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819B1 -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819B1
KR102517819B1 KR1020220104024A KR20220104024A KR102517819B1 KR 102517819 B1 KR102517819 B1 KR 102517819B1 KR 1020220104024 A KR1020220104024 A KR 1020220104024A KR 20220104024 A KR20220104024 A KR 20220104024A KR 102517819 B1 KR102517819 B1 KR 10251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iece
bar
outer frame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하
Original Assignee
양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하 filed Critical 양승하
Priority to KR102022010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06B2003/2632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with additional prefab insulating materials in the hollow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로 된 메인프레임과 단열재와의 효과적인 결합은 물론 견고한 결합을 통해 고품질의 단열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상부바(110)와 중간바(120)와 하부바(130) 및 기둥바(140)로 구성되거나 여기에 통바(150)와 놋드바(160)를 더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건축물의 단열 및 소음방지를 위해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200)는,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 또는 통바(150)에 설치되는 제1단열재(210)와, 상기 중간바(120) 및 하부바(130)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2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바(110)는, 상기 제1단열재(21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는 2회 절곡되어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수평끼움편(115)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1회 절곡되어 수직 상방으로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열재(2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수평끼움편(11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수평결속홈(212)을 형성하도록 수평결속편(211)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외측으로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상부지지편(214)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1수직결속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하부지지편(216)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 표면에는 일정 깊이로 고정구 고정홈(217)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1걸림돌기(219)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219)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을 메워주도록 설치되는 제1유리지지편(300);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 간의 상부 틈새를 통해 인입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틈새를 막아 폐쇄시킴은 물론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틈새 고정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호용 단열프레임{Adiabatic frame for windows}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단열바가 적용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은, 출입문을 기준으로 양측 수직으로 세워지는 통바, 상기 각 통바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바깥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바, 수직으로 세워진 통바 및 기둥바의 상방향 중간지점에서 출입문의 양측 가로로 설치되는 중간바, 출입문 바로 위에 가로로 설치되는 놋드바, 수직으로 세워진 통바 및 기둥바의 상단끝에서 가로로 설치되는 상부바, 지면과 닿은 상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바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입문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둥바와 상부바와 중간바 및 하부바만으로 창호프레임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통바, 기둥바, 중간바, 놋드바, 상부바, 하부바 사이의 각 공간에는 외부와의 시야확보 및 미관성, 채광성 등 목적으로 이중강화유리창들이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진다.
상기 통바, 기둥바, 중간바, 놋드바, 상부바, 하부바 등은 우수한 내식성과 함께 튼튼한 강도를 보유한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는 단열을 위하여 별도 제작된 플라스틱 단열재가 포함된 스테인레스 단열바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 스테인레스 단열바는 실내측과 실외측 2개체로 분리되어 성형되는 2개 이상의 내외측 절곡프레임과, 이 내외측 절곡프레임의 사이에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재가 결합된다.
스테인레스 단열바에 적용되는 단열재는 내외측 절곡 프레임의 사이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열전도율이 높은 스테인레스 강판의 취약점인 단열성(건물의 소음 또한 함께 줄임)을 높일 뿐만아니라 지진 등에 취약한 이중강화유리창의 결속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단열재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 내외측 절곡프레임을 연결하고는 있으나, 단열재만으로는 양측에 결합된 내외측 절곡프레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스테인레스 단열바를 이동시키거나 외부에서 작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내외측 절곡프레임이 단열재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내외측 절곡프레임이 분리되지 않도록 로프 등으로 고정시켜 준 상태로 운반하거나 시공시에도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해 준 상태로 시공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스테인레스 단열바 및 이에 적용되는 단열재는, 통바, 기둥바, 중간바, 놋드바, 상부바, 하부바, 코너바 개개마다 각각 다른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상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 시공시 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울 뿐아니라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519호(2016.11.09.,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등록특허공보 제10-1571541호(2015.11.18.,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테인레스로 된 메인프레임과 단열재와의 효과적인 결합은 물론 견고한 결합을 통해 고품질의 단열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단열프레임의 운반은 물론 시공시 분리 및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아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상부바(110)와 중간바(120)와 하부바(130) 및 기둥바(140)로 구성되거나 여기에 통바(150)와 놋드바(160)를 더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건축물의 단열 및 소음방지를 위해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200)는,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 또는 통바(150)에 설치되는 제1단열재(210)와, 상기 중간바(120) 및 하부바(130)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2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바(110)는, 상기 제1단열재(21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는 2회 절곡되어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수평끼움편(115)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1회 절곡되어 수직 상방으로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열재(2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수평끼움편(11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수평결속홈(212)을 형성하도록 수평결속편(211)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외측으로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상부지지편(214)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1수직결속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하부지지편(216)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 표면에는 일정 깊이로 고정구 고정홈(217)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1걸림돌기(219)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219)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을 메워주도록 설치되는 제1유리지지편(300);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 간의 상부 틈새를 통해 인입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틈새를 막아 폐쇄시킴은 물론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틈새 고정구(35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바(120)와 하부바(130)는, 상기 제2단열재(25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과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1회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결속홈(212)과 접하는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하면은 단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 선택부분에는 일정 길이로 제1밀착돌기(216a)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열재(25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2수직결속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부와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구획벽(254a)에 의해 구획되어 양쪽으로 각각 제2단열공간(254)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유리끼움홈(255)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2걸림돌기(257)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257)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을 메워주도록 설치되는 제2유리지지편(3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의 내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제2밀착돌기(258)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제1단열재(210)의 양쪽 측벽부에는 단열공간(220)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제1유리지지편(30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제1수직끼움편(116)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제1지지돌기(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의 상단 테두리 내측면에는 상기 틈새 고정구(350)가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된 경우에 틈새 고정구(35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구 걸림돌기(217a)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 고정구(350)의 단부 외표면에는 걸림홈(35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제2유리지지편(31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제2수직끼움편(125)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제2지지돌기(311)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따르면, 단열재와 메인프레임의 견고한 결속 결합이 유지됨에 따라 메인프레임과 단열재의 분리로 인한 문제발생이 없고, 분리 및 뒤틀림 발생이 없어 용이한 운반 및 안정적인 시공은 물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의 전체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바에 설치되는 제1단열재를 보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단열재에 결속 결합되는 제1내부프레임과 제1외부프레임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바에 설치되는 틈새고정구 및 제1유리지지편을 보인 분리도,
도 6은 도 1의 B-B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바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열재에 결속 결합되는 제2내부프레임과 제2외부프레임 및 제2유리지지편을 보인 분리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은 상부바(110)와 중간바(120)와 하부바(130) 및 기둥바(140)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100)과,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건축물의 단열 및 소음방지를 위해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재(200)로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0)에 출입문이 설치될 경우에는 출입문의 설치를 위해 통바(150)와 놋드바(160)가 더 포함된다.
메인프레임(100)은 스테인레스판을 특정 형상으로 절곡시켜 형성되고, 단열재(20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본 발명에서 단열재(200)는 모든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기는 하나, 동일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2가지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진다.
구체적으로, 단열재(200)는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 또는 통바(150)에 설치되는 제1단열재(210)와, 상기 중간바(120) 및 하부바(130)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250)로 구성되어 진다.
제1단열재(200)가 설치되는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는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제1단열재(210)의 양측에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이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는 2회 절곡되어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수평끼움편(115)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1회 절곡되어 수직 상방으로 제1수직끼움편(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를 2회 절곡시켜 수평끼움편(115)을 형성한 이유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동일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 쉽게 빠져 분리될 수 있고 강도가 약하여 쉽게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에 결합되는 제1단열재(210)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과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외부 압력에 대응하여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열재(21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수평끼움편(11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수평결속홈(212)을 형성하도록 수평결속편(211)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평결속홈(212)의 길이는 수평끼움편(115)의 길이보다는 더 길게 형성되어 수평끼움편(115)이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절곡된 내측벽이 수평결속편(211)의 단부에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결속홈(212)과 접하는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하면은 단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1a)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211a)을 형성한 이유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을 절곡하여 수평끼움편(115)을 형성하는 경우에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해 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수평끼움편(115)의 절곡시 내측각도를 90°각도로 절곡하기 보다는 90°이내의 각도로 절곡시켜 주게 됨으로써 수평결속편(211)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수평끼움편(115)을 수평결속홈(212)에 끼움결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끼움결합시켜 주어 작업성을 높여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외측으로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게 제1상부지지편(214)이 형성된다.
제1상부지지편(214)을 형성한 이유는, 제1상부지지편의 상단부가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을 지지해주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뒤틀림 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찌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단열재(2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1수직결속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하부지지편(2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편(216)은 상기 제1상부지지편(214)과 같이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시켜 줌으로써 외부압력 발생시에도 뒤틀림 발생이나 찌그러짐이 방지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 선택부분에는 일정 길이로 제1밀착돌기(216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이유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을 절곡하여 제1수직끼움편(116)을 형성하는 경우에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해 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제1수직끼움편(116)의 절곡시 내측각도를 90°각도로 절곡하기 보다는 90°이내의 각도로 절곡시켜 주기 때문에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제1수직끼움편(116)을 제1수직결속홈(215)에 끼움결합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끼움결합시켜 주어 작업성을 높여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밀착돌기(216a)가 제1수직끼움편(116)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단열재(210)의 상부 중앙 표면에는 일정 깊이로 고정구 고정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 고정홈(217)은 후술되는 틈새 고정구(350)를 끼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며, 상단 테두리 내측면에는 고정구 걸림돌기(217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 걸림돌기(217a)는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사이틈새로 끼워져 고정구 고정홈(217)으로 삽입되는 틈새 고정구(350)의 외표면에 밀착되면서 틈새 고정구(35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나아가 틈새 고정구(350)가 일부 빠져나오면서 이탈되려고 할 경우에 틈새 고정구(35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351)에 걸려지면서 틈새 고정구(3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단열재(210)의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1걸림돌기(2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은 제1유리지지편(300)이 끼워지는 공간이고, 상기 제1걸림돌기(219)에 제1유리지지편(300)의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유리지지편(300)이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을 메워주도록 설치된다.
제1유리지지편(300)은 상부바와 중간바의 사이, 상부바와 통바의 사이, 기둥바와 통바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를 지지해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유리지지편(30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제1지지돌기(30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돌기(301)는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제1수직끼움편(116)의 외표면을 지지해 주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이 유동되지 않게 안내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수직끼움편(116)이 제1수직결속홈(215)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고, 결국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과 제1단열재(210)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지지돌기(301)는 제1수직결속홈(215)을 형성하는 내측벽 하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유리지지편(300)의 양측 상단부가 제1걸림돌기(219)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더 이상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스토퍼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 간의 상부 틈새를 막아주도록 틈새 고정구(350)가 설치된다.
틈새 고정구(350)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 간의 틈새로 인입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틈새를 막아 폐쇄시킴은 물론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틈새 고정구(350)의 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홈(351)이 형성된다. 걸림홈(351)을 형성한 이유는 외부압력 등 여러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틈새 고정구(350)가 고정구 고정홈(217)에서 조금씩 빠져나오면서 이탈되려고 할 경우에 고정구 걸림돌기(217a)가 삽입되면서 걸림결합되어져 틈새 고정구(3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단열재(210)의 양쪽 측벽부 즉,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제1단열재(210)의 양쪽 측벽부에는 단열공간(220)이 형성된다. 단열공간(220)은 외부와 단절된 공간으로 단열효과를 높여줌은 물론 강도보강을 위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바(120)와 하부바(130)는 상기 제2단열재(25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과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1회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형성된다.
중간바(120)와 하부바(130)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250)는 제1단열재(210)와 상이한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열재(25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2수직결속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부와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이 형성된다.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이 형성됨으로써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부와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지지시켜 줌으로써 외부압력 발생시에도 뒤틀림 발생이나 찌그러짐이 방지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의 내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제2밀착돌기(258)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밀착돌기(258)는 제2수직결속홈(251)에 끼워진 제2수직끼움편(125)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쉽게 이탈되지 않은 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이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한 이유는 제2수직끼움편(125)의 절곡시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해 벌어질려고 함에 따라 절곡도가 90°이내의 각도로 더 절곡시킴에 따라 제2수직끼움편(125)을 용이하게 끼워 결합시켜 주어 작업성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제2단열재(250)의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구획벽(254a)에 의해 구획되어 양쪽으로 각각 제2단열공간(254)이 형성된다.
제2단열공간(254)은 단열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제2단열재(250)의 강도보강 역할을 하게 된다.
제2단열재(250)의 상부 중앙에는 유리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유리끼움홈(255)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2걸림돌기(25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에는 상기 제2걸림돌기(257)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을 메워주도록 제2유리지지편(3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리지지편(31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제2지지돌기(311)가 형성된다. 제2지지돌기(311)는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제2수직끼움편(125)의 외표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이 유동되지 않게 안내해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지지돌기(311)의 형성으로 인해 외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수직끼움편(125)이 제2수직결속홈(25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고,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과 제2단열재(250)의 견고한 결합력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지지돌기(311)는 상기 제1지지돌기(301)와 같이 제2수직결속홈(251)을 형성하는 내측벽 하단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유리지지편(350)의 양측 상단부가 제2걸림돌기(257)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제2유리지지편(350)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스토퍼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단열재(제1단열재, 제2단열재)를 해당 메인프레임에 결속하여 단열효과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단열재와의 효과적인 결합은 물론 견고한 결합을 통해 단열프레임의 운반은 물론 시공시 단열재의 분리현상이 없으며, 단열프레임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등 고품질의 단열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메인프레임
110: 상부바 111: 제1내부프레임
112: 제1외부프레임 115: 수평끼움편
116: 제1수직끼움편 120: 중간바
121: 제2내부프레임 122: 제2외부프레임
125: 제2수직끼움편 130: 하부바
140: 기둥바 150: 통바
160: 놋드바
200: 단열재
210: 제1단열재 211: 수평결속편
211a: 경사면 212: 수평결속홈
214: 제1상부지지편 215: 제1수직결속홈
216: 제1하부지지편 216a: 제1밀착돌기
217: 고정구 고정홈 217a: 고정구 걸림돌기
218: 유리지지편 설치공간 219: 제1걸림돌기
220: 단열공간 250: 제2단열재
251: 제2수직결속홈 252: 제2상부지지편
253: 제2하부지지편 254: 제2단열공간
254a: 구획벽 255: 유리끼움홈
256: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 257: 제2걸림돌기
258: 제2밀착돌기
300: 제1유리지지편 301: 제1지지돌기
310: 제2유리지지편 311: 제2지지돌기
350: 틈새 고정구 351: 걸림홈

Claims (9)

  1.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상부바(110)와 중간바(120)와 하부바(130) 및 기둥바(140)로 구성되거나 여기에 통바(150)와 놋드바(160)를 더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건축물의 단열 및 소음방지를 위해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200)는, 상기 상부바(110)와 기둥바(140) 또는 통바(150)에 설치되는 제1단열재(210)와, 상기 중간바(120) 및 하부바(130)에 설치되는 제2단열재(2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바(110)는, 상기 제1단열재(21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단부는 2회 절곡되어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수평끼움편(115)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1회 절곡되어 수직 상방으로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단열재(21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수평끼움편(11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수평결속홈(212)을 형성하도록 수평결속편(211)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외측으로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상부지지편(214)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제1수직끼움편(116)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1수직결속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1하부지지편(216)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 표면에는 일정 깊이로 고정구 고정홈(217)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이 형성되며,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1걸림돌기(219)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219)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유리지지편 설치공간(218)을 메워주도록 설치되는 제1유리지지편(300);
    상기 수평결속홈(212)에 결속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 간의 상부 틈새를 통해 인입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상부 틈새를 막아 폐쇄시킴은 물론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틈새 고정구(35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바(120)와 하부바(130)는, 상기 제2단열재(250)의 양측에 각각 결속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건물 내부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과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1회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결속홈(212)과 접하는 상기 수평결속편(211)의 하면은 단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하부지지편(216)의 내측면 선택부분에는 일정 길이로 제1밀착돌기(216a)가 형성되며,
    상기 제2단열재(25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제2수직끼움편(125)이 각각 끼워져 결속되도록 제2수직결속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을 형성하는 외측벽에는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의 상부와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앙에 형성된 구획벽(254a)에 의해 구획되어 양쪽으로 각각 제2단열공간(254)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유리끼움홈(255)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일정 크기로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과 인접하는 하부 양측 내주면에는 제2걸림돌기(257)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257)에 양측 상단부가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2유리지지편 설치공간(256)을 메워주도록 설치되는 제2유리지지편(3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의 내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제2밀착돌기(258)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지지편(252)과 제2하부지지편(253)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과 제1외부프레임(112)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제1단열재(210)의 양쪽 측벽부에는 단열공간(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리지지편(30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결속홈(215)에 결속된 제1수직끼움편(116)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내부프레임(111) 및 제1외부프레임(112)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제1지지돌기(3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고정홈(217)의 상단 테두리 내측면에는 상기 틈새 고정구(350)가 고정구 고정홈(217)에 삽입된 경우에 틈새 고정구(35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구 걸림돌기(217a)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 고정구(350)의 단부 외표면에는 걸림홈(3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리지지편(310)의 하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결속홈(251)에 결속된 제2수직끼움편(125)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내부프레임(121) 및 제2외부프레임(122)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제2지지돌기(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9. 삭제
KR1020220104024A 2022-08-19 2022-08-19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51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24A KR102517819B1 (ko) 2022-08-19 2022-08-19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24A KR102517819B1 (ko) 2022-08-19 2022-08-19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819B1 true KR102517819B1 (ko) 2023-04-03

Family

ID=8593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024A KR102517819B1 (ko) 2022-08-19 2022-08-19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571541B1 (ko) 2015-06-23 2015-11-24 양승하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160129519A (ko) 2015-04-30 2016-11-09 김옥분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KR20190102959A (ko) * 2018-02-27 2019-09-04 임채성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7909B1 (ko) * 2018-09-28 2020-01-17 이상업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단열바의 단열재
KR20210156398A (ko) * 2020-06-17 2021-12-27 김관기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20160129519A (ko) 2015-04-30 2016-11-09 김옥분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KR101571541B1 (ko) 2015-06-23 2015-11-24 양승하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190102959A (ko) * 2018-02-27 2019-09-04 임채성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7909B1 (ko) * 2018-09-28 2020-01-17 이상업 스테인레스 단열 창호 시스템의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단열바의 단열재
KR20210156398A (ko) * 2020-06-17 2021-12-27 김관기 스테인리스 창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306B1 (ko) 단열 복합창호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243416B1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955665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2342024B1 (ko) 지진 충격 감소 및 단열 기능을 가진 창호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102517819B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2322944B1 (ko) 복합재질을 사용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단열 창문프레임
KR200472839Y1 (ko)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US3173179A (en) Metal window construction
KR101765548B1 (ko) 절곡조립식 단열창틀 및 단열창호 구조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KR100309793B1 (ko)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2643432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394343B1 (ko) 풍하중에 유리 탈락의 안정성이 강화된 끼움구조와 다양한 두께의 유리를 끼울 수 있는 고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608451B1 (ko) 도어용 단열 프레임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