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79B1 -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79B1
KR101219379B1 KR1020110029603A KR20110029603A KR101219379B1 KR 101219379 B1 KR101219379 B1 KR 101219379B1 KR 1020110029603 A KR1020110029603 A KR 1020110029603A KR 20110029603 A KR20110029603 A KR 20110029603A KR 101219379 B1 KR101219379 B1 KR 10121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frame
connector
pair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217A (ko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102011002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방식으로 간편하게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작하고,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는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여 실내외 간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외 측 간의 열전도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매개로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일체화 연결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단열성 증진 및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신속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Adiabatic frame for windows having adiabatic efficacy}
본 발명은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방식으로 간편하게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작하고,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는 열전도 현상을 차단하여 실내외 간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근자에는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체의 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1)은 도 9와 같이 스테인레스 판재를 절단 절곡하여 스테인레스 외장프레임(2)을 제작하고, 상기 스테인레스 외장프레임(2)의 내부에는 스틸 판재를 절단 절곡하여 동일한 형태로 제작한 스틸 보강프레임(3)을 끼움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용 프레임(1)은 일측에 이중유리(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중유리(4)를 기준으로 전후 양측이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창호용 프레임(1)은 일체형의 금속재 판재로 구성됨으로써 열전도가 잘되어 실내외 간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이와 같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스틸 보강프레임(3)이 쉽게 녹이 슬고 녹물이 흘러내리며,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성이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프레임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외 측 간의 열전도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매개로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일체화 연결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단열성 증진 및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신속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은 내면부의 일측에 한 쌍의 커넥팅판을 이격 설치하여 상기 커넥팅판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팅판의 선단에는 걸림돌기를 절곡 형성하며, 상기 커넥팅판 및 커넥터 삽입부를 제외한 보강프레임의 외측에는 외장프레임을 감싸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커넥팅 삽입부에는 열전도방지 커넥터의 전후 양측을 각각 끼움 연결조립하되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의 양면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도방지 커넥터를 이용하여 분리된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간편하게 연결조립하는 방법으로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제작공정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며,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는 한 쌍의 보강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프레임 상호 간의 열전도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이를 없애 결로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여 단열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적용된 창호의 시공상태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보강프레임 및 열전도방지 커넥터의 분리상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방풍수단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보강프레임 및 열전도방지 커넥터의 분리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보강프레임 및 열전도방지 커넥터의 분리상태 평단면도
도 9는 종래 창호용 프레임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용 단열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5)에 인접하여 강화유리 도어(6)가 설치된 창호를 시공하기 위한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단열프레임 가운데 상기 벽체(5)에 부착상태로 마감설치되는 세로 단열프레임(100)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100)의 기술구성을 도 2 내지 도 3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휨 방지부(111a)가 형성된 외면부(111) 및 내면부(112)가 측면부(1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112)의 일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커넥팅판(114)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114)의 선단에 걸림돌기(116)가 각각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110)(110a)과; 상기 커넥팅판(114) 및 커넥터 삽입부(115)를 제외한 내면부(112), 측면부(113), 외면부(111) 및 휨 방지부(1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120a)과;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10a)의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115)에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 각각 걸림돌기(1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1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와;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141)(16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00a)은 분리된 단품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열전도방지 커넥터(130)를 매개로 상호 일체화 연결됨으로써 단일화된 본 발명의 세로 단열프레임(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10)(110a)은 일측 선단에 휨 방지부(111a)가 형성된 외면부(111) 및 내면부(112)가 각각 측면부(1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ㄷ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되고, 상기 내면부(112)의 일측에는 한 쌍의 커넥팅판(114)이 이격 설치됨으로써 상기 커넥팅판(114)의 사이에는 자연적으로 커넥터 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114)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16)가 상호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10)(110a)의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120a)은 보강프레임(110)(110a)과 마찬가지로 상호 분리된 단품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를 원소재로 하여 절곡 제작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내부식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팅판(114)과 커넥터 삽입부(115)를 제외한 내면부(112), 측면부(113), 외면부(111) 및 휨 방지부(1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내면부(112)의 타측에는 마찰저감 가이드돌기(1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의 대응면(121) 선단에는 걸림편(1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22)은 마찰저감 가이드돌기(117)의 선단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마찰저감 가이드돌기(117)는 절곡 제작된 외장프레임(120)(120a)을 보강프레임(110)(110a)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외측에 끼움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과 선접촉을 이루면서 안내함에 따라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과의 마찰저항을 저감시켜 더욱 원활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10a)을 일체화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인 열전도방지 커넥터(130)는 도 3과 같이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115)에 각각 전후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는 각각 상기 걸림돌기(1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1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의 전후 양측을 분리된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10a)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부(115)에 각각 끼움 조립할 수 있어, 제작에 따른 시간과 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보강프레임(110)(110a)은 열전도방지 커넥터(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보강프레임(110)(110a)을 통해 실내의 열이 전도되어 실외로 전달되는 열전도 경로가 완전하게 단절됨으로써 결로현상이 발생함을 방지하고, 외부로 방출하는 열손실을 줄여주어 단열효과를 더욱 배가시키며, 에너지를 대폭 절감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강프레임(110)(110a)과 열전도방지 커넥터(130) 간의 조립과정에서 더욱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팅판(114)의 사이 내면부(112)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록킹돌기(116)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116)는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의 전후 양면에 각각 추가로 함몰 형성된 록킹홈(13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와 보강프레임(110)(110a)은 더욱 일체화된 결속력을 유지함에 따라 보강프레임(110)(110a)은 어떠한 경우에도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1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121)의 사이에는 강화유리 도어(6)와 본 발명의 세로 단열프레임(10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틈새마저도 막아주면서 방풍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풍수단(1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방풍수단(140)은 도 2와 같이 일측에 삽입고정편(14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정편(141)의 선단에는 방풍쿠션(142)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고정편(141)은 마주하는 한 쌍의 대응면(121)의 사이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방풍쿠션(142)은 강화유리 도어(6)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방풍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풍수단(160)은 도 4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방풍수단(160)은 방풍홀더(161)의 전후 양면에 각각 산형의 결합돌기(162)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62)는 외장프레임(120)(120a)의 마주하는 대응면(121)에 연속적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163)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방풍홀더(161)의 선단에 형성된 가스켓 장착홈(164)에는 강화유리 도어(6)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틈새를 막아주어 방풍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풍가스켓(165)이 끼움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200)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세로 단열프레임(200)의 기술적 구성은, 휨 방지부(211a)가 형성된 외면부(211) 및 내면부(212)가 측면부(2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212)의 일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커넥팅판(214)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2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214)의 선단에 산형의 걸림돌기(216)가 각각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210)(210a)과; 상기 커넥팅판(214) 및 커넥터 삽입부(215)를 제외한 내면부(212), 측면부(213), 외면부(211) 및 휨 방지부(2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220a)과;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210)(210a)의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215)에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 각각 산형의 걸림돌기(2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2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와; 상기 외장프레임(220)(2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2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240)과; 상기 커넥팅판(214)을 관통하여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에 일체화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실시 예의 세로 단열프레임(200)은 보강프레임(210)(210a)에 형성된 걸림돌기(216)와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에 형성된 걸림홈(231)의 형상이 산형으로 형성된 점과, 상기 커넥팅판(214)을 관통하여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에 체결부재(250)가 나사결합된 점이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림돌기(216)가 산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열전도방지 커넥터(230)를 커넥터 삽입부(215)의 개방부를 통해 밀어 넣으면서 간편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이 경우 결속력이 다소 저하될 우려가 있는바 별도의 체결부재(250)를 이용하여 커넥팅판(214)과 열전도방지 커넥터(230)를 상호 일체로 체결하는 기술을 접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세로 단열프레임(300)은 도 7 내지 도 8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세로 단열프레임(300)의 기술적 구성은, 휨 방지부(311a)가 형성된 외면부(311) 및 내면부(312)가 측면부(3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312)의 일측 선단에 커넥팅판(314)이 절곡 형성된 제1 보강프레임(310)과; 휨 방지부(311a)가 형성된 외면부(311) 및 상기 내면부(312)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내면부(312a)가 측면부(3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312a)의 일측 선단에 커넥팅판(314a)이 절곡 형성된 제2 보강프레임(310a)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을 제외한 내면부(312)(312a), 측면부(313), 외면부(311) 및 휨 방지부(3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320)(320a)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의 사이에 포갠 상태로 개재되는 열전도방지 커넥터(330)와; 상기 외장프레임(320)(3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3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340)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 및 열전도방지 커넥터(330)를 일체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세로 단열프레임(300)은 제1 보강프레임(310)의 내면부(312) 길이보다 제2 보강프레임(310a)의 내면부(312a)의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보강프레임(310)(310a)이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프레임(310)의 커넥팅판(314)과 제2 보강프레임(310a)의 커넥팅판(314a)은 이격된 상태로 중첩되고, 상기 커넥팅판(314)(314a)의 사이에는 열전도방지 커넥터(330)가 포갠 상태로 개재되며, 상기 커넥팅판(314)(14a)과 열전도방지 커넥터(330)를 체결부재(350)가 일체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기술이 접목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330)는 일 측면 양쪽에 유동방지돌기(3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332)는 제2 보강프레임(310a)의 커넥팅판(314a)의 선단부 및 내면부(312a)의 일부를 밀착상태로 감싸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열전도방지 커넥터(330)는 전후로 유동하지 않고 상기 커넥팅판(31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게 된다.
1: 창호용 프레임
6: 강화유리 도어
100, 200, 300: 세로 단열프레임
111, 211, 311: 외면부
112, 212, 312, 312a: 내면부
113, 213, 313: 측면부
114, 214, 314, 314a: 커넥팅판
115, 215: 커넥터 삽입부
116, 216: 걸림돌기
117: 마찰저감 가이드돌기
118: 록킹돌기
120, 120a, 220, 220a, 320, 320a: 외장프레임
130, 230, 330: 열전도방지 가스켓
131, 231: 걸림홈
132: 록킹홈
140, 160: 방풍수단
141: 삽입고정편
142: 방풍쿠션
161: 방풍홀더
162: 결합돌기
163: 결합홈
165: 방풍가스켓
250, 350: 체결부재

Claims (7)

  1. 휨 방지부(111a)가 형성된 외면부(111) 및 내면부(112)가 측면부(1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112)의 일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커넥팅판(114)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114)의 선단에 걸림돌기(116)가 각각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110)(110a)과;
    상기 커넥팅판(114) 및 커넥터 삽입부(115)를 제외한 내면부(112), 측면부(113), 외면부(111) 및 휨 방지부(1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120a)과;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10a)의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115)에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 각각 걸림돌기(1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1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와;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140)(160)으로 이루어진 세로 단열프레임(1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커넥팅판(114)의 사이 내면부(112)에는 록킹돌기(116)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116)는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의 전후 양면에 함몰 형성된 록킹홈(132)에 끼워지면서 록킹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내면부(112)의 타측에는 마찰저감 가이드돌기(1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찰저감 가이드돌기(117)의 선단에는 대응면(121)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122)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방풍수단(140)은 일측에 형성된 삽입고정편(141)이 대응면(121)의 사이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삽입고정편(141)의 선단에는 강화유리 도어(6)의 측면에 밀착되는 방풍쿠션(142)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방풍수단(160)은 방풍홀더(161)의 전후 양면에 산형의 결합돌기(16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62)는 외장프레임(120)(120a)의 대응면(121)에 연속적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163)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방풍홀더(161)의 선단에 형성된 가스켓 장착홈(164)에는 강화유리 도어(6)의 측면에 밀착되는 방풍가스켓(165)이 끼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6. 휨 방지부(211a)가 형성된 외면부(211) 및 내면부(212)가 측면부(2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212)의 일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커넥팅판(214)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2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214)의 선단에 산형의 걸림돌기(216)가 각각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210)(210a)과;
    상기 커넥팅판(214) 및 커넥터 삽입부(215)를 제외한 내면부(212), 측면부(213), 외면부(211) 및 휨 방지부(2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220)(220a)과;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210)(210a)의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215)에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 각각 산형의 걸림돌기(2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2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와;
    상기 외장프레임(220)(2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2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240)과;
    상기 커넥팅판(214)을 관통하여 열전도방지 커넥터(230)에 일체화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50)로 이루어진 세로 단열프레임(2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7. 휨 방지부(311a)가 형성된 외면부(311) 및 내면부(312)가 측면부(3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312)의 일측 선단에 커넥팅판(314)이 절곡 형성된 제1 보강프레임(310)과;
    휨 방지부(311a)가 형성된 외면부(311) 및 상기 내면부(312)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내면부(312a)가 측면부(3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312a)의 일측 선단에 커넥팅판(314a)이 절곡 형성된 제2 보강프레임(310a)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을 제외한 내면부(312)(312a), 측면부(313), 외면부(311) 및 휨 방지부(3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320)(320a)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의 사이에 포갠 상태로 개재되는 열전도방지 커넥터(330)와;
    상기 외장프레임(320)(3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3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340)과;
    상기 커넥팅판(314)(314a) 및 열전도방지 커넥터(330)를 일체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50)로 이루어진 세로 단열프레임(3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110029603A 2011-03-31 2011-03-31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21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603A KR101219379B1 (ko) 2011-03-31 2011-03-31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603A KR101219379B1 (ko) 2011-03-31 2011-03-31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17A KR20120111217A (ko) 2012-10-10
KR101219379B1 true KR101219379B1 (ko) 2013-01-09

Family

ID=472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603A KR101219379B1 (ko) 2011-03-31 2011-03-31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7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76B1 (ko) * 2013-11-29 2014-07-15 김영석 단열 도어틀 및 단열 도어
KR101474527B1 (ko) * 2014-02-19 2014-12-22 황민선 창호용 프로파일과 이를 이용한 창호
KR101482215B1 (ko) 2014-06-16 2015-01-15 (주)영남유리산업 문틀 하부 단열 재료분리대
KR101546821B1 (ko) 2014-05-09 2015-08-24 임식규 구조 강도가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93154B1 (ko) 2015-09-16 2016-02-12 주식회사 비제이 결로처리시스템을 둔 이중단열 커튼월
KR201600628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보강재
KR101661892B1 (ko) 2015-12-03 2016-10-05 제이에스이엔지(주)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창호
KR101686407B1 (ko) 2016-05-18 2016-12-14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70131961A (ko)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867B1 (ko) * 2015-08-07 2015-12-31 김기봉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70A (ja) * 1999-08-19 2001-02-27 Fujisash Co 断熱サッシ構成材における形材の接合装置
KR20090119404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알서스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70A (ja) * 1999-08-19 2001-02-27 Fujisash Co 断熱サッシ構成材における形材の接合装置
KR20090119404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알서스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76B1 (ko) * 2013-11-29 2014-07-15 김영석 단열 도어틀 및 단열 도어
KR101474527B1 (ko) * 2014-02-19 2014-12-22 황민선 창호용 프로파일과 이를 이용한 창호
KR101546821B1 (ko) 2014-05-09 2015-08-24 임식규 구조 강도가 우수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482215B1 (ko) 2014-06-16 2015-01-15 (주)영남유리산업 문틀 하부 단열 재료분리대
KR201600628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보강재
KR102003083B1 (ko) * 2014-11-26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보강재
KR101593154B1 (ko) 2015-09-16 2016-02-12 주식회사 비제이 결로처리시스템을 둔 이중단열 커튼월
KR101661892B1 (ko) 2015-12-03 2016-10-05 제이에스이엔지(주)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창호
KR101686407B1 (ko) 2016-05-18 2016-12-14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70131961A (ko)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1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379B1 (ko)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270213B1 (ko) 단열성능을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0946306B1 (ko) 단열 복합창호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US20140360124A1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KR100917865B1 (ko) 단열 외창
KR20100120867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0309793B1 (ko) 폐 스틸렌폼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20090021836A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KR101575077B1 (ko)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KR200470175Y1 (ko) 유리도어용 샤시 프레임
KR101648182B1 (ko) 미닫이문의 프레임구조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KR20150020656A (ko) 도어용 프레임 결합장치
CN210948237U (zh) 一种结合转角窗户的内平开窗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042348B1 (ko) 오토 워시 이중 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