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10A -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10A
KR20120005110A KR1020100065688A KR20100065688A KR20120005110A KR 20120005110 A KR20120005110 A KR 20120005110A KR 1020100065688 A KR1020100065688 A KR 1020100065688A KR 20100065688 A KR20100065688 A KR 20100065688A KR 20120005110 A KR20120005110 A KR 2012000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body
wiring box
cover
electrical wir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호
Original Assignee
신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원호 filed Critical 신원호
Priority to KR102010006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10A/ko
Publication of KR2012000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내부 또는 콘크리트 설치물 내부에 시공되는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와 덮개가 일체화된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돌기(1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전면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1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104)이 구비된 덮개(106)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외면 가장자리에 "U"자형 걸림구(108)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전기배선박스{all-in-one type Electric Wiring Box}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내부 또는 콘크리트 설치물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 내부 또는 콘크리트 설치물 내부에 시공되는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와 덮개가 일체화된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배선박스는 콘크리트 벽체 내부 또는 콘크리트 설치물 내부에 함몰되도록 시공한 후, 콘센트나 커넥터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배선박스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돌기(10)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전면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2)을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4)와; 상기 수용본체(14)의 전면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본체(14)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나사공(16)이 구비된 덮개(18)와; 상기 덮개(18)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수용본체(14)의 걸림공(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덮개(18)가 수용본체(14)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구(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조립에 앞서, 금형장치(도시는 생략함)로부터 전면이 개구되되, 관통돌기(10), 걸림공(12)이 구비된 수용본체(14)를 얻는다.
그리고, 금형장치에서 나사공(16), 걸림구(20)가 구비된 덮개(18)를 얻는다.
그리고, 관통돌기(10), 걸림공(12)이 구비된 수용본체(14)와 나사공(16), 걸림구(20)가 구비된 덮개(18)를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덮개(18)를 상기 수용본체(14)의 전면 상단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덮개(18)에 설치된 걸림구(20)를 수용본체(14)의 걸림공(12)으로 삽입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용본체(14)와 덮개(18)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전기배선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함몰시킨 후,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14)에 콘센트나 커넥터 등을 삽입시킨다. 이때, 덮개(18)의 나사공(16)에 콘센트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덮개(18)의 나사공(16)과 콘센트의 나사공을 결합시킨다.
한편,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전기배선박스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공(30)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몸체의 전면 상부 내측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부(32)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34)와;
상기 수용본체(34)의 전면 상부 내측벽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본체(34)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나사공(36)이 구비된 덮개(3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조립에 앞서, 금형장치(도시는 생략함)로부터 전면이 개구되되, 관통공(30), 걸림부(32)가 구비된 수용본체(34)를 얻는다.
그리고, 금형장치에서 나사공(36)이 구비된 덮개(38)를 얻는다.
그리고, 관통공(30), 걸림부(32)가 구비된 수용본체(34)와 나사공(36)이 구비된 덮개(38)를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덮개(38)를 상기 수용본체(34)의 걸림부(32)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덮개(38)를 가압한다.
상기 덮개(38)의 가압에 따라, 상기 수용본체(34)의 걸림부(32)에 덮개(38)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전기배선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함몰시킨 후,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34)에 콘센트나 커넥터 등을 삽입시킨다. 이때, 덮개(38)의 나사공(36)에 콘센트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덮개(38)의 나사공(36)과 콘센트의 나사공을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들의 전기배선박스에서는 수용본체와 덮개가 분해 조립되는바,
상기 수용본체와 덮개를 조립함으로써, 공수가 늘어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용본체와 덮개를 조립할 때, 수용본체 또는 덮개가 파손되고, 이로 인해, 전기배선박스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 벽체에 콘센트가 수용된 전기배선박스가 시공되어 일정시간이 경과 된 경우, 상기 수용본체와 덮개의 조립된 부분이 헐거워져 있는바, 사용자가 전기코드를 콘센트에서 뽑았을 때, 전기코드에 결합 된 콘센트가 따라 나 오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와 덮개를 일체화함으로써, 공수를 절감하고,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돌기(1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전면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1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104)이 구비된 덮개(106)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외면 가장자리에 "U"자형 걸림구(108)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는 수용본체와 덮개가 일체화됨으로써, 공수가 절감되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본체와 덮개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는 바, 수용본체 또는 덮개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 전기배선박스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에 콘센트가 수용된 전기배선박스가 시공되어 일정시간이 경과 된 이후에, 사용자가 전기코드를 콘센트에서 뽑았을 때, 전기코드에 결합 된 콘센트가 따라 나 오지 못함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기배선박스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전기배선박스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측면도,
도 11은 도 5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7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돌기(1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전면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1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104)이 구비된 덮개(106)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외면 가장자리에 "U"자형 걸림구(108)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본체(102)와 덮개(106)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가 형성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함몰시킨 후,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102)에 콘센트나 커넥터 등을 삽입시킨다. 이때, 덮개(106)의 나사공(104)에 콘센트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덮개(106)의 나사공(104)과 콘센트의 나사공을 결합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공(2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2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202)의 전면 상부 내측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2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204)이 구비된 덮개(206)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본체(202)와 덮개(206)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가 형성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전기배선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함몰시킨 후, 일체형 전기배선박스의 수용본체(202)에 콘센트나 커넥터 등을 삽입시킨다. 이때, 덮개(206)의 나사공(204)에 콘센트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덮개(206)의 나사공(204)과 콘센트의 나사공을 결합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관통돌기
102 : 수용본체
104 : 나사공
106 : 덮개
108 : "U"자형 걸림구

Claims (2)

  1.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돌기(1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1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전면 상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1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104)이 구비된 덮개(106)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102)의 외면 가장자리에 "U"자형 걸림구(10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2. 전면이 개구되되, 그 몸체의 상면에 관통공(200)를 구비하여 콘센트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본체(20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본체(202)의 전면 상부 내측벽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본체(202)의 내부에 수용된 콘센트나 커넥터를 나사 고정시 킬 수 있도록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공(204)이 구비된 덮개(20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KR1020100065688A 2010-07-08 2010-07-08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KR20120005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688A KR20120005110A (ko) 2010-07-08 2010-07-08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688A KR20120005110A (ko) 2010-07-08 2010-07-08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10A true KR20120005110A (ko) 2012-01-16

Family

ID=4561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688A KR20120005110A (ko) 2010-07-08 2010-07-08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70B1 (ko) * 2012-09-24 2014-03-07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70B1 (ko) * 2012-09-24 2014-03-07 주식회사 서린 전기배선박스
KR101521460B1 (ko) * 2014-11-06 2015-05-20 티에스케이블(주) 접지부 배선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676B2 (en) Electrical device protective housing
US11817689B2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US7371105B1 (en) Electrical plug lock
US20150280358A1 (en) Fluid measurement device
JP5369586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の防塵構造
US5179252A (en) Structure of floor junction box
KR20120005110A (ko)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JP2015046483A (ja) 防水筐体
JP2003061229A (ja) 床用配線器具
KR101894146B1 (ko) 콘센트 안전 커버
US4180303A (en) Plug-in electrical receptacle extender
KR200476183Y1 (ko)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EP3201992B1 (en) Cooking appliance with terminal box
KR101558521B1 (ko)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JPH11346834A (ja) 机用配線ダクト装置
JP3717283B2 (ja) 電子機器の筐体ケース
JP7013324B2 (ja) 配線器具覆い具、及び配線器具覆い部材の設置構造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JP5678335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コンセント
KR20080002153U (ko) 단자함
JP3210726B2 (ja) フロア用コンセント
JP6869805B2 (ja) キャビネット
CN106374278A (zh) 一种用于束线的连接器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