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72U - 단열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72U
KR20160002972U KR2020150001124U KR20150001124U KR20160002972U KR 20160002972 U KR20160002972 U KR 20160002972U KR 2020150001124 U KR2020150001124 U KR 2020150001124U KR 20150001124 U KR20150001124 U KR 20150001124U KR 20160002972 U KR20160002972 U KR 20160002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rame
insulating material
inner heat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09Y1 (ko
Inventor
곽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to KR2020150001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0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92Glaz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부에 일면에 걸림턱을 형성한 내측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된 위치에 외측프레임을 설치하며, 이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유리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측벽을 갖는 내부단열재를 구비하되, 이 내부단열재의 걸림돌기를 내측프레임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하고, 결합돌부를 외측프레임의 결합홈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내, 외측프레임을 통해 내부단열재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내부단열재에 차단되어 실, 내외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유리두께에 대응하는 측벽을 갖는 내부단열재를 손쉽게 교체하여 내, 외측프레임 사이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단열재 교체로 유리가 삽입되는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 조절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유리를 손쉽게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내, 외측프레임을 통해 내부단열재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내부단열재에 의해 차단되어 실, 내외로 내,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내부단열재를 교체하는 단순 작업으로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이 유리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따라, 냉난방 효율 상승과 동시에 원가절감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열 창호 프레임{Insulation windows and doors frame}
본 고안은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내부단열재를 선택 체결하여, 유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내, 외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에는 창호의 테두리를 감싸는 벽체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벽체 프레임은 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호나 벽체의 외장패널을 지지한다.
이때, 벽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창호는 시야확보 및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을 하고, 이 창호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벽체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의 벽체 프레임 및 창호는 건물 내, 외부 공간을 구획하여 건물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건물 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내창틀 및 외창틀이 구비되고, 상기 내, 외창틀의 서로 마주보는 일 측면에 서로 맞닿아 이음되는 암형단열바와 숫형단열바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숫형단열바의 숫형돌기부가 상기 암형단열바의 암형돌부에 끼워져 서로 맞닿아 이음된다.
이때, 상기 암형단열바와 숫형단열바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를 통해 내, 외기가 잔류되어, 내기가 실외로 방출되거나 혹은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창호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암, 숫형돌기부 길이에 의해 내, 외창틀 사이 간격이 제한되어 내, 외창틀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없고, 유리두께에 따라 내, 외창틀에 고정되는 암, 숫형단열바를 직접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암, 숫형돌기부를 유리두께에 대응되는 다양한 길이로 제작시 제작비용이 증가되며, 내, 외기가 암, 숫형돌기부를 통해 실, 내외로 손쉽게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어 냉난방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따라, 에너지 소비율 향상과 동시에 제작비용 증가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31205 B1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내부에 일면에 걸림턱을 형성한 내측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된 위치에 외측프레임을 설치하며, 이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유리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측벽을 갖는 내부단열재를 구비하되, 이 내부단열재의 걸림돌기를 내측프레임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하고, 결합돌부를 외측프레임의 결합홈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내, 외측프레임을 통해 내부단열재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내부단열재에 차단되어 실, 내외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유리두께에 대응하는 측벽을 갖는 내부단열재를 손쉽게 교체하여 내, 외측프레임 사이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단열 창호 프레임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프레임;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 사이에 상기 측벽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구획벽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의 결함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있는 내부단열재; 상기 외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의 구획벽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는, 상기 측벽 사이에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프레임;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 사이에 상기 측벽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측벽의 일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밀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된 내부단열재; 상기 외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의 구획벽 내면에 밀착 설치되는 보강판;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의 구획벽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제2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단열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는, 상기 측벽 사이에 상기 구획벽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내부단열재 교체로 유리가 삽입되는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 조절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유리를 손쉽게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내, 외측프레임을 통해 내부단열재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내부단열재에 의해 차단되어 실, 내외로 내,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내부단열재를 교체하는 단순 작업으로 내, 외측프레임 사이 간격이 유리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따라, 냉난방 효율 상승과 동시에 원가절감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프레임의 내, 외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의 내, 외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측프레임(100)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걸림턱(101)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리(G)의 테두리를 지지한다.
상기 걸림턱(101)은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걸림돌기(303)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201)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리(G)의 테두리를 지지한다.
상기 결합홈(201)은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결합돌부(304)를 끼움 고정하여,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상기 외측프레임(200)에 연결 고정한다.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측벽(301)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구획벽(302) 상기 걸림턱(10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303)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함홈(20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304)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을 통해 전달되는 내, 외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 길이는 유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303)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돌부(304)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에 억지로 끼움고정되어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상기 외측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30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외측 공간부(302a)에 외기를 잔류시키고, 실내측 공간부(302a)에 내기를 잔류시켜 내, 외기가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통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보강판(400)은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보강판(4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보강판(400)은 상기 체결부재(200)의 말단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체결부재(500)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그 말단이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되고, 상기 보강판(400)을 상기 외측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겨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상기 내부단열재(300) 사이를 조인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나사방식으로 상기 외측프레임(200) 및 내부단열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6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건물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내측프레임(100)을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걸림돌기(303)를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일단을 통해 상기 걸림턱(101)으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303)가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견고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03)는 상기 걸림턱(101)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구비하되, 이 외측프레임(200)을 상기 내부단열재(300) 방향으로 밀어 끼워넣는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상기 내부단열재(300) 방향으로 밀어 가압함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이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결합돌부(304)에 억지로 끼워져 상기 외측프레임(100)이 상기 내부단열재(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500)를 관통시키되, 이 체결부재(500)의 말단을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관통시켜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체결부재(500)가 보강판(400)에 체결되면서, 상기 보강판(400)을 상기 외측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 당김력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내부단열재(300) 사이가 조여져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견고하게 연결고정된다.
이후,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 길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유리(G)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을 통해 진입시켜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유리(G)를 고정함으로써, 건물의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커튼월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은 다양한 유리(G)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고, 서로 다른 길이의 측벽(301)을 갖는 내부단열재(300)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선택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그 사이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유리(G)를 선택 삽입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커튼월은, 하절기 또는 동절기의 경우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외기를 전달받고, 이 외기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도달하여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외측 방향의 공간부(302a)에 잔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실내의 내기를 전달받고, 이 내기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상기 내부단열재(300)에 도달하여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내측 방향에 위치된 공간부(302a)에 잔류된다.
그러면,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내, 외기에 의해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전달된 외기가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과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내기에 차단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전달된 내기가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과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외기에 차단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에서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 공간으로 서로 대향되게 동일 형상의 유리(G)를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마감단열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이 마감단열재(미도시)가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이 외부로 부터 밀폐된다.
이때, 상기 마감단열재(미도시)는 외기가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실시예2]
도 5를 참조하면, 내측프레임(100')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리(G)의 테두리를 지지한다.
상기 내측프레임은 상기 내부단열재의 절곡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단열재와 연결 고정된다.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201')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프레임(200)은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리(G)의 테두리를 지지한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내부단열재의 결합돌부를 끼움 고정하여, 상기 내부단열재를 상기 외측프레임에 연결 고정한다.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측벽(301')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는 측벽(301')의 일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밀착되는 절곡부(303')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부(304')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을 통해 전달되는 내, 외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 길이는 유리(G)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303')는 상기 내측프레임(100') 전면에 밀착되되, 상기 제2체결부재(600')를 관통 체결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결합돌부(304')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에 억지로 끼움고정되어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상기 외측프레임(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30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외측 공간부(302a')에 외기를 잔류시키고, 실내측 공간부(302a')에 내기를 잔류시켜 내, 외기가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통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보강판(400')은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 내면에 밀착 설치된다.
상기 보강판(4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보강판(400')은 상기 제1체결부재(500')의 말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제1체결부재(500')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그 말단이 상기 보강판에 체결되고, 상기 보강판을 상기 외측프레임 방향으로 당겨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부단열재 사이를 조인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나사방식으로 상기 외측프레임(200) 및 내부단열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6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부재(600')는 상기 절곡부(303')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제2체결부재(600')는 그 말단이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내부단열재(300')와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견고하게 연결 고정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나사방식으로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절곡부(303')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건물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내측프레임을(100') 설치하고, 이 내측프레임(100')에 내부단열재(300')를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절곡부(303')를 상기 내측프레임(100')의 전면에 밀착하되, 이 절곡부(303')로 상기 제2체결부재(600')를 관통시켜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부단열재(300')와 상기 내측프레임(100')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재(600')는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각각의 절곡부(303')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된다.
이후,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구비하되, 이 외측프레임(200')을 상기 내부단열재(300') 방향으로 밀어 끼워넣는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상기 내부단열재(300') 방향으로 밀어 가압함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이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결합돌부(304')에 억지로 끼워져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상기 내부단열재(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를 통해 상기 제1체결부재(500')를 관통시키되, 이 제1체결부재(500')의 말단을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관통시켜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제1체결부재(500')가 보강판(400')에 체결되면서, 상기 보강판(400')을 상기 외측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 당김력에 의해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내부단열재(300') 사이가 조여져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상기 내부단열재(300')가 견고하게 연결고정된다.
이후,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 길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유리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을 통해 진입시켜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유리(G)를 고정함으로써, 건물의 실내외 공간을 구획하는 커튼월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측벽(301')은 다양한 유리(G)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고, 서로 다른 길이의 측벽(301')을 갖는 내부단열재(300')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선택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그 사이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유리(G)를 선택 삽입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커튼월은, 하절기 또는 동절기의 경우 상기 외측프레임(200')이 외기를 전달받고, 이 외기는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도달하여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외측 방향의 공간부(302a')에 잔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100')은 실내의 내기를 전달받고, 이 내기는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상기 내부단열재(300')에 도달하여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실내측 방향에 위치된 공간부(302a')에 잔류된다.
그러면,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내, 외기에 의해 상기 내부단열재(300')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200')을 통해 전달된 외기가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과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내기에 차단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내측프레임(100')을 통해 전달된 내기가 상기 구획벽(302') 및 이 구획벽(302')과 이웃한 공간부(302a')에 잔류된 외기에 차단되어 상기 외측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에서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으로 서로 대향되게 동일 형상의 유리(G)를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마감단열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이 마감단열재(미도시)가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이 외부로 부터 밀폐된다.
이때, 상기 마감단열재(미도시)는 외기가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유리(G)의 두께에 대응하는 측벽(301)을 갖는 내부단열재(300)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는, 내부단열재(300) 교체로 유리(G)가 삽입되는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 조절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유리(G)를 손쉽게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내, 외측프레임(100, 200)을 통해 내부단열재(300)로 전달된 내, 외기의 흐름이 내부단열재(300)에 의해 차단되어 실, 내외로 내, 외기가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내부단열재(300)를 교체하는 단순 작업으로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이 유리두께(G)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시공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100' : 내측프레임 101, 101' : 걸림턱
200, 200' : 외측프레임 201, 201' : 결합홈
300, 300' : 내부단열재 301, 301' : 측벽
302, 302' : 구획벽 302a, 302a' : 공간부
303 : 걸림돌기 303' : 절곡부
304, 304' : 결합돌부 400, 400' : 보강판
500 : 체결부재 500' : 제1체결부재
600' : 제2체결부재 G : 유리

Claims (4)

  1.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일면에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201)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프레임(200);
    상기 내, 외측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측벽(301)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구획벽(302) 상기 걸림턱(10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303)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함홈(20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304)를 형성하고 있는 내부단열재(300);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판(400); 및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30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3.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면에 결합홈(201')을 형성하고 있는 외측프레임(200');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 200')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측벽(301')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프레임(100')과 서로 마주보는 측벽(301')의 일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밀착되는 절곡부(303')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결합홈(20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부(304')가 형성된 내부단열재(300');
    상기 외측프레임(20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 내면에 밀착 설치되는 보강판(400');
    상기 외측프레임(200')의 내측 중앙부 및 상기 내부단열재(300')의 구획벽(302')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판(400')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500'); 및
    상기 절곡부(303')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100')에 체결고정되는 제2체결부재(6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상기 측벽(301') 사이에 상기 구획벽(302')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공간부(30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프레임.
KR2020150001124U 2015-02-17 2015-02-17 단열 창호 프레임 KR200483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24U KR200483809Y1 (ko) 2015-02-17 2015-02-17 단열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24U KR200483809Y1 (ko) 2015-02-17 2015-02-17 단열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72U true KR20160002972U (ko) 2016-08-25
KR200483809Y1 KR200483809Y1 (ko) 2017-06-28

Family

ID=5685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24U KR200483809Y1 (ko) 2015-02-17 2015-02-17 단열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8947A1 (en) * 2018-08-07 2020-02-13 John Clement Preston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WO2021127741A1 (en) * 2019-12-24 2021-07-01 John Clement Preston Method of construction
KR102323669B1 (ko) * 2020-06-17 2021-11-09 오케이건설 주식회사 단열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커튼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4053B (zh) * 2018-07-06 2020-08-07 浙江向往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强度抗震功能的多层结构防爆玻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51A (ko) * 2010-12-17 2012-06-27 신양리젠창호(주)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20130117009A (ko) * 2012-04-17 2013-10-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51A (ko) * 2010-12-17 2012-06-27 신양리젠창호(주)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20130117009A (ko) * 2012-04-17 2013-10-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8947A1 (en) * 2018-08-07 2020-02-13 John Clement Preston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US11808035B2 (en) 2018-08-07 2023-11-07 John Clement Preston Facade panel system and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WO2021127741A1 (en) * 2019-12-24 2021-07-01 John Clement Preston Method of construction
KR102323669B1 (ko) * 2020-06-17 2021-11-09 오케이건설 주식회사 단열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커튼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09Y1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063782B1 (ko) 꼭지바의 연결구조 변형을 통한 단열성능 및 설치공정이 개선된 창호 샤시구조체
KR101471578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105797B1 (ko)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200483809Y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065036B1 (ko) 유리홈 가변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243416B1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47911B1 (ko) 스테인리스 단열 도어프레임
KR100917865B1 (ko) 단열 외창
KR20160002973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016204B1 (ko) 강화 유리벽 샤시 구조체
KR20150004058U (ko) 단열 창호프레임
KR200479852Y1 (ko) 단열 벽체프레임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10147191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571468B1 (ko)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32680A (ko) 단열 커튼월
KR200481336Y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197594B1 (ko) 알루미늄 고정 단열창 프레임의 구조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KR20160040851A (ko) 단열 벽체프레임
KR200481335Y1 (ko) 단열 벽체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