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73B1 -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 Google Patents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673B1
KR101602673B1 KR1020140039405A KR20140039405A KR101602673B1 KR 101602673 B1 KR101602673 B1 KR 101602673B1 KR 1020140039405 A KR1020140039405 A KR 1020140039405A KR 20140039405 A KR20140039405 A KR 20140039405A KR 101602673 B1 KR101602673 B1 KR 10160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dden
exposed
window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786A (ko
Inventor
정선경
Original Assignee
정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완 filed Critical 정수완
Priority to KR102014003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7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창문프레임에 있어서, 기존에는 유리의 연결부분이 보이게 되는 노출 프레임과, 창문의 유리와 유리 연결부위가 프레임 없이 연결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히든 프레임을 각각 별도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노출 및 히든 바 부분만을 노출용과 히든용으로 단순 교체하여 사용하여, 노출 프레임과 히든 프레임의 구현이 가능한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WINDOW FRAME CAPABLE OF CHANGING HIDDEN AND EXPOSED FRAME}
본 발명은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창문 프레임에서, 창문 프레임을 노출용과 히든용으로 각각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창문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노출 및 히든 바만을 변경함으로써, 노출 또는 히든 형태의 프레임을 가진 창문으로의 모든 구현이 가능한 창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일반적인 단독주택이나 연립, 빌라 및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주택 또 는 상업용 건축물의 외벽에 채광과 통풍을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창문은 크게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결합되어 개,폐되면서 유리창을 결합한 창문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창문은 창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모두가 목재로 구성되었으나 기밀성의 저하로 단열과 방음이 용이하지 않는 것은 물론, 유격으로 인한 소음발생이 심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단열과 방음은 물론 유격으로 인한 소음이 거의 없는 알루미늄재질이나 피브이시(PVC)재질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알루미늄은 심미성과 내구성은 좋으나 열전도율이 좋아 건축물의 외부온도가 내부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창틀의 경우는 일측은 알루미늄으로 제조하고, 타측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창문용 프레임에 대한 이와 같은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재질과 함께 구조적으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 프레임의 구조 개선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이러한 창문 프레임의 경우, 건축물의 디자인에 의해 창틀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노출 프레임 형태 및 유리창과 유리창 상호간에 창틀이 보이지 않는 히든 프레임 형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노출 프레임과 히든 프레임용 창문 프레임은 각각 교환 및 적용이 되지 않는 각자 독자적인 형상으로 개별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창문 프레임 내에 노출과 히든을 동시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동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개별적으로 모두 제조 및 구매해야 했으며, 히든과 노출 프레임이 서로 상이한 구조 및 결합관계로 인하여 동일한 건물의 창문 공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더 소요되고 공사비 또한 증가되는 등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창문프레임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건축용도 및 외부디자인에 맞춰, 창문 주위에서 유리를 연결하는 프레임 부분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노출 프레임 형태와, 창문과 창문사이가 프레임없이 연결된처럼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히든 프레임 형태로 모두 사용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단일 프레임과 노출 프레임을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병행해서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 또한, 가능토록 한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창문틀을 형성하기 위해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10);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이격배치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는 외부 프레임(2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서, 일단이 내부 프레임(1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되,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체결되어 외부 프레임(20)을 지지하는 노출 프레임(A)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히든 프레임(B)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노출 및 히든 바(3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부재(40); 상기 유리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해, 상호간 대향되는 다수 노출 및 히든 바(30)에 설치되는 유리 지지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창문 프레임에 있어서, 노출 및 히든 바 부분을 원하는 것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노출 프레임과 히든 프레임의 구현이 모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외부 프레임 사이의 노출 및 히든 바를, 노출용과 히든용으로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창문구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제작시 사용되는 히든구조를 위한 프레임 및, 노출구조를 위한 프레임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 프레임 형태를 가지는 창문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 프레임 형태와 히든 프레임 형태를 병행한 창문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은 도 1, 2의 사시도.
도 6은 도 3, 4의 단면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창문틀을 형성하기 위해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10);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이격배치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는 외부 프레임(2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서, 일단이 내부 프레임(1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되,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체결되어 외부 프레임(20)을 지지하는 노출 프레임(A)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히든 프레임(B)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노출 및 히든 바(3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부재(40); 상기 유리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해, 상호간 대향되는 다수 노출 및 히든 바(30)에 설치되는 유리 지지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노출 프레임(A)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프레임(1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설치되는 제 1결합판(31); 상기 제 1결합판(31) 중단에 돌출되어 외부 프레임(2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33)로 구획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제 1연결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히든 프레임(B)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프레임(1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설치되는 제 2결합판(34); 상기 제 2결합판(34) 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연결부(35); 상기 제 2연결부(35)의 단부에서, 제 2연결부(35)의 상, 하측에 접촉되는 유리부재(40)를 제 2연결부(35)에 연결시켜 마감처리함으로써, 복수개의 유리부재(40) 연결부위가 프레임없이 연결된 것처럼 외부에 식별되도록 하는 마감부(3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 지지대(50)는 일단이 내부 프레임(10)측으로 절곡되며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단턱부(13)에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 및 히든 프레임(B)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출 및 히든 프레임(B)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100)은 내부 프레임(10), 외부 프레임(20), 다수의 노출 및 히든 바(30), 유리부재(40), 유리 지지대(5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10)은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후면은 건축물의 내벽측에 위치되어, 가정 및 사무실 내 사용자에게 창문으로 식별되는 부분이 된다.
이러한 내부 프레임(10)은 내부가 비어있고 사각단면을 가지는 사각관체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내부 프레임(10)은 대게 사각형 틀로 조립되며, 이러한 사각형 틀은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형성되며, 건물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내부 프레임(10)의 사각형 틀은 중단이 구획되어져 2개의 직사각형 틀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프레임(10)의 형태는 사용자의 실시예, 건축물의 창문 형상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더불어, 이러한 내부 프레임(10)은 일면(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향해 후술될 외부 프레임(20)이 대응되며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 프레임(20)은 전술된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서, 외부 프레임(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외부 프레임(20)은 건물의 외벽측에 위치되어, 건물 외부인들에게 창문틀로 식별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외부 프레임(20)도 내부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관체 형상이되, 상기 내부 프레임(10)과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의 'ㄷ'자 형 프레임이 상호간 체결되어 하나의 외부 프레임(20)을 형성하는 등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이다.
상기 외부 프레임(20)은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위치되되, 내부 프레임(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틀을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 프레임(20)의 최외곽부분만 대응되는 형상으로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20)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내부 프레임(10)(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 부분을 '내부 중단 프레임(11)'이라 명명함.) 전면 부분에는, 후술될 노출 및 히든 바(30)의 마감부(36)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식별시, 창문의 유리부재(40)와 유리부재(40) 연결부위가 프레임없이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히든 프레임(B)의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노출 및 히든 바(30)는 전술된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서 외부 프레임(20)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노출 프레임(A)과 히든 프레임(B)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가 노출 프레임(A)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내부 프레임(10) 전면에 외부 프레임(20)이 대응위치되어 있는 부분에만 사용된다. 즉,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서 외부 프레임(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노출 프레임(A) 형태의 노출 및 히든 바(30)는 제 1결합판(31), 제 1연결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판(31)은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가 수평방향 연장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제 1결합판(31)은 전술된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홈(12)에 길이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 1연결부(32)는 전술된 결합판의 중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내부 프레임(10)의 방향을 따라 연장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제 1연결부(3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폭방향으로 다수 구획되어 공간부(33)를 여러개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빈 공간부(33)를 통해 단열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제 1연결부(32)의 단부는 전술된 외부 프레임(20)의 내주면에 다양한 결합수단(ex: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가 히든 프레임(B)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내부 프레임(10) 전면에 외부 프레임(20)이 존재하지 않는 내부 중단 프레임(11) 부분에 설치된다. 즉, 정사각형의 틀 형태를 가지는 내부 프레임(10)의 중단에 프레임이 하나 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 창문의 유리가 상, 하로 각각 설치되는 창문이 이에 해당된다. 이를 위한 히든 프레임(B) 형태의 노출 및 히든 바(30)는 제 2결합판(34), 제 2연결부(35), 마감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결합판(34)은 전술된 노출 프레임(A) 형태의 노출 및 히든 바(30)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가 수평방향 연장형성되어,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홈(12)에 길이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 2연결부(35)는 이러한 제 2결합판(34)의 중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제 2결합판(34)의 길이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제 2결합판(34)과 제 2연결부(35)가 상호간 'ㅓ' 또는 'ㅏ'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 2연결부(35)는 전술된 노출 프레임(A) 형태의 제 1연결부(32)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정사각형을 이루는 하나의 창문에서, 상, 하측 내, 외부 프레임(20) 사이에는 제 1연결부(32)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내부 중단 프레임(11)에는 제 2연결부(35)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단 제 1연결부(32)와 제 2연결부(35) 사이에 후술될 유리부재(40)가 수직으로 단일창, 또는 2개가 상호간 이격되며 이중창 형태로 설치되고, 제 2연결부(35) 저면과 하단 제 1연결부(32) 사이에도 역시 동일하게 유리부재(40)가 설치되는 형태가 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 2연결부(35)의 단부측에는 제 2연결부(35)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는 유리부재(40)와 저면에 접촉되어 있는 유리부재(40) 상호간을 연결하며 실리콘 등으로 마감처리하는 마감부(36)가 형성된다.
즉, 이렇게 마감된 내부 중단 프레임(11) 외측 부분은 외부에서 식별시, 외부 프레임(20) 없이 유리부재(40)와 유리부재(40)가(마감부(36)만으로) 연결되어진 것으로 보이게 되는, 히든 프레임(B) 형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노출 및 히든 바(30) 부분만(더욱 자세히는 연결부(제 1연결부(32), 제 2연결부(35)) 부분)을, 사용자가 노출 프레임(A) 형태를 원하느냐 아니면 히든 프레임(B) 형태를 원하느냐에 따라 바꾸기만 하면, 노출 프레임(A)과 히든 프레임(B) 모두에 단일의 창문 프레임이 두루 사용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상기 유리 지지대(50)는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의 복수개의 제 1연결부(32) 사이, 또는 제 1연결부(32)와 제 2연결부(35)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리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유리 지지대(50)는 유리부재(4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기에, 제 1연결부(32)의 일면 또는 제 2연결부(35)의 상, 하면에 설치되며, 제 1, 2연결부의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되며 간헐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유리 지지대(50)는 일단이 절곡되며, 제 1결합판(31) 또는 제 2결합판(34)이 체결되는 내부 프레임(10) 단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단턱부(13)(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제 1결합판(31) 또는 제 2결합판(34)이 결합되기 위한 끼움홈(12)이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홈(12) 전면측 상, 하측에 단턱부(13)가 형성되어 있다.)에 대응되며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은, 노출 및 히든바 다수를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노출 프레임(A)과 히든 프레임(B) 형태를 다양하게 병합 조합(ex: 노출 프레임 형태만을 사용하거나, 히든 프레임 형태만을 사용하거나, 노출 프레임과 히든 프레임 형태를 상호간 교번 등으로 사용하거나, 노출 프레임 형태만을 사용하되 일부분은 히든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하는 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내부 프레임 11: 내부 중단 프레임
12: 끼움홈 13: 단턱부
20: 외부 프레임 30: 노출 및 히든 바
31: 제 1결합판 32: 제 1연결부
33: 공간부 34: 제 2결합판
35: 제 2연결부 36: 마감부
40: 유리부재 50: 유리 지지대
A: 노출 프레임 B: 히든 프레임

Claims (4)

  1. 창문틀을 형성하기 위해 사전설정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10);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이격배치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는 외부 프레임(2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서, 일단이 내부 프레임(1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되,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체결되어 외부 프레임(20)을 지지하는 노출 프레임(A)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타단은 외부 프레임(20)과 연결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히든 프레임(B)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다수의 노출 및 히든 바(30);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리부재(40);
    상기 유리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해, 상호간 대향되는 다수 노출 및 히든 바(30)에 설치되는 유리 지지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 프레임(20)은 노출 및 히든 바(30)가 노출 프레임(A) 형태를 가질시에 사용되고, 상기 유리 지지대(50)는 노출 및 히든 바(30)가 히든 프레임(B) 형태를 가질시에 사용되며,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히든 프레임(B)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프레임(1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설치되는 제 2결합판(34)과, 상기 제 2결합판(34) 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연결부(35)와, 상기 제 2연결부(35)의 단부에서, 제 2연결부(35)의 상, 하측에 접촉되는 유리부재(40)를 제 2연결부(35)에 연결시켜 마감처리함으로써, 복수개의 유리부재(40) 연결부위가 프레임없이 연결된 것처럼 외부에 식별되도록 하는 마감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및 히든 바(30)는
    노출 프레임(A)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내부 프레임(1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설치되는 제 1결합판(31);
    상기 제 1결합판(31) 중단에 돌출되어 외부 프레임(2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33)로 구획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제 1연결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지지대(50)는
    일단이 내부 프레임(10)측으로 절곡되며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0)의 전면에 형성된 단턱부(13)에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4. 삭제
KR1020140039405A 2014-04-02 2014-04-02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KR10160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05A KR101602673B1 (ko) 2014-04-02 2014-04-02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05A KR101602673B1 (ko) 2014-04-02 2014-04-02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86A KR20150114786A (ko) 2015-10-13
KR101602673B1 true KR101602673B1 (ko) 2016-03-11

Family

ID=5434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05A KR101602673B1 (ko) 2014-04-02 2014-04-02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70B1 (ko) * 2018-07-16 2019-04-16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03B1 (ko) * 2011-04-08 2011-05-23 김순석 커튼월
KR101105797B1 (ko) * 2011-07-07 2012-01-17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202214B1 (ko) * 2012-08-09 2012-11-16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고 기밀성 단열 커튼 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091B2 (ja) * 1993-02-22 1997-10-1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複層ガラスのカーテンウォ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03B1 (ko) * 2011-04-08 2011-05-23 김순석 커튼월
KR101105797B1 (ko) * 2011-07-07 2012-01-17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202214B1 (ko) * 2012-08-09 2012-11-16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고 기밀성 단열 커튼 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86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KR101311442B1 (ko)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20170074069A (ko) 단열 창문틀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1511525B1 (ko) 도어
KR101859718B1 (ko)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KR101602673B1 (ko)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JP6502051B2 (ja) 断熱サッシ
KR101874578B1 (ko) 중공형 단열 커튼월
KR101187803B1 (ko) 조립식 방화문 및 조립방법
KR20140123234A (ko) 길이조절 및 단열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창문 지지시스템
KR101169028B1 (ko) 이중단열 커튼월
KR102108734B1 (ko)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JP5299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843777B1 (ko)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KR20160079605A (ko) 삽입식 몰드 타입 커튼월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150006750A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JP2018071257A5 (ko)
KR20110040059A (ko) 기능성 난방장치
KR101135661B1 (ko) 폐쇄 창호 프레임의 구조
KR101422734B1 (ko) 조립식 텐트
KR100749526B1 (ko) 창문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658924B1 (ko)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KR101249896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