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398A -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398A
KR20210156398A KR1020200073853A KR20200073853A KR20210156398A KR 20210156398 A KR20210156398 A KR 20210156398A KR 1020200073853 A KR1020200073853 A KR 1020200073853A KR 20200073853 A KR20200073853 A KR 20200073853A KR 20210156398 A KR20210156398 A KR 2021015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tainless steel
outer frames
fram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027B1 (ko
Inventor
김관기
Original Assignee
김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기 filed Critical 김관기
Priority to KR102020007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0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창호 프레임의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측면에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단열 부재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Stainless windows fram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창호 프레임의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측면에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단열 부재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에는 창호의 테두리를 감싸는 창틀과 문틀로 이루어진 창호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 창호 프레임은 내, 외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창호나 벽체의 외장패널을 지지한다.
이때, 창호 프레임에 지지가 되는 창호는 시야 확보 및 태양광에 의한 실내조명 기능을 하고, 이 창호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의 창호 프레임 및 창호는 건물 내, 외부 공간을 구획하여 건물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창호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 바 형상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프레임(100)과; 중공형 바 형상으로 상기 내측프레임(100)에서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프레임(200); 중공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에 연결되어 내, 외측프레임(100,20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거나 혹은 실외로 방출되는 냉기 및 열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내부단열재(300); 상기 내부단열재(300) 양측 또는 어느 한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단열재(400);로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열재(300)는, 양단에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의 내, 외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310) 사이에 상기 내, 외측프레임(100,200)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측벽(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32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단열벽(33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1의 내부단열재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단열벽을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을 지지하고 있으나, 측벽과 단열벽이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측벽이 뒤틀리거나 단열벽이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으로 창호 프레임 전체를 보수 및 교체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측벽과 단열벽의 파손으로 인하여 내부단열재의 양 측면에 결합하는 마감단열재 또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내부단열재의 양 측면에 마감단열재를 각각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내부단열재에 의해 내, 외측프레임의 냉기 또는 열기의 흐름이 차단된다고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냉기 또는 열기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의 내부단열재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마감단열재의 틈새로 냉기 또는 열기가 유출되는 문제점과, 작업 현장에서 마감단열재를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마감단열재를 일일이 두드리면서 끼워넣은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특허문헌 1의 마감단열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창호 프레임의 구조에서 특히 문이 설치되는 내, 외측프레임의 전체 높이가 높기 때문에 하단에 마감단열재를 직접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과, 특허문헌 1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특허문헌 2의 도면 4와 같은 제2마감단열바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과, 제2마감단열바에 브래킷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2의 단열부재의 암형단열바는 T자형상으로 제작되어 사각수직바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T자형상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게 되는 특허문헌 1과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216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2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 프레임의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측면에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단열 부재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 부재에 일체로 형성하는 보강 부재는 내, 외측프레임과 단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켜 별도의 마감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현장의 조건에 따라서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위치로 변경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 부재의 반대편에 마감 부재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을 모두 밀폐시킬 수 있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부재의 내부에 X자 형상의 보강프레임을 형성하여 단열 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의 상단에 위치한 로트바 내부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하단에 마감 부재를 설치하고, 마감 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의 하단에 안착부를 형성하며, 안착부가 위치한 마감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을 설치하여 롯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 문을 설치하는 로트바의 내부에 단열 부재와 마감 부재를 설치하고, 마감 부재의 좌측과 우측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의 하단에 안착부를 형성하며, 안착부가 위치한 마감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을 설치하여 롯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서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창호 프레임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수평바, 중수평바, 하수평바로 이루어진 창틀과, 상기 창틀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문틀의 수직바를 설치하고, 상기 창틀과 문틀의 내부에 고정창과 문을 설치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 외측프레임의 사이에 단열 부재의 몸체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2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1,2 결합부의 양 측면 내부에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일단을 삽입하며, 상기 몸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에 결합하는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몸체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보강 부재는 몸체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와 보강 부재의 내부에 보강 프레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2 결합부의 수납 공간부에 복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강 부재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 결합부 내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에 마감 부재의 결합돌기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감 부재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합돌기를 돌출하고, 상기 마감 부재의 외측 가운데에 끼움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강 부재의 측면에 끼움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창호 프레임의 내, 외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측면에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단열 부재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보강 부재는 내, 외측프레임과 단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켜 별도의 마감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조건에 따라서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위치로 변경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 부재의 반대편에 마감 부재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을 모두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 부재의 내부에 X자 형상의 보강프레임을 형성하여 단열 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문의 상단에 위치한 로트바 내부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의 하단에 마감 부재를 설치하고, 마감 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의 하단에 안착부를 형성하며, 안착부가 위치한 마감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을 설치하여 롯트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 문을 설치하는 로트바의 내부에 단열 부재와 마감 부재를 설치하고, 마감 부재의 좌측과 우측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의 하단에 안착부를 형성하며, 안착부가 위치한 마감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을 설치하여 롯트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와, 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서 단열 부재와 보강 부재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창호 프레임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창호 프레임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창호 프레임의 단열 부재에 마감 부재를 결합한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창호 프레임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로트바에 단열 부재와 마감 부재를 결합시키는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창호 프레임에 양 문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로트바에 단열 부재와 마감 부재를 결합시키는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하수평바(6), 로트바(7)로 이루어진 창틀(2)과, 상기 창틀(2)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문틀(3)의 수직바(8)를 설치하고, 상기 창틀(2)과 문틀(3)의 내부에 고정창(9)과 문(D)을 설치하며, 상기 문(D)이 설치되는 상단에는 로트바(7)가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1)은 내측프레임(1a)과 외측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에 단열 부재(10)의 상단과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2 결합부(12)(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단열 부재(10)의 측면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과 단열 부재(10)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열 부재(10)는,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11)의 상단과 하단에 제1,2 결합부(12)(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양 측면 내부에 수납 공간부(14)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삽입하면 내, 외측프레임(1a)(1b)은 수납 공간부(14)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이 수납 공간부(14)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부(14) 내부 상단과 하단 벽면에 복수의 고정돌기(15)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을 지지하고, 상기 몸체(1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에 결합하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무게에 의해 몸체(11)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 부재(17)는 몸체(1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11)와 보강 부재(17)의 내부에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부재(17)의 내부 중간 부분에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 결합부(12)(13) 내측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6)에 마감 부재(2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1)를 결합하여 단열 부재(10)의 측면을 밀폐시키며, 상기 마감 부재(20)의 외측 가운데에 끼움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부재(17)의 측면에 끼움 홈(19)을 형성하여 작업 조건에 따라서 가스켓(미도시)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면, 상기 창호 프레임(1)과 로트바(7)는 내, 외측프레임(1a)(1b)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도 문(D)의 상단에 설치하는 로트바(7)의 내, 외측프레임(1a)(1b)에 설치되는 단열 부재(10), 보강 부재(17), 마감 부재(20)에 대한 것이며, 상기 로트바(7)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하수평바(6), 수직바(8)의 내, 외측프레임(1a)(1b)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단열 부재(10)의 하단에 마감 부재(20)를 결합한다.
상기 마감 부재(2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의 하단에 안착부(28)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8)가 위치한 마감 부재(20)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26)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26)의 내부에 롯트(27)를 설치하고, 상기 마감 부재(20)의 상단에 결합돌기(21)를 돌출하며, 상기 결합돌기(21)의 하단에 제1,2 경사 연결부(23)(24)를 형성하여 내, 외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제2 경사 연결부(23)(24)의 하단에 밀폐부(25)를 형성하여 하단이 막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밀폐부(25)의 하단 가운데에 끼움 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8)에는 복수의 고정 브래킷(26)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 브래킷(26)은 측면에 고정부(26a)를 형성하여 상단으로 절곡하고, 상기 고정부(26a)의 양 측면이 내, 외측프레임(1a)(1b)의 내부에 용접으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26a)의 전면에 지지부(26a)를 절곡하여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고, 상기 지지부(26a)에 롯트(27)의 양 단부를 밀착시켜 볼트로 고정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로트바(7)에 양 문을 설치하고, 상기 로트바(7)의 내, 외측프레임(1a)(1b)에 단열 부재(10)와 마감 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마감 부재(20)는 단열 부재(10)의 좌측과 우측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단열 부재(10)의 양 측면과 마감 부재(20)의 사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26)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26)의 내부에 롯트(27)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건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창호 프레임(1)의 창틀(2)과 문틀(3)에는 고정창(9)과 문(D)을 각각 설치하는데, 상기 창틀(2)과 문틀(3)을 구성하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하수평바(6), 로트바(7) 및 수직바(8)의 내, 외측프레임(1a)(1b)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몸체(11)의 제1,2 결합부(12)(13) 만으로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뒤틀리거나 또는 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몸체(11)의 측면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의 중간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단열 부재(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 부재(17)는 단열 부재(10)의 프레임을 보강하는 기능과,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에 위치한 단열 부재(10)의 측면을 밀폐시켜 별도의 마감 부재(20)를 설치하는 번거로운 작업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18)을 상단과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 부재(17)의 내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보강프레임(18)을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 부재(10)와 보강 부재(17)의 보강력을 더욱 향상시킨 특징이 있다.
도 2는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걸림돌기(16)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측면에 고정창(9)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실 예이고, 도 3은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걸림돌기(16)에 마감 부재(20)의 결합돌기(21)를 결합하여 단열 부재(10)의 측면을 밀폐시켜 사용하는 다른 실시 예의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의 작업은 작업 현장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도 4 및 도 5는 로트바(7)의 내, 외측프레임(1a)(1b)에 단열 부재(10)와 보강 부재(17)를 설치한 구성으로 상기 단열 부재(10)의 양 측면에 내, 외측프레임(1a)(1b)을 설치하고, 상기 단열 부재(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 부재(17)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걸림돌기(16)에는 마감 부재(20)를 설치하여 로브바(7)의 하단을 밀폐시킨다.
상기 마감 부재(20)는 로트바(7)의 내부에 설치되는 문(D)이 1개 또는 2개에 따라서 마감 부재(20)의 구조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도 1과 같이 문(D)이 1개일 경우 로트바(7)의 좌측부분에 롯트(27)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감 부재(20)의 좌측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와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안착부(28)에 고정 브래킷(27)과 롯트(27)를 설치하며, 상기 단열 부재(10)의 하단은 마감 부재(20)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 및 도 7의 로트바(7)는 문(D)을 양 문으로 설치한 것으로 마감 부재(20)의 좌측과 우측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와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안착부(28)에 고정 브래킷(27)과 롯트(27)를 설치하며, 상기 단열 부재(10)의 하단은 마감 부재(20)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로트바(7)에 설치되는 마감 부재(20)는 상단에 결합돌기(21)를 돌출하고, 상기 결합돌기(21)의 하단에 제1,2 경사 연결부(23)(24)를 형성하여 내, 외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걸림돌기(16)에 결합시 제1,2 경사 연결부(23)(24)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결합하며, 상기 제2 경사 연결부(23)(24)의 하단에 형성된 밀폐부(25)에 의해 로트바(7)의 하단이 막힌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은 내, 외측프레임(1a)(1b)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단열 부재(10)의 측면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 부재(10)의 몸체(11)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 창호 프레임 2: 창틀
2a: 내측프레임 2b: 외측프레임
3: 문틀 4: 상수평바
5: 중수평바 6: 하수평바
7: 로트바 8: 수직바
9: 고정창 10: 단열 부재
11: 몸체 12,13: 제1,2 결합부
14: 수납 공간부 15: 고정돌기
16: 걸림돌기 17: 보강 부재
18: 보강프레임 19: 끼움 홈
20: 마감 부재 21: 결합돌기
22: 끼움 홈 23,24: 제1,2 경사 연결부
25: 밀폐부 26: 고정 브래킷
27: 롯트

Claims (17)

  1.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하수평바(6)로 이루어진 창틀(2)과, 상기 창틀(2)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문틀(3)의 수직바(8)를 설치하고, 상기 창틀(2)과 문틀(3)의 내부에 고정창(9)과 문(D)을 설치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은 내측프레임(1a)과 외측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에 단열 부재(10)의 몸체(11)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1,2 결합부(12)(13)를 설치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양 측면 내부에 수납 공간부(14)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삽입하며, 상기 몸체(1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에 결합하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무게에 의해 몸체(11)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보강 부재(17)는 몸체(1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11)와 보강 부재(17)의 내부에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수납 공간부(14)에 복수의 고정돌기(15)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 결합부(12)(13) 내측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6)에 마감 부재(20)의 결합돌기(21)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2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합돌기(21)를 돌출하고, 상기 마감 부재(20)의 외측 가운데에 끼움 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7)의 측면에 끼움 홈(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6.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로트바(7), 하수평바(6)로 이루어진 창틀(2)과, 상기 창틀(2)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문틀(3)의 수직바(8)를 설치하고, 상기 창틀(2)과 문틀(3)의 내부에 고정창(9)과 문(D)을 설치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과 로트바(7)는 내측프레임(1a)과 외측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에 단열 부재(10)의 몸체(11)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좌, 우측에 제1,2 결합부(12)(13)를 설치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내부에 수납 공간부(14)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삽입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에 결합하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무게에 의해 몸체(11)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보강 부재(17)는 몸체(1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11)와 보강 부재(17)의 내부에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단열 부재(10)의 제1,2 결합부(12)(13) 내측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6)에 마감 부재(2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수납 공간부(14)에 복수의 고정돌기(15)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20)는 단열 부재(10)의 하단에 설치하되, 상기 마감 부재(2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의 하단에 안착부(28)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8)가 위치한 마감 부재(20)의 측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26)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26)의 내부에 롯트(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20)는 상단에 결합돌기(21)를 돌출하고, 상기 결합돌기(21)의 하단에 제1,2 경사 연결부(23)(24)를 형성하여 내, 외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제2 경사 연결부(23)(24)의 하단에 밀폐부(25)를 형성하여 하단이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밀폐부(25)의 하단 가운데에 끼움 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26)은 측면에 고정부(26a)를 형성하여 상단으로 절곡하고, 상기 고정부(26a)의 전면에 지지부(26a)를 절곡하여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며, 상기 지지부(26a)에 롯트(27)를 밀착시켜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7)의 상단에 끼움 홈(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2.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수평바(4), 중수평바(5), 로트바(7), 하수평바(6)로 이루어진 창틀(2)과, 상기 창틀(2)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문틀(3)의 수직바(8)를 설치하고, 상기 창틀(2)과 문틀(3)의 내부에 고정창(9)과 문(D)을 양쪽으로 설치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1)과 로트바(7)는 내측프레임(1a)과 외측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에 단열 부재(10)의 몸체(11)를 설치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1)의 좌, 우측에 제1,2 결합부(12)(13)를 설치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내부에 수납 공간부(14)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삽입하며, 상기 몸체(11)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보강 부재(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에 결합하는 내, 외측프레임(1a)(1b)의 무게에 의해 몸체(11)의 중간 부분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보강 부재(17)는 몸체(1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11)와 보강 부재(17)의 내부에 보강프레임(18)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 부재(17)의 반대편에 위치한 단열 부재(10)의 제1,2 결합부(12)(13) 내측에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6)에 마감 부재(2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부(12)(13)의 수납 공간부(14)에 복수의 고정돌기(15)를 형성하여 내, 외측프레임(1a)(1b)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20)는 좌측과 우측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단열 부재(10)의 하단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단열 부재(10)의 양 측면과 마감 부재(20)의 사이에 복수의 고정 브래킷(26)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26)의 내부에 롯트(2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20)는 상단에 결합돌기(21)를 돌출하고, 상기 결합돌기(21)의 하단에 제1,2 경사 연결부(23)(24)를 형성하여 내, 외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제2 경사 연결부(23)(24)의 하단에 밀폐부(25)를 형성하여 하단이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밀폐부(25)의 하단 가운데에 끼움 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26)은 측면에 고정부(26a)를 형성하여 상단으로 절곡하고, 상기 고정부(26a)의 전면에 지지부(26a)를 절곡하여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며, 상기 지지부(26a)에 롯트(27)를 밀착시켜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7)의 상단에 끼움 홈(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KR1020200073853A 2020-06-17 2020-06-17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KR10248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53A KR102482027B1 (ko) 2020-06-17 2020-06-17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53A KR102482027B1 (ko) 2020-06-17 2020-06-17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398A true KR20210156398A (ko) 2021-12-27
KR102482027B1 KR102482027B1 (ko) 2022-12-28

Family

ID=7917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53A KR102482027B1 (ko) 2020-06-17 2020-06-17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19B1 (ko) * 2022-08-19 2023-04-03 양승하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20160021647A (ko)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90045587A (ko) * 2017-10-24 2019-05-03 김희일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KR20190076083A (ko) * 2017-12-21 2019-07-02 정수엽 다양한 형태의 윈도우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단열바
KR102067909B1 (ko) * 2018-09-28 2020-01-17 이상업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단열바의 단열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05B1 (ko)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20160021647A (ko)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인아웃텍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90045587A (ko) * 2017-10-24 2019-05-03 김희일 플로어 힌지의 상부 피봇에 대응하는 단열 프레임 구조
KR20190076083A (ko) * 2017-12-21 2019-07-02 정수엽 다양한 형태의 윈도우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단열바
KR102067909B1 (ko) * 2018-09-28 2020-01-17 이상업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단열바의 단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19B1 (ko) * 2022-08-19 2023-04-03 양승하 창호용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027B1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347A (en) Standardized profiles for window or door frame partitions and method of assembly
US4207717A (en) System for improving heat insulating characteristics of existing curtain walls and the like
KR101640193B1 (ko)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US4250673A (en) Window replacement system
KR101746389B1 (ko) 결합핀으로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1978269B1 (ko) 회동식 마감구조를 갖는 커튼월 프레임
KR20210156398A (ko)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KR20100094019A (ko) 역보 시스템 커튼월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220001060U (ko) 결합강도를 높인 개량형 창호 코너키
KR102386520B1 (ko) 고성능 메탈 유닛 판넬
KR102190764B1 (ko) 커튼월 리모델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리모델링 방법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2031323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101800191B1 (ko) 창호 시스템
KR101325925B1 (ko)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KR102071740B1 (ko) 창호 고정용 조립브라켓
CA1228708A (en) Heat-insulating frame assembly for use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KR102533170B1 (ko) 단열 커튼월
KR102369286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4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17

Effective date: 202203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