
    문(70)에 인접한 중간측 사각수평바(H, H)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암형단열바(51)의 한 쌍의 암형부(51D)중 타측 암형부(51D) 및 상기 숫형단열바(52)의 한 쌍의 암형부(52D) 중 타측 암형부(52D)에 제2마감단열바(54)의 숫형부(54D)가 장착되어 있고, 문(70)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제2마감단열바(54)의 암수결합형상부(54G)에는 모헤어(55)가 심어진 브래킷(56)이 암수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20130083888A 2013-07-17 2013-07-17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33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888A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07-17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888A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07-17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205B1 true KR101331205B1 (ko) 2013-11-26

Family

ID=4985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888A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07-17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205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68B1 (ko) 2014-03-17 2014-08-28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441071B1 (ko) 2014-04-24 2014-09-17 주식회사 반석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1441068B1 (ko) 2014-04-24 2014-09-17 주식회사 반석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의 단열구조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84723B1 (ko) * 2014-06-13 2015-01-28 (주)창명건업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60004608A (ko) * 2014-07-03 2016-01-13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160021647A (ko)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71834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635535B1 (ko) * 2015-09-02 2016-07-04 김태준 열전도 차단형 커튼월
KR20160002972U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02973U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125742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윈스틸 여닫이 도어의 강화유리 문짝을 위한 알루미늄재의 문틀
KR101840710B1 (ko) * 2016-06-22 2018-05-04 (주)노성 Al창호 단열차단구조
KR20180061867A (ko) *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1891334B1 (ko) * 2017-08-25 2018-08-23 김현종 하이브리드형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101924856B1 (ko)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20190001747A (ko) * 2017-06-28 2019-01-07 주영준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20210156398A (ko) 2020-06-17 2021-12-27 김관기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2161A1 (en) 2004-07-24 2006-02-16 Rytec Corporation D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8053280A2 (en) 2006-10-31 2008-05-08 Mood Mobilya Dekorasyon Insaat Sanayi Ve Ticaret A.S. Frame profiles
KR101014297B1 (ko) 2010-02-12 2011-02-16 금산창호시스템주식회사 창호
KR101217213B1 (ko) 2012-08-30 2012-12-31 (주)영남유리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2161A1 (en) 2004-07-24 2006-02-16 Rytec Corporation D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8053280A2 (en) 2006-10-31 2008-05-08 Mood Mobilya Dekorasyon Insaat Sanayi Ve Ticaret A.S. Frame profiles
KR101014297B1 (ko) 2010-02-12 2011-02-16 금산창호시스템주식회사 창호
KR101217213B1 (ko) 2012-08-30 2012-12-31 (주)영남유리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68B1 (ko) 2014-03-17 2014-08-28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441071B1 (ko) 2014-04-24 2014-09-17 주식회사 반석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1441068B1 (ko) 2014-04-24 2014-09-17 주식회사 반석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의 단열구조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84723B1 (ko) * 2014-06-13 2015-01-28 (주)창명건업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60004608A (ko) * 2014-07-03 2016-01-13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101616317B1 (ko) 2014-07-03 2016-04-28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160021647A (ko)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71834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02972U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002973U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60125742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윈스틸 여닫이 도어의 강화유리 문짝을 위한 알루미늄재의 문틀
KR101685137B1 (ko) * 2015-04-22 2016-12-09 주식회사 윈스틸 여닫이 도어의 강화유리 문짝을 위한 알루미늄재의 문틀
KR101635535B1 (ko) * 2015-09-02 2016-07-04 김태준 열전도 차단형 커튼월
KR101840710B1 (ko) * 2016-06-22 2018-05-04 (주)노성 Al창호 단열차단구조
KR20180061867A (ko) * 2016-11-30 2018-06-08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101924856B1 (ko) 2017-06-28 2018-12-04 주영준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KR20190001747A (ko) * 2017-06-28 2019-01-07 주영준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101993477B1 (ko) * 2017-06-28 2019-06-26 주영준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
KR101891334B1 (ko) * 2017-08-25 2018-08-23 김현종 하이브리드형 창호용 단열 프레임
KR20210156398A (ko) 2020-06-17 2021-12-27 김관기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205B1 (ko)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RU2454523C2 (ru) Двухслойное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вентиляции
JP6831073B2 (ja) 建具
KR101194687B1 (ko) 미닫이 창문에 구비된 고정틀과 가동틀 간의 단열구조
US2007618A (en) Partition structure
ITVI20060046A1 (it) Struttura di tetto modulare per edifici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JP6831070B2 (ja) 建具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JP7369812B2 (ja) 防火パネル
JP201618849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物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JP201006545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7026586B2 (ja) 建物外壁の排水構造
JP490749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5809601B2 (ja) 建具
JP6661364B2 (ja) 建具
JP2011196102A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2009121155A (ja) 建具構造
KR102189186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40054571A (ko) 고강도 수직 멀리온 구조가 적용된 창호
KR101326381B1 (ko) 무메지 lsp 조립식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