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587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587Y1
KR200363587Y1 KR20-2004-0018833U KR20040018833U KR200363587Y1 KR 200363587 Y1 KR200363587 Y1 KR 200363587Y1 KR 20040018833 U KR20040018833 U KR 20040018833U KR 200363587 Y1 KR200363587 Y1 KR 200363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fixing
movable
guide protrusions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4-0018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결한 구조의 가동성을 갖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의 양 측벽부에는 철근 골조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그 단자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들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동체에는 상기 안내돌기들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ㄷ"자 모양의 탄지체를 통해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여, 상기 단자함을 철근 골조로부터 상기 가동체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였다. 따라서, 철근 골조의 다소 불규칙적인 배치에 의한 단자함의 위치에 변형이 있더라도 단자함의 가동성에 의한 거푸집과의 간격 조절로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그 시멘트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본 고안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 본체의 일부위를 그 단자함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가동성을 갖게 하여 벽체에 매립 설치시 작업성을 향상 시킨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 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 등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정정공고일자 2004년 05월 06일자로 정정 공고된 대한민국특허청 기술평가에 의한 정정공고 등록번호 제20-0306554호에 실린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단자용 몸체와 상기 몸체를 철근 골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의 하면에는 슬리이드홈을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드홈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의 전방으로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가 있는 경우 특히, 거푸집과 철근 골조 사이에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할지라도 몸체는 철근 골조로부터 탄성지지부재의 부세력으로 인하여 앞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거푸집의 설치시 상기 몸체는 후측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거푸집과의 사이에 간격 없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타설되는 시멘트 몰타르가 몸체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일을 없게 한다.
그러나,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고정구의 슬라이드홈과 가이드레일 모두가 상광하협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와 가이드레일은 그 길이방향으로만 결합되어야 한다. 이는 몸체에 대하여 고정구와 가이드레일을 먼저 결합하게 한 후에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한 다른 요소들을 설치하게 하는 복잡한 조립 공정을 유발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킨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단자함 110:단자함 본체
120:커버 프레임 130:커버
210a,210b:가동체 214a,214b:안내돌기
215a,215b:안내홈 220a,220b:탄지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와,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커버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이 외부로 상광하협되게 테이퍼지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면들에는 안내홈들이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들;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서 상기 안내돌기들에 이동되게 결합되고, 전면에는 탄지체를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그리고 상면에는 철근 고정홈이 형성된 가동체들;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들의 고정홈에 탈착되게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들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탄성편들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체들의 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탄지체들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100)은 단자들(미도시)이 설치되는 수용공간(미도시)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인데, 그 단자함(100)은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장방형상의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본체(110)에는 단자에 연결하기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113a)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인입구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할 수 있게 한 임시로 폐쇄한 인입구들(113b)이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함 본체(110)의 전면에는 커버(130)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 주는 커버 프레임(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 일체화로 설치되며 그 주위로 요입 형성되는 분리홈(130a)을 통하여 타격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는 본원 고안의 단자함 본체(110)를 철근 골조(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하기의 거푸집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게 설치된다.
그 구성요소들을 대별하면,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들(214a,214b)과, 철근 골조(10)가 삽입 고정되는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한 요소들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안내돌기들(214a)은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측벽부 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들(214a)은 대략 돌조형의 모양을 이루며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들(214a)은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안내돌기들(214a)은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이 외부로 상광하협되게 테이퍼지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안내돌기들(214a)은 그 내측면에 전 길이에 걸쳐 안내홈들(215a)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안내돌기들(214a)은 상기 탄지체 (220a)의 탄성을 유효하게 작용하게 하여 그 가동체(210a)에 상당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한다.
상기 가동체(210a)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되며, 상면에는 상기 철근 골조(10)를 끼울 수 있게 한 철근 고정홈(211a)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골조(10)를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지지한다. 또한 가동체(210a)의 상기 철근 고정홈(211a)과의 반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들(214a)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하고자, 그 안내돌기들(214a)에 이동되게 삽입되는 끼움홈들(212a)이 전(全)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들(212a)은 상기 안내돌기들(214a)을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체(210a)의 전면에는 상기 탄지체(220a)를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지체(220a)는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이러한 상기 탄지체(220a)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 (210a)의 고정홈(213a)에 탈착되게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222a)와 이 고정부 (222a)의 양단으로부터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들(215a)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탄성편들(221a)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탄지체(220a)는 테이퍼진 상기 안내홈들(215a)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력적으로 신축, 즉 오무라졌다 펴졌다 하는 탄지편들(221a)을 통해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탄지체(220a)는 가급적 상기 가동체(210a)에 많은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안내돌기들(214a)의 이격 거리보다 그 탄지편들(221a)의 이격 거리가 크도록 형성됨이 좋고,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면부호(230a)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양측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아울렛 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금속편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216a)는 철근 골조(10)에 인접 배치되는 단자함(100)들의 간격을 변함이 없도록 하고자 하는 사용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들을 삽입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간격 유지용 홈으로, 그 홈(216a)은 상기 가동체(210a) 두께의 반 정도 까지만 들어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간격 유지용 홈(216a)은 그 홈 (216a)에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재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안내돌기들(214a), 가동체(210a) 및 탄지체(220a)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본원 고안의 제조 단가를 저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지체(220a)가 설치된 상기 가동체(210a)는 돌조형 모양을 갖는 안내돌기들(214a)의 상측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옥내배선용 접속함보다 그 조립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본원 고안이 그 기존의 옥내배선용 접속함보다 저렴한 제조 단가를 얻게 한다.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단자함(100)은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 (10)에 고정되는데, 상기 철근 골조(10)에의 고정은 상기 단자함(100)의 양단에 구비된 가동체들(210a,210b)의 철근 고정홈들(211a,211b)(도1참조)을 통하여 실시된다.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의 고정홈들(211a,211b)을 통해 철근 골조(10)에 대한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10)의 주위로는 거푸집(5)이 설치된다. 이때 철근 골조(10)의 시공시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예컨대 철근 골조(10) 자체의 휨 등으로 인한 변형이나 철근 골조(10)를 시공하는 작업자들의 잘못으로 인해 상기 철근 골조(10)가 원래 위치에서 약간 들어가게 시공되는 경우, 상기 단자함(100) 역시 철근 골조(10)의 변형에 따라 위치 변형이 있게 되어,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는 본원 고안의 선행기술의 설명란에서 설명하였듯이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간극 거리는 대체적으로 약 5mm 이하이다.
그러나,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상기 안내돌기들(214a,214b),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이 단자함 본체(110)의 양 측벽부의 후단에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을 철근 골조(10)에 고정시 거푸집(5)과 상기 철근 골조(10)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00)의 돌출 거리 즉, 철근 골조(10)에 설치시 그 단자함(100)이 철근 골조(10)의 변형으로 인해 거푸집(5)과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상기에서 설명한 대략 5mm 정도이다)보다는 제품의 제조상에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바로 상기 안내돌기들(214a,214b),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 (220a,220b)의 설치 위치가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거푸집 (5)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한다.
상기 단자함(100)은 철근 골조(10)에 설치될 때 마다 상기 철근 골조(10)으로부터 거푸집(5)이 설치되는 원래의 위치 보다도 약간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러나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그 양단에 상기 안내돌기들(214a,214b), 가동체들 (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를 도3a의 위치에서 도3b의 실선 위치로 수축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거푸집(5)의 배치에 장해를 주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5)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게 되는 일은 전연 없게 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항시 그 시멘트 몰탈의 유입됨을 없게 한다.
즉,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은 철근 골조(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가동체들(210a,210b)에 결합 되어 있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는 어디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직 상기 가동체들(210a,210b)로부터만 이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100)이 상기 철근 골조(10)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거푸집(5)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단자함(100) 측에 대고서 밀면, 이때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는 도3a의 위치에서 도3b의 실선 위치로 밀려 나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지체들 (220a,220b)의 탄지편들(221a,221b)은 상기 안내돌기들(214a,214b)을 따라 전방으로 수축되며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축된 상기 탄지체들(220a,220b)의 탄지편들(221a,221b)은 원상태, 즉 신장된 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함 본체(110)를 상기 거푸집(5)으로 밀어 그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거푸집(5)은 단자함(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됨을 없게 하면서 설치할 수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단자함(100)의 내부로 시멘트 몰탈이 유입됨을 전연 없게 한다. 특히 탄지편들(221a,221b)을 갖는 탄지체들(220a,220b)이 좌우에서 강하게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본원 고안의 단자함(100)은 편심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기 거푸집(5)과의 사이에 적은 간극이라도 허용됨이 없도록 강한 밀착성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그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동요소들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구조로 인해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보다 강한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종래에 비해 조립 공정이 쉽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와,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커버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이 외부로 상광하협되게 테이퍼지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면들에는 안내홈들이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들;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서 상기 안내돌기들에 이동되게 결합되고, 전면에는 탄지체를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그리고 상면에는 철근 고정홈이 형성된 가동체들;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체들의 고정홈에 탈착되게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양단으로부터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들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탄성편들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체들의 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지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체들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4-0018833U 2004-07-02 2004-07-02 단자함 KR200363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33U KR200363587Y1 (ko) 2004-07-02 2004-07-02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833U KR200363587Y1 (ko) 2004-07-02 2004-07-02 단자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568A Division KR100640176B1 (ko) 2004-07-02 2004-07-02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587Y1 true KR200363587Y1 (ko) 2004-10-13

Family

ID=4935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833U KR200363587Y1 (ko) 2004-07-02 2004-07-02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5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2509A (ko) 단자함
KR200363587Y1 (ko) 단자함
KR100611811B1 (ko)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KR200318187Y1 (ko) 단자함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100832722B1 (ko) 건물용 환기 덕트 슬리이브
KR100640177B1 (ko) 단자함
KR200364887Y1 (ko) 단자함
KR20100024810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318130Y1 (ko) 배선용 접속함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CN209812666U (zh) 生产预制构件的模具组件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0428597Y1 (ko) 단자함
KR200403478Y1 (ko) 아우트렛박스 고정용 철근
KR200397660Y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