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59A -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59A
KR20190102959A KR1020180091963A KR20180091963A KR20190102959A KR 20190102959 A KR20190102959 A KR 20190102959A KR 1020180091963 A KR1020180091963 A KR 1020180091963A KR 20180091963 A KR20180091963 A KR 20180091963A KR 20190102959 A KR20190102959 A KR 2019010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tructural
structural side
finish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780B1 (ko
Inventor
임채성
Original Assignee
임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성 filed Critical 임채성
Publication of KR2019010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감부의 삽입안내부와 절곡단부가 구조부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부로 전달되는 외부의 뜨거운 열기 또는 차가운 냉기가 단열재에 확실하게 차단되어, 열기 또는 냉기는 구조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은 뛰어난 단열 성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재가 내화유리로 구성되는 경우, 마감부가 내화유리의 간봉을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미려한 미관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BUILDING FRAME WITH INSU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유리의 간봉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미관을 갖도록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에서의 단열은 외기온 변화에 따른 실온의 변동 폭을 줄여 재실자의 열쾌적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피를 통한 열획득/손실을 감소시켜 냉, 난방에너지 비용 감소와 초기 설비비용 감소 등의 역할을 한다.
특히, 창호 또는 문은 건축물의 주된 열손실과 열취득의 경로로서 냉, 난방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건축요소이다. 따라서 단열 성능을 갖는 창호 또는 문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창호 또는 문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또한 단열 소재로 제조하여, 단열 성능을 배가시키고 있다.
또한, 창호 또는 문에 사용되는 유리의 경우, 단열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열유리로 구성된다. 단열유리는 복수 개의 유리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열하고, 복수 개의 유리를 접합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유리의 상호 마주보는 테두리에 간봉을 개재한다. 간봉은 복층유리 또는 삼층유리에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유리들 사이에 충전된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간봉은 투명하지 않아, 외부에서 눈에 잘 보이므로, 전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91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유리의 간봉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미관을 갖도록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 또는 문을 포함하는 마감재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건축용 프레임에 있어서,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 1 구조측부,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마주보는 제 2 구조측부,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는 구조부; 상기 제 1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마감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 마감부;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를 덮는 단열 재질의 제 1 단열재; 및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접촉되는 상기 제 2 마감부의 단부를 덮는 단열 재질의 제 2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마감부의 단부가 마감재의 단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상기 구조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저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삽입안내부의 단부에 상기 절곡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일체로 절곡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열재는 상기 삽입안내부와 상기 절곡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측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감부는,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감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측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감부는,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감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열재는 상기 끼움절곡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중앙은 절개되어 벌어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양측은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양측을 따라 상기 끼움홈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끼움절곡부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측벽부는,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와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결합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슬라이딩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마감부가 상기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마감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걸림홈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감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걸림홈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 변형된 후, 상기 슬라이딩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측벽부는,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측벽커버가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커버는,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와, 상기 측벽마감부에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측벽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결합부의 단부에 상기 측벽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 상기 측벽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결합홈과, 상기 측벽결합홈에 상기 화살촉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벽결합홈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는 상기 측벽결합홈의 양측에 오목하게 탄성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살촉결합부가 상기 측벽결합홈을 지나 상기 화살촉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측벽결합홈은 상기 화살촉결합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탄성유도홈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측벽결합홈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커버는,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와, 상기 측벽마감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조부의 일측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상기 구조부의 타측에 다른 구조부가 위치될 때, 상기 구조부와 상기 다른 구조부 사이에 복수 개의 개스킷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 상기 제 1 마감부가 삽입된 상기 구조부가 건축물의 지면에 설치되는 과정; 상기 구조부의 상기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마감부의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감부의 삽입안내부와 절곡단부가 구조부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부로 전달되는 외부의 뜨거운 열기 또는 차가운 냉기가 단열재에 확실하게 차단되어, 열기 또는 냉기는 구조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은 뛰어난 단열 성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재가 내화유리로 구성되는 경우, 마감부가 내화유리의 간봉을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미려한 미관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부가 구조측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끼움절곡부가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므로, 마감부는 끼움 방식으로 구조부에 간단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부의 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측벽커버가 구비되므로,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측벽커버에 의하여 용이하게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다양한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1 프레임(10)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제 2 프레임(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한 쌍의 제 1 프레임(10) 사이에 도어(D)가 위치되고, 한 쌍의 제 2 프레임(20) 사이에 유리(W)가 위치된다. 제 2 프레임(20)은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프레임(10)은 유리(W) 또는 도어(D)를 포함하는 마감재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구조부(100), 제 1-1 마감부(110), 제 1-2 마감부(120), 제 1-1 단열재(130) 및 제 1-2 단열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리(W)는 내화유리(W)로 구성되고, 도어(D)는 방화도어(D) 또는 내화유리(W)를 포함하는 도어(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마감재는 내화유리(W)를 포함하는 도어(D)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감재는 제 1 구조부(100)와 맞닿도록 위치되되 제 1-1 마감부(110)와 제 1-2 마감부(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 1 구조부(100)는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1 구조측부(102), 제 1-1 구조측부(102)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1-2 구조측부(104) 및 제 1-1 구조측부(102)와 제 1-2 구조측부(104)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구조측벽부(106)를 포함한다. 제 1 구조측벽부(106)는 마감재와 마주보거나 맞닿도록 구성되며,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마감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1 마감부(110)는 제 1 구조부(100)의 제 1-1 구조측부(102)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1-1 마감부(11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제 1 구조측벽부(106)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구조측벽부(106)의 일측에 제 1 구조측벽부(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제 1-1 슬라이딩홈(106-1)이 형성되고, 제 1-1 마감부(110)의 단부는 제 1-1 슬라이딩홈(106-1)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된다. 여기서, 제 1-1 슬라이딩홈(106-1)은, 제 1 구조측벽부(106)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1 삽입홈(106a)과, 제 1-1 삽입홈(106a)의 저부에 제 1-1 구조측부(102)와 가까워지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1-1 절곡홈(106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1 마감부(110)의 단부는 제 1-1 삽입홈(106a)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제 1-1 삽입안내부(112)와, 제 1-1 삽입안내부(112)의 단부에 제 1-1 절곡홈(106b)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일체로 절곡되는 제 1-1 절곡단부(114)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 1-1 마감부(110)의 단부는 제 1-1 삽입안내부(112)와 제 1-1 절곡단부(114)를 구비하므로, 제 1-1 마감부(110)가 제 1 구조부(100)에 결합될 때, 제 1-1 슬라이딩홈(106-1)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제 1-1 마감부(110)가 제 1 구조부(100)에 삽입된 이후에는 제 1-1 마감부(110)의 제 1-1 절곡단부(114)가 제 1-1 절곡홈(106b)에 걸림 위치되어, 제 1-1 마감부(110)는 제 1 구조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제 1-2 마감부(120)는 제 1 구조부(100)의 제 1-2 구조측부(104)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1-2 마감부(12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제 1 구조측벽부(106)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구조측벽부(106)의 타측에 제 1 구조측벽부(106)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제 1-2 슬라이딩홈(106-2)이 형성되고, 제 1-2 마감부(120)의 단부는 제 1-2 슬라이딩홈(106-2)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된다. 여기서, 제 1-2 슬라이딩홈(106-2)은, 제 1 구조측벽부(106)의 타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2 삽입홈(106c)과, 제 1-2 삽입홈(106c)의 저부에 제 1-2 구조측부(104)와 가까워지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1-2 절곡홈(106d)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2 마감부(120)의 단부는 제 1-2 삽입홈(106c)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제 1-2 삽입안내부(122)와, 제 1-2 삽입안내부(122)의 단부에 제 1-2 절곡홈(106d)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일체로 절곡되는 제 1-2 절곡단부(124)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 1-2 마감부(120)의 단부는 제 1-2 삽입안내부(122)와 제 1-2 절곡단부(124)를 구비하므로, 제 1-2 마감부(120)가 제 1 구조부(100)에 결합될 때, 제 1-2 슬라이딩홈(106-2)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제 1-2 마감부(120)가 제 1 구조부(100)에 삽입된 이후에는 제 1-2 마감부(120)의 제 1-2 절곡단부(124)가 제 1-2 절곡홈(106d)에 걸림 위치되어, 제 1-2 마감부(120)는 제 1 구조부(1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제 1-1 단열재(130)는 제 1 구조측벽부(106)의 제 1-1 슬라이딩홈(106-1)과 접촉되는 제 1-1 마감부(110)의 제 1-1 삽입안내부(112)와 제 1-1 절곡단부(114)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단열 재질로 형성된다. 제 1-2 단열재(140)는 제 1 구조측벽부(106)의 제 1-2 슬라이딩홈(106-2)과 접촉되는 제 1-2 마감부(120)의 제 1-2 삽입안내부(122)와 제 1-2 절곡단부(124)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단열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1 마감부(110)로 전달되는 외부의 뜨거운 열기 또는 차가운 냉기가 제 1-1 단열재(130)에 확실하게 차단되어, 열기 또는 냉기는 제 1 구조부(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제 1 프레임(10)은 뛰어난 단열 성능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1 마감부(110) 및 제 1-2 마감부(120)는 마감재가 내화유리(W)로 구성되는 경우, 내화유리(W)의 간봉을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미려한 미관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재질의 제 1 구조부(100)에 내화유리(W)가 설치된 후, 제 1 구조부(100)의 양측을 금속 재질의 제 1-1 마감부(110) 및 제 1-2 마감부(120)가 덮도록 구성되어, 제 1 구조부(100)에 설치된 내화유리(W)는 제 1-1 마감부(110) 및 제 1-2 마감부(12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프레임(10)의 제 1 구조부(100)의 일측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제 1 구조부(100)의 타측에 제 2 프레임(20)의 후술하는 제 2 구조부(200)가 위치될 때, 제 1 구조부(100)와 제 2 구조부(200) 사이에는 복수의 개스킷이 개재되며, 이를 위하여 제 2 구조부(200)에는 제 1 구조부(100) 방향으로 보조마감지지부가 돌출되고, 보조마감지지부와 제 1 구조부(100) 사이에 복수의 개스킷, 예를 들면, 제 1 개스킷(G1), 제 2 개스킷(G2) 및 제 3 개스킷(G3)이 개재된다. 제 1, 2, 3 개스킷(G1, G2, G3)은 가스나 공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패킹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1 프레임(1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프레임(10) 사이에 연결지지부(116, 126)가 더 구비된다. 연결지지부(116, 126)는 한 쌍의 제 1 프레임(10) 중 일 제 1 프레임(10)의 제 1-1 마감부(110)에서 돌출되는 제 1 연결지지부(21a)와, 타 제 1 프레임(10)의 제 1-2 마감부(120)에서 돌출되는 제 2 연결지지부(21b)를 포함하며, 제 1 연결지지부(21a)와 제 2 연결지지부(21b)가 상호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연결지지부(21a)와 제 2 연결지지부(21b) 사이에는 4개의 개스킷(G4, G5, G6, G7)이 개재된다.
또한, 한 쌍의 제 1 프레임(10)의 외측에 제 2 프레임(20)이 위치된다. 제 2 프레임(20)은 유리(W) 또는 도어(D)를 포함하는 마감재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구조부(200), 제 2-1 마감부(210), 제 2-2 마감부(220), 제 2-1 단열재(230) 및 제 2-2 단열재(240)를 포함한다. 마감재는 제 2 구조부(200)와 맞닿도록 위치되되 제 2-1 마감부(210)와 제 2-2 마감부(2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 2 구조부(200)는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2-1 구조측부(202), 제 2-1 구조측부(202)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2-2 구조측부(204) 및 제 2-1 구조측부(202)와 제 2-2 구조측부(204)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구조측벽부(206)를 포함한다. 제 2 구조측벽부(206)는 마감재와 마주보거나 맞닿도록 구성되며,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마감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2 구조측부(204)는 중앙으로 갈수록 제 2-1 구조측부(202)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된다.
제 2-1 마감부(210)는 제 2 구조부(200)의 제 2-1 구조측부(202)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2-1 마감부(21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제 2 구조측벽부(206)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구조측벽부(206)의 일측에 제 2 구조측벽부(206)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제 2-1 슬라이딩홈(206-1)이 형성되고, 제 2-1 마감부(210)의 단부는 제 2-1 슬라이딩홈(206-1)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된다. 여기서, 제 2-1 슬라이딩홈(206-1)은, 제 2 구조측벽부(206)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1 삽입홈(206a)과, 제 2-1 삽입홈(206a)의 저부에 제 2-1 구조측부(202)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 2-1 절곡홈(206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1 마감부(210)의 단부는 제 2-1 삽입홈(206a)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제 2-1 삽입안내부(212)와, 제 2-1 삽입안내부(212)의 단부에 제 2-1 절곡홈(206b)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일체로 절곡되는 제 2-1 절곡단부(214)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 2-1 마감부(210)의 단부는 제 2-1 삽입안내부(212)와 제 2-1 절곡단부(214)를 구비하므로, 제 2-1 마감부(210)가 제 2 구조부(200)에 결합될 때, 제 2-1 슬라이딩홈(206-1)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제 2-1 마감부(210)가 제 2 구조부(200)에 삽입된 이후에는 제 2-1 마감부(210)의 제 2-1 절곡단부(214)가 제 2-1 절곡홈(206b)에 걸림 위치되어, 제 2-1 마감부(210)는 제 2 구조부(2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1 단열재(230)는 제 2 구조측벽부(206)의 제 2-1 슬라이딩홈(206-1)과 접촉되는 제 2-1 마감부(210)의 제 2-1 삽입안내부(212)와 제 2-1 절곡단부(214)를 덮도록 형성된다.
제 2-2 마감부(220)는 제 2 구조부(200)의 제 2-2 구조측부(204)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2-2 마감부(22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제 2 구조측벽부(206)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구조측벽부(206)의 타측에 끼움홈(206c)이 형성되고, 제 2-2 마감부(220)의 단부는 제 2 구조측벽부(206)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2 마감부(220)가 제 2-2 구조측부(204)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끼움절곡부(222)가 제 2-2 구조측부(204)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끼움홈(206c)에 끼움 결합된다. 이처럼 제 2-2 마감부(220)는 끼움 방식으로 제 2 구조부(200)에 간단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2 단열재(240)는 끼움절곡부(222)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하,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제 2-1 슬라이딩홈(206-1)을 따라 제 2-1 마감부(210)의 제 2-1 삽입안내부(212)와 제 2-1 절곡단부(214)가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 후, 제 2-1 마감부(210)가 삽입 결합된 제 2 구조부(200)가 건축물의 지면에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구조부(200)는 복수 개가 설치된다. 그 후,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2 구조부(200)의 제 2-1 구조측벽부(206) 사이에 내화유리(W), 내화도어(D) 등의 마감재가 위치된다. 그 후, 제 2-2 마감부(220)의 끼움절곡부(222)가 제 2-2 구조측부(204)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끼움홈(206c)에 끼움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2 프레임(20)과 제 3 프레임(30)이 상호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 3 프레임(30)은 유리(W) 또는 도어(D)를 포함하는 마감재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 3 구조부(300), 제 3-1 마감부(310), 제 3-2 마감부(320), 제 3-1 단열재(330) 및 제 3-2 단열재(340)를 포함한다. 마감재는 제 3 구조부(300)와 맞닿도록 위치되되 제 3-1 마감부(310)와 제 3-2 마감부(3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 3 구조부(300)는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3-1 구조측부(302), 제 3-1 구조측부(302)와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제 3-2 구조측부(304), 제 3-1 구조측부(302)와 제 3-2 구조측부(304)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1 구조측벽부(306) 및 제 3-1 구조측부(302)와 제 3-2 구조측부(304)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3-2 구조측벽부(308)를 포함한다. 제 3-2 구조측벽부(308)는 중앙으로 갈수록 제 1 구조측벽부(106)와 멀어지도록 돌출된다. 제 3-1 구조측벽부(306)는 마감재와 마주보거나 맞닿도록 구성되며,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마감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3-1 마감부(310)는 제 3 구조부(300)의 제 3-1 구조측부(302)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3-1 마감부(310)의 양 단부는 제 3-1 구조측벽부(306)의 일측 및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 3-1 구조측벽부(306)의 일측에 오목하게 제 3-1 결합걸림홈(306a)이 형성되고,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일측에 오목하게 제 3-1 슬라이딩걸림홈(30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1 마감부(310)가 제 3-1 구조측벽부(306) 및 제 3-2 구조측벽부(308)에 결합될 때, 제 3-1 마감부(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3-1 결합단부(312)가 제 3-1 결합걸림홈(306a)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제 3-1 마감부(31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3-1 슬라이딩단부(314)가 제 3-2 구조측벽부(308)를 따라 제 3-1 슬라이딩걸림홈(308a)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 변형된 후, 제 3-1 슬라이딩걸림홈(308a)에 걸림 결합된다.
제 3-2 마감부(320)는 제 3 구조부(300)의 제 3-2 구조측부(304)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3-2 마감부(320)의 양 단부는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타측 및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타측에 오목하게 제 3-2 결합걸림홈(306b)이 형성되고, 제 3-2 구조측벽부(308)의 일측에 오목하게 제 3-2 슬라이딩걸림홈(308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2 마감부(320)가 제 3-2 구조측벽부(308) 및 제 3-2 구조측벽부(308)에 결합될 때, 제 3-2 마감부(320)의 일단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3-2 결합단부(322)가 제 3-2 결합걸림홈(306b)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제 3-2 마감부(32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 3-2 슬라이딩단부(324)가 제 3-2 구조측벽부(308)를 따라 제 3-2 슬라이딩걸림홈(308b)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 변형된 후, 제 3-2 슬라이딩걸림홈(308b)에 걸림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3-2 구조측벽부(308)가 외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제 3-1 마감부(310) 및 제 3-2 마감부(320)의 일단부가 제 3-1 결합걸림홈(306a) 및 제 3-2 결합걸림호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제 3-1 마감부(310) 및 제 3-2 마감부(320)의 타단부가 제 3-2 구조측벽부(308)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용이하게 제 3-1 슬라이딩걸림홈(308a) 및 제 3-2 슬라이딩걸림홈(308b)에 걸림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다양한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프레임(10), 제 2 프레임(20) 또는 제 3 프레임(30)이 반영된 내용의 다양한 예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2 프레임(20)에 측벽커버(250)가 더 구비된다. 제 2 프레임(20)은 제 2 구조부(200), 제 2-1 마감부(210), 제 2-2 마감부(220), 제 2-1 단열재(230) 및 제 2-2 단열재(240)를 포함한다. 마감재는 제 2 구조부(200)와 맞닿도록 위치되되 제 2-1 마감부(210)와 제 2-2 마감부(220)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 2 구조부(200)는 제 2-1 구조측부(202), 제 2-2 구조측부(204), 제 1 구조측부와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2-1 구조측벽부(207-1) 및 제 1 구조측부와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2 구조측벽부(20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1 구조측벽부(207-1)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제 2-2 구조측벽부(207-2)는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 2-1 구조측벽부(207-1)의 일측 및 제 2-2 구조측벽부(207-2)의 일측에 한 쌍의 삽입홈(208a)이 형성되고, 제 2-1 구조측벽부(207-1)의 타측 및 제 2-2 구조측벽부(207-2)의 타측에 한 쌍의 끼움홈(208b)이 형성된다.
제 2-1 마감부(210)는 제 2 구조부(200)의 제 2-1 구조측부(202)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2-1 마감부(21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삽입홈(208a)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제 1 끼움절곡부(213)를 구비하여, 제 1 끼움절곡부(213)는 한 쌍의 삽입홈(208a)에 삽입 결합된다.
제 2-2 마감부(220)는 제 2 구조부(200)의 제 2-2 구조측부(204)를 커버하되 마감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측부는 마감재의 타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 2-2 마감부(22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222)는 한 쌍의 끼움홈(208b)에 삽입 결합된다.
제 2-1 단열재(230)는 한 쌍의 제 1 끼움절곡부(213)를 감싸고, 제 2-2 단열재(240)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222)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측벽커버(250)는 제 2 구조측벽부(206)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측벽커버(250)는 측벽커버(250)는, 제 2 구조측벽부(206)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250a)와, 측벽마감부(250a)와 제 2 구조측벽부(206)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벽마감부(250a)의 외측에 측벽마감부(250a)를 커버하도록 보조마감커버(2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제 2 구조측벽부(206)에 측벽커버(250)가 구비되므로,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측벽커버(250)를 통하여 제 2 구조부(200)로 전달된다 하더라도, 제 2-1 단열재(230) 및 제 2-2 단열재(240)에 의하여 제 2-1 마감부(210) 및 제 2-2 마감부(220)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2 프레임(20)에 장착되는 측벽커버(252)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측벽커버(252)는 제 2 구조측벽부(206)와 이격된 상태로 제 2 구조측벽부(206)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252a)와, 측벽마감부(252a)에 제 2 구조측벽부(206)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측벽결합부(25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벽결합부(252b)의 단부에 측벽결합부(252b)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부(252c)가 형성된다.
제 2 구조측벽부(206)에는 측벽결합부(252b)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결합홈(207a)과, 측벽결합홈(207a)에 화살촉결합부(252c)가 삽입되도록 측벽결합홈(207a)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홈(207b)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구조측벽부(206)에는 측벽결합홈(207a)의 양측에 오목하게 탄성유도홈(207c)이 형성된다. 그 결과, 화살촉결합부(252c)가 측벽결합홈(207a)을 지나 화살촉결합홈(207b)에 삽입될 때, 측벽결합홈(207a)은 화살촉결합부(252c)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유도홈(207c)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측벽결합홈(207a)의 폭이 가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측벽결합홈(207a)의 직경을 강제로 늘리도록 탄성유도홈(207c)이 형성되므로, 화살촉결합부(252c)는 용이하게 측벽결합홈(207a)을 지나 화살촉결합홈(207b)에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측벽커버(252)의 측벽마감부(252a')의 형상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도 14의 측벽커버(252)가 제 2 구조부(200)의 제 2-2 구조측벽부(207-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도 13의 측벽커버(250)가 제 1 프레임(10)의 도어(D)가 없는 제 1 구조부(100)에 위치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는 제 1 프레임(10)과 제 2 프레임(20) 사이에 도어(D)가 위치되고, 제 2 프레임(20)에 측벽커버(250)와 보조마감커버(260)가 위치된다.
제 1 프레임(10)은 제 2-2 구조측부(204)에 절개부(204a)가 구비된다. 절개부(204a)는 제 2-2 구조측부(204)의 중앙이 절개되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2 구조측부(204)의 양측은 제 2-2 구조측부(204)의 양측을 따라 끼움홈(206c)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끼움절곡부(222)의 가압에 의하여 중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끼움절곡부(222)는 용이하게 끼움홈(206c)으로 삽입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제 1 프레임
100: 제 1 구조부 102: 제 1-1 구조측부
104: 제 1-2 구조측부 106: 제 1 구조측벽부
106-1: 제 1-1 슬라이딩홈 106a: 제 1-1 삽입홈
106b: 제 1-1 절곡홈 106-2: 제 1-2 슬라이딩홈
106c: 제 1-2 삽입홈 106d: 제 1-2 절곡홈
110: 제 1-1 마감부 112: 제 1-1 삽입안내부
114: 제 1-1 절곡단부 116: 제 1 연결지지부
120: 제 1-2 마감부 122: 제 1-2 삽입안내부
124: 제 1-2 절곡단부 126: 제 2 연결지지부
130: 제 1-1 단열재 140: 제 1-2 단열재
20: 제 2 프레임
200: 제 2 구조부 202: 제 2-1 구조측부
204: 제 2-2 구조측부 204a: 절개부
206: 제 2 구조측벽부 206-1: 제 2-1 슬라이딩홈
206a: 제 2-1 삽입홈 206b: 제 2-1 절곡홈
206c: 끼움홈 207-1: 제 2-1 구조측벽부
207-2: 제 2-2 구조측벽부 207a: 측벽결합홈
207b: 화살촉결합홈 207c: 탄성유도홈
208a: 삽입홈 208b: 끼움홈
210: 제 2-1 마감부 212: 제 2-1 삽입안내부
213: 끼움절곡부 214: 제 2-1 절곡단부
220: 제 2-2 마감부 222: 끼움절곡부
230: 제 2-1 단열재 240: 제 2-2 단열재
250: 측벽커버 250a: 측벽마감부
250b: 측벽결합부 252: 측벽커버
252a, 252a': 측벽마감부 252b: 측벽결합부
252c: 화살촉결합부 260: 보조마감커버
30: 제 3 프레임
300: 제 3 구조부 302: 제 3-1 구조측부
304: 제 3-2 구조측부 306: 제 3-1 구조측벽부
306a: 제 3-1 결합걸림홈 306b: 제 3-2 결합걸림홈
308: 제 3-2 구조측벽부 308a: 제 3-1 슬라이딩걸림홈
308b: 제 3-2 슬라이딩걸림홈 310: 제 3-1 마감부
312: 제 3-1 결합단부 314: 제 3-1 슬라이딩단부
320: 제 3-2 마감부 322: 제 3-2 결합단부
324: 제 3-2 슬라이딩단부 330: 제 3-1 단열재
340: 제 3-2 단열재

Claims (16)

  1. 유리 또는 문을 포함하는 마감재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건축용 프레임에 있어서,
    마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 1 구조측부,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마주보는 제 2 구조측부,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는 구조부;
    상기 제 1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마감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 마감부;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를 덮는 단열 재질의 제 1 단열재; 및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접촉되는 상기 제 2 마감부의 단부를 덮는 단열 재질의 제 2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와 상기 제 2 마감부의 단부가 마감재의 단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상기 구조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저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절곡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삽입안내부와, 상기 삽입안내부의 단부에 상기 절곡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일체로 절곡되는 절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열재는 상기 삽입안내부와 상기 절곡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측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감부는,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감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측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부에서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마감부는,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되 양 단부는 상기 구조측벽부의 타측과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끼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감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열재는 상기 끼움절곡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중앙은 절개되어 벌어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양측은 상기 제 2 구조측부의 양측을 따라 상기 끼움홈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끼움절곡부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측벽부는,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와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결합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슬라이딩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마감부가 상기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마감부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걸림홈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감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걸림홈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탄성 변형된 후, 상기 슬라이딩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측벽부는,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구조측벽부 및 상기 제 1 구조측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부 사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구조측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측벽커버가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커버는,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와, 상기 측벽마감부에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측벽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결합부의 단부에 상기 측벽결합부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 상기 측벽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결합홈과, 상기 측벽결합홈에 상기 화살촉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벽결합홈보다 큰 폭을 갖는 화살촉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측벽부에는 상기 측벽결합홈의 양측에 오목하게 탄성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살촉결합부가 상기 측벽결합홈을 지나 상기 화살촉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측벽결합홈은 상기 화살촉결합부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탄성유도홈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측벽결합홈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커버는,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커버하는 측벽마감부와, 상기 측벽마감부와 상기 제 2 구조측벽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의 일측에 마감재가 위치되고, 상기 구조부의 타측에 다른 구조부가 위치될 때, 상기 구조부와 상기 다른 구조부 사이에 복수 개의 개스킷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16. 제 6 항 기재의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제 1 마감부의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
    상기 제 1 마감부가 삽입된 상기 구조부가 건축물의 지면에 설치되는 과정;
    상기 구조부의 상기 구조측벽부에 마감재가 위치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마감부의 상기 끼움절곡부가 상기 제 2 구조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180091963A 2018-02-27 2018-08-07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87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664 2018-02-27
KR20180023664 2018-02-27
KR20180045231 2018-04-18
KR1020180045231 2018-04-18
KR1020180056225 2018-05-16
KR20180056225 2018-05-16
KR20180075884 2018-06-29
KR1020180075884 201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59A true KR20190102959A (ko) 2019-09-04
KR102087780B1 KR102087780B1 (ko) 2020-03-11

Family

ID=6795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63A KR102087780B1 (ko) 2018-02-27 2018-08-07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19B1 (ko) * 2022-08-19 2023-04-03 양승하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797B1 (ko) * 2011-07-07 2012-01-17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20130002394A (ko) * 2011-06-29 2013-01-08 (주)상원이엔티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
KR101484723B1 (ko) * 2014-06-13 2015-01-28 (주)창명건업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60025918A (ko) 2014-08-28 2016-03-09 (주)에스마린시스템 차열 방화 유리벽 및 유리문
KR20160071834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70075483A (ko) * 2015-12-23 2017-07-03 신광철 단열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394A (ko) * 2011-06-29 2013-01-08 (주)상원이엔티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
KR101105797B1 (ko) * 2011-07-07 2012-01-17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484723B1 (ko) * 2014-06-13 2015-01-28 (주)창명건업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60025918A (ko) 2014-08-28 2016-03-09 (주)에스마린시스템 차열 방화 유리벽 및 유리문
KR20160071834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70075483A (ko) * 2015-12-23 2017-07-03 신광철 단열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19B1 (ko) * 2022-08-19 2023-04-03 양승하 창호용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780B1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200492336Y1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US8316598B2 (en) Translucent panel
KR101746928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문틀
KR101219379B1 (ko)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0917865B1 (ko) 단열 외창
EP0983406B1 (en) An insulated panel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2087780B1 (ko)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71912B1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421568B1 (ko) 가변 결합구조의 단열재가 구비되는 창호
CN108049763A (zh) 一种铝合金防火密封窗
KR20160002950U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160002972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RU95722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офиль для сборки оконных блоков
KR102619172B1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WO2019130367A1 (en) Window frame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80115085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CN203742378U (zh) 断热幕墙内开扇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455274B1 (ko) 내부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방화 유리창
CN109057647B (zh) 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