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777B1 -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77B1
KR101843777B1 KR1020150126185A KR20150126185A KR101843777B1 KR 101843777 B1 KR101843777 B1 KR 101843777B1 KR 1020150126185 A KR1020150126185 A KR 1020150126185A KR 20150126185 A KR20150126185 A KR 20150126185A KR 101843777 B1 KR101843777 B1 KR 10184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
pair
facing
sl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183A (ko
Inventor
양선영
Original Assignee
양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선영 filed Critical 양선영
Priority to KR102015012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7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공기층이 확보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호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과 제2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가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폴리아미드 단열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Chassis for windows and doors having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와 실외를 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별도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되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어 열전도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알루미늄 섀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건축물은 대부분 1층은 상가(점포)로 구성되고 있으며 상가는 출입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창호 프레임을 알루미늄이 아닌 스테인레스 로 프레임을 제작하여 시공하여오고 있다
하지만 스테인레스는 단일 색상이어서 전체적인 건축물의 외관디자인에 걸맞지 않지만 대체할만한 알루미늄 제품이 개발되지 않아 스테인레스 프레임을 사용하여 왔고 또한 스테인레스는 절곡을하여 용접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현장시공시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비싸고 무엇보다 단열이 되지않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반드시 출입문이 형성되어야하는 상가(점포)에 있어서 출입문에는 보편적으로 유리문(강화도어)이 사용되는데 강화도어를 장착하기 위하여는 상롯트가 부착되어지는데 기존 스테인레스 프레임은 보강대가 있어야하며 용접을 하여 부착시켜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알루미늄 섀시는 실외로 향하는 측과 실내로 향하는 측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실외를 향하는 면과 실내를 향하는 면을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알루미늄 섀시의 표면에 테이핑을 하거나 폐인트를 도포함으로써 실외를 향하는 면과 실내를 향하는 면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작업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테이프가 떨어지거나 페인트가 벗겨져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7167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와 중간층 또한 외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3중으로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고,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유리를 중심으로 실외측은 건축물의 특성에 맞는 칼라로 실내측은 각양각색의 매장의 맞는특성에 원하는 칼라를 선택할수 있는 투톤으로 표현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섀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공기층이 확보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프레임(2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프레임(1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호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310)가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폭방향 양측 슬라이드돌기(310)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된 이후 널링공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외부와 격리된 공기단열층이 되는 알루미늄 섀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은, 바닥면보다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310)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어느 일측에는, 창유리(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이격되는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폴리아미드 단열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 중, 상기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 내벽에는,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창유리(10)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이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와 외부 및 중간에 3중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하고,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실외측과 실내측을 투톤으로 표현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에 창유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C-C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D-D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에 포함되는 프레임 지지유닛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에 창유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창유리(10) 및 강화유리 도어(20) 장착을 위한 창틀 또는 문틀이 되는 건축자재의 일종으로서, 실외를 향하는 측과 실내를 향하는 측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실외를 향하는 제1 프레임(100)과 실내를 향하는 제2 프레임(200)이 각각 제작되며, 상기 두 개의 프레임이 별도의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됨으로써 단열성과 방음성이 향상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과,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공기층이 확보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실내를 향하는 제1 프레임(100)과 실외를 향하는 제2 프레임(20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은(열전도 차단성이 좋은) 단열재(폴리아미드)인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연결되는바, 실외의 냉기나 열기가 제2 프레임(200)으로 인가되더라도 제1 프레임(100)까지는 전도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공기단열층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알루미늄 섀시의 단열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중공형 각관 형상으로 제작되면, 제1 프레임(100)의 내부공간과 제2 프레임(200)의 내부공간 역시 각각 공기단열층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3중 공기단열층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복사 방식으로는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제2 프레임(200)에 인가된 열기나 냉기가 전도 방식으로 제1 프레임(100)으로 전달될 수는 있지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이 합성수지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열전도 차단성이 좋은 재료인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단열재)로 제작되면,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전도 방식으로도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실내를 향하는 제1 프레임(100)과 실외를 향하는 제2 프레임(200)이 각각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더라도,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 즉, 냉방비나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단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폴리아미드 단열재가 널링방식을 통해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실내를 향하는 제1 프레임(100)과 실외를 향하는 제2 프레임(200)이 각각 별도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후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각각 상이한 색상의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외부를 향하는 면의 색상과 내부를 향하는 면의 색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이 용접이나 볼팅 등과 같은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된 후 널링작업을 통해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프레임(2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프레임(1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호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310)가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결프레임(300)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10)를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시키는 조작만으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기나 체결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 즉, 알루미늄 섀시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슬라이드돌기(310)가 돌출되는 방향(도 4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홈(120)이나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되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연결프레임(30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슬라이드돌기(310)가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으로부터 빠지는 현상 즉,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슬라이드돌기(310)가 제1 슬라이드홈(120)이나 제2 슬라이드홈(22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은 바닥면보다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310) 역시 제1 슬라이드홈(120)이나 제2 슬라이드홈(220)의 형상에 맞추어 끝단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돌기(310)와 제1 슬라이드홈(120),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면, 상기 슬라이드돌기(31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는 제1 슬라이드홈(120)이나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될 수 없으므로, 작업자는 슬라이드돌기(310)의 폭방향 끝단을 제1 슬라이드홈(120) 및 제2 슬라이드홈(220)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시킨 후 연결프레임(300)을 연결프레임(300)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돌기(310)를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의 슬라이드돌기(310)가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더라도 슬라이드돌기(310)가 제1 슬라이드홈(120)이나 제2 슬라이드홈(22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창유리(10)의 끝단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연결프레임(300)이 체결되는 부위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가운데 부위에 제1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가운데 부위에 제2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120)은 상기 제1 돌출부(110)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220)은 상기 제2 돌출부(210)에 형성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10)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상호 마주보는 면 중 제1 돌출부(110)와 제2 돌출부(210)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유리(10)가 제1 프레임(100)이나 제2 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창유리(10)와 제1 프레임(100) 사이, 창유리(10)와 제2 프레임(200) 사이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별도의 실링재가 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실링재는 종래의 창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실링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후 상호 결합시킬 때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체결피스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즉, 각 체결피스가 엇갈리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체결피스의 장착위치는, 각 체결피스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할 수 있으면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지점으로도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도 3에서는 상측과 하측)에 창유리(10)가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도 5에서는 상측)에만 창유리(1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알루미늄 섀시의 일측에만 창유리(1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창유리(10)가 결합되지 아니하는 경우, 창유리(10)가 결합되지 아니한 측에 강화도어가 취부될 때 유리홈 오목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연결프레임(300)과 제1 프레임(100) 사이, 연결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공간 중 창유리(10)가 결합되지 아니하는 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감프레임(400)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30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마감프레임(4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미관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연결프레임(300)과 제1 프레임(100) 사이, 연결프레임(3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간의 열전도가 차단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C-C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D-D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에는 창유리(10)가 장착될 수도 있고, 강화유리 도어(2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강화유리 도어(20)의 상롯트(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 이격거리가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어,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 사이가 최대한 넓게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폭방향 양측에 장착되더라도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에 창유리(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어느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는, 창유리(10)가 장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 중, 상기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 내벽에는,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창유리(10)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 사이가 최대한 넓게 확보되고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이 구비되면,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 즉, 일측(도 6에서는 하측)의 연결프레임(300)과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일부를 제거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 도어(20)의 상롯트(22)를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롯트(22)는 폭방향 양측이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에 지지되는바,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에 포함되는 프레임 지지유닛(500)의 체결구조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섀시는 바닥이 평평하지 아니한 장소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의 하단을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유닛(500)은, 수직으로 세워진 제1 프레임(100) 또는 제2 프레임(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프레임 장착브라켓(510)과, 상기 프레임 장착브라켓(510)의 수직 하방 지면에 결합되는 바닥 장착브라켓(520)과, 일단이 상기 바닥 장착브라켓(520)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 장착브라켓(510)에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는 체결나사(530)를 구비하는 프레임 지지유닛(5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의 바닥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체결나사(530)를 적절히 회전시켜 상기 체결나사(530)가 프레임 장착브라켓(5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알루미늄 섀시의 좌측과 우측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나사(530)에는 너트(미도시)를 구비하고, 그 너트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창유리 20 : 강화유리 도어
22 : 상롯트 100 : 제1 프레임
110 : 제1 돌출부 120 : 제1 슬라이드홈
200 : 제2 프레임 210 : 제2 돌출부
220 : 제2 슬라이드홈 300 : 연결프레임
310 : 슬라이드돌기 400 : 마감프레임
410 : 제1 보조프레임 420 : 제2 보조프레임
500 : 프레임 지지유닛 510 : 프레임 장착브라켓
520 : 바닥 장착브라켓 530 : 체결나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각관 구조로 형성되어, 나란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 사이에 공기층이 확보되도록 폭방향 양단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프레임(2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프레임(100)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호 대응되는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310)가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폭방향 양측 슬라이드돌기(310)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삽입된 이후 널링공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외부와 격리된 공기단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은, 바닥면보다 입구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돌기(310)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120)과 제2 슬라이드홈(2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은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1 슬라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마주보는 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제2 슬라이드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어느 일측에는, 창유리(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이격되는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추가로 구비되는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이 마주보는 면과 한 쌍의 연결프레임(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폴리아미드 단열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 중, 상기 제1 보조프레임(410)과 제2 보조프레임(420)이 구비되는 측의 반대측 내벽에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창유리(10)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롯트 지지단(230)이 구비되는 알루미늄 섀시.
  6. 삭제
KR1020150126185A 2015-09-07 2015-09-07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KR10184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85A KR101843777B1 (ko) 2015-09-07 2015-09-07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85A KR101843777B1 (ko) 2015-09-07 2015-09-07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83A KR20170029183A (ko) 2017-03-15
KR101843777B1 true KR101843777B1 (ko) 2018-03-30

Family

ID=5840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85A KR101843777B1 (ko) 2015-09-07 2015-09-07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630A (ko) 2019-05-23 2020-12-02 최영문 단열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 도어용 단열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664B1 (ko) * 2018-11-22 2020-12-02 (주)거광기업 리트로핏 기술을 활용한 커튼월 성능강화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08B1 (ko) *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KR101470525B1 (ko) * 2014-09-02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KR101631226B1 (ko)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101669409B1 (ko) 2015-04-27 2016-10-26 주식회사 중일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71Y1 (ko) 2013-07-31 2014-03-10 (주)다중씨엠씨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25B1 (ko) * 2014-09-02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KR101465508B1 (ko) * 2014-09-25 2014-11-26 (주)하이퍼윈도우 단열 창호
KR101669409B1 (ko) 2015-04-27 2016-10-26 주식회사 중일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631226B1 (ko) 2015-08-03 2016-06-24 주식회사 중일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630A (ko) 2019-05-23 2020-12-02 최영문 단열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된 도어용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83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842241B1 (ko) 단열 창문틀
KR101843777B1 (ko) 단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섀시
KR20160144601A (ko) 폴딩도어
CN100553533C (zh) 家用器具的具有隔离玻璃的门
KR20170131103A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20140106370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EP3735869A1 (en) Swing door system and a freezer device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WO2018148481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101549043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KR102072925B1 (ko) 창호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40105894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JP2006052644A (ja) 複合窓枠の連結構造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JP691018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367889Y1 (ko)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KR101658924B1 (ko)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
KR20200132062A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1249896B1 (ko) 창호용 단열 프레임
JP542581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を使用した建造物
KR102072926B1 (ko) 창호
KR101602673B1 (ko) 노출 및 히든 프레임이 용이변경가능한 창문프레임
JP2001098851A (ja) 上げ下げ障子を有する断熱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