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471B1 - 전선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471B1
KR100999471B1 KR1020100022213A KR20100022213A KR100999471B1 KR 100999471 B1 KR100999471 B1 KR 100999471B1 KR 1020100022213 A KR1020100022213 A KR 1020100022213A KR 20100022213 A KR20100022213 A KR 20100022213A KR 100999471 B1 KR100999471 B1 KR 10099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box
cover
variable bod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열
Original Assignee
김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열 filed Critical 김세열
Priority to KR102010002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선이 인출되는 전방 출입구에 그 출입구의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가변체를 삽입/인출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가변체가 벽면 마감재에 밀착하여 콘센트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콘센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31)에 수납공간(31a)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31a)에 보관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출입구(32a)가 관통된 덮개(32)가 상기 몸체에 조립되며, 상기 출입구(32a)가 노출되게 건축물 벽체(W)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31)에는 전선이 삽입된 파이프(P)와 이음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31a)과 연통되게 이음부재(31b)가 돌출되는 하우징(30);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31a)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체(40); 및
상기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콘센트 박스{Electric wire outlet box}
본 발명은 건축물 벽면에 노출되게 매립되어 옥내 전선을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콘센트 박스, 더 구체적으로 전선을 수납한 상태로 벽면에 매립된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에 이음부재가 돌출된 전선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이 인출되는 전방 출입구에 그 출입구의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가변체를 삽입/인출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가변체가 벽면 마감재에 밀착하여 콘센트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콘센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에는 전선을 옥내 전기제품과 연결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기능(터미널 기능), 즉 조명등의 ON/OFF 스위치를 연결하거나 또는 텔레비젼과 같은 각종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 박스가 매립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선 콘센트 박스(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에 형성된 출입구(2)가 노출된 상태로 건축물 벽체에 매립되고, 몸체 하부에 돌출된 이음부재(3)는 건축물 시공시 전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게 배선된 파이프와 이음되며, 파이프에서 인출된 전선은 상기 출입구(2)를 통해 조명등 스위치 또는 플러그까지 연장되어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 콘센트 박스(1)가 매립된 건축물 벽체는 거칠게 양생된 콘크리트 상태이므로 보통 이 벽체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끈한 벽면마감재를 설치하게 되는데, 전선 콘센트 박스(1)와 대응되는 벽면마감재 위치에 구멍을 관통시켜 이곳에 상기 스위치 또는 플러그 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 콘센트 박스(1)와 벽면마감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도 3에 도시된 접착제(4) 및 연결구(5)를 이용하여 벽면마감재(6)를 벽체(7)에 고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0-0447257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 콘센트 박스(1)는 출입구(2)에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선 콘센트 박스(1)의 출입구(2)가 그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벽면마감재(6)와의 사이에 넓은 틈새(8)가 발생하여 건축물 시공시 현장의 이물질과 시공 후 벌레들이 상기 틈새(8)를 통해 콘센트 박스(1) 내부로 유입되어 누전 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건축물 시공 감리시 전기 콘센트 박스(1)와 벽면마감재 (6)사이에 틈새(8)가 발생하는지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 시공자는 시공 감리를 통과하기 위해 전기 콘센트 박스(1) 출입구(2)와 벽면마감재(6) 사이의 틈새(8)를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폐쇄시켜야 하는데, 이의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또한 접착제로 폐쇄된 부분이 매끈하게 처리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3과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47257호의 가변 콘센트 박스(10)를 개발하였다.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는 후방 부분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건축물 시공시 개방 부분으로 양생되기 전의 모르타르가 유입되어 양생 후에 그 내부 공간에 양생된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콘센트박스의 기능을 못하게 되어 사실적으로 벽체에 매립되는 종래 콘센트 박스(1)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의 실제품의 사진으로, 도 4는 정면사진이고, 도 5는 후방사진이다. 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는 본체(11) 전후방이 관통된 중공형상으로 구성되어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통상적인 매립형 전기 콘센트 박스(1)의 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어, 종래의 경우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콘센트 박스(1)와 벽면마감재(6) 사이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는 본체(11) 후방 개구부에 돌출된 고정부재(11a)를 스크류(S)를 이용하여 벽체(7)에 매립된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조립된 가변체(12)를 선택적으로 인출시켜 벽체(7) 전방에 설치된 벽면마감재(6)에 밀착하여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와 벽면마감재(6) 사이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폐쇄시키는 유용한 고안으로써 현재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인기리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와 벽면마감재(6) 사이 틈새(8)를 깨끗하게 폐쇄하는 커다란 장점은 있으나, 건축물의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 별도의 조립공정에 의해 벽체(7)에 매립된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에 스크류(S)로 체결되므로 상기 조립공정이 추가로 발생하고, 또한 상기 조립공정에서 스크류(S)를 본체(11)와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에 체결해야 하는데, 가변체(12)의 좁은 내부 공간을 통해 스크류(S)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기 가변 콘센트 박스(10)는 벽체(7)에 매립된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1) 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어 벽면마감재(6) 사이의 틈새(8)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도 6의 평면도 및 도 7 내지 도 8의 정면도와 같이 완공된 건축물에 새롭게 벽돌을 적층식으로 축조하여 벽체(7a)를 추가로 시공할 때 그 자체를 콘센트 박스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 이유는 본체(11) 외부에 전선이 삽입된 파이프(p)를 연결할 수 있는 이음부재(3)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 및 가변 콘센트 박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출원인의 상기 등록실용신안을 매립형 전선 콘센트 박스에 일체로 형성하여, 즉 전선이 인출되는 전방 출입구에 그 출입구의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가변체를 삽입/인출가능하게 형성하여 이 가변체를 벽면마감재에 밀착하여 콘센트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콘센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콘센트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는,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관통된 덮개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출입구가 노출되게 건축물 벽체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에는 전선이 삽입된 파이프와 이음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게 이음부재가 돌출되는 하우징;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의 출입구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체; 및
상기 가변체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는 가변체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공정 없이 가변체를 인출하여 벽면마감재에 밀착시켜 전기 콘센트 박스와 벽면마감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배선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건축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완공 후 벽돌을 축조하여 새로운 벽체를 시공할 경우에 본체에 형성된 이음부재 내부에 건축물 바닥면에 돌출되게 매립된 파이프를 수용하여 이음하고, 그 양측면에 벽돌을 축조하여 새롭게 시공된 벽체 내부에 매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의 정면 사진
도 2는 종래 전기 콘센트 박스의 사시 사진
도 3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0-0447257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 사진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진
도 6은 건축물 완공 후 시공된 새로운 벽면에 전기 콘센트 박스를 설치한 평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가 건축물 완공 후 새로운 벽면을 축조하기 전 초기에 파이프에 연결되어 세움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전기 콘센트 박스 양측에 벽돌이 축조되어 매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벽면마감재 및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의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 사용상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센트 박스(20)는 상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축물 벽체(W)에 매립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수납공간(31a)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변체(40), 및 상기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31)에 수납공간(31a)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31)의 수납공간(31)에 보관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31) 전방에 출입구(32a)가 관통된 덮개(32)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체(31)와 덮개(32)로 구성된 하우징(30)은 상기 출입구(32a)가 노출되게 건축물 벽체(W)에 매립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본체(31)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건축물 시공시 또는 시공 후 전선이 삽입된 상태로 벽체(W)에 매립된 파이프(P)와 이음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31a)과 연통되게 이음부재(31b)가 돌출되고, 외측면에는 건축물 시공 초기 미리 형성된 철근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31c)가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덮개(32)는 전방에 출입구(32a)가 개구되고, 가변체(40)를 보울트(B)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면 양측 모서리에 조립돌기(32b)가 돌출되며, 내측면 양측에 후술하는 가변체(40)의 삽입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32c)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2c) 양측에는 레일홈(32d)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체(40)는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를 통해 수납공간(31a)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조립되어, 그 전방에 위치한 벽면마감재(50)에 밀착되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30)에 고정되어 하우징(30)과 벽면마감재(50) 사이의 틈새(60)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가변체(40)의 구성은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31a)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우징(30)의 덮개(32)에 형성된 조립돌기(32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돌기(3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1) 전방에는 체결공이 관통된 체결보스(42)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스위치(70) 또는 플러그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돌기(43)가 돌출된다.
상기 가변체(40)의 수용부(41)는 하우징(30)의 덮개(32)에 돌출된 조립돌기(32b)를 수용하게 되므로 상기 조립돌기(32b)가 길게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변체(40)가 하우징(30)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체(40)는 외측면 양측에는 상기 덮개(32)에 형성된 수용홈(32c)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4)가 돌출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32d)에 삽입되어 가변체(40)가 빠지지 않도록 레일홈(32d)과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4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30)의 덮개(32) 내부 대각선 모서리에 돌출되고 그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조립돌기(32b); 상기 조립돌기(32b)와 대응되게 가변체(40)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체결공이 관통된 체결보스(42); 상기 조립돌기(32b) 및 체결보스(42)에 체결되어,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보울트(B); 상기 보울트(B)에 체결된 가변체(40)가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덮개(32)의 출입구(32a) 내측면 또는 상기 가변체(40) 외측면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32c); 및 상기 수용홈(32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내측면 또는 상기 가변체(40) 외측면 어느 타측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4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 도면에서는 상기 수용홈(32c)은 하우징(30)의 덮개(32) 내측면에 형성하고, 삽입돌기(44)는 그와 대응되는 가변체(40) 외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수용홈(32c)과 삽입돌기(44)는 작업자가 가변체(40)를 잡아당겨 인출할 때 하우징(30) 내부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변체(40)가 인출된 후에는 하우징(30) 내부로 쉽게 삽입되지 않도록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홈(32c)의 삽입부분과 삽입돌기(44)의 돌출부분은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홈(32c) 및 삽입돌기(44)가 방향성을 가지게 되므로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서 인출한 후 이 가변체(40)를 고정하기 위해 보울트(B)를 가변체(40)의 체결보스(42) 및 하우징(30)의 덮개(32)에 형성된 조립돌기(32b)에 체결할 때 가압하여도 가변체(40)는 삽입돌기(44)가 수용홈(32c)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인출된 그 상태로 하우징(30)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정수단은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8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30)의 본체(31)에 돌출되고 그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보스(31d);
상기 고정보스(31d)와 대응되게 가변체(40)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체결공이 관통된 체결보스(42);
상기 고정보스(31d) 및 체결보스(42)에 체결되어,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보울트(B); 및
상기 고정보스(31d)와 체결보스(4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보울트(B)에 끼워져 상기 가변체(40)가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 고정수단은 상기 수용홈(32c) 및 삽입돌기(44)를 사용하지 않고,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보울트(B)에 상기 탄성부재(80)를 끼워 이 탄성부재(80)가 상기 고정보스(31d)와 체결보스(42)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 상기 가변체(40)는 탄성부재(80)의 탄성에 의해 항상 하우징(30) 외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보울트(B)를 체결하여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게 되더라도 가변체(40)는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W) 전방에 위치한 벽면마감재(50)의 위치에 따라 가변체(40)를 선택적으로 인출시켜 그 선단부를 벽면마감재(50)에 밀착시켜 폐쇄할 수 있고, 이후 벽면마감재(50)가 접착제(90) 및 연결구(91)에 의해 벽체(W) 전방에 고정되면 스위치(70) 또는 플러그를 벽면마감재(50)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는 보울트(B)를 가변체(40)의 고정돌기(43)에 체결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32)의 내측면에 형성된 레일홈(32d)에 가변체(40)의 후크(45)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가변체(40)를 심하게 잡아당기더라도 후크(45)가 레일홈(32d) 단부에 걸려 가변체(40)는 하우징(3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30) 하부에 형성된 이음부재(31b)를 벽체(W)에 매설된 파이프(P)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건축물 시공 후 벽돌을 이용하여 새롭게 축조된 벽체(7a)에 매립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20 : 전기 콘센트 박스 30 : 하우징
31 : 본체 32 : 덮개
32b : 조립돌기 32c : 수용홈
32d : 레일홈 40 : 가변체
41 : 수용부 42 : 체결보스
43 : 고정돌기 44 : 삽입돌기
45 : 후크

Claims (6)

  1.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31)에 수납공간(31a)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31a)에 보관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출입구(32a)가 관통된 덮개(32)가 상기 본체(31)에 조립되며, 상기 출입구(32a)가 노출되게 건축물 벽체(W)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31)에는 전선이 삽입된 파이프(P)와 이음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31a)과 연통되게 이음부재(31b)가 돌출되는 하우징(30);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31a) 내부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체(40); 및
    상기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30)의 덮개(32)에 돌출되고 그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조립돌기(32b);
    상기 조립돌기(32b)와 대응되게 가변체(40)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체결공이 관통된 체결보스(42);
    상기 조립돌기(32b) 및 체결보스(42)에 체결되어, 가변체(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는 보울트(B);
    상기 보울트(B)에 체결된 가변체(40)가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덮개(32)의 출입구(32a) 내측면 또는 상기 가변체(40) 외측면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32c); 및
    상기 수용홈(32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내측면 또는 상기 가변체(40) 외측면 어느 타측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44);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체(40)는 하우징(30)의 덮개(32)에 형성된 조립돌기(32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돌기(3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1) 전방에는 체결공이 관통된 체결보스(42)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돌기(43)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45)가 돌출되며,

    상기 덮개(32)의 출입구(32a) 내측면에는 상기 후크(4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후크(45)를 수용하는 레일홈(32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콘센트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22213A 2010-03-12 2010-03-12 전선 콘센트 박스 KR10099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213A KR100999471B1 (ko) 2010-03-12 2010-03-12 전선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213A KR100999471B1 (ko) 2010-03-12 2010-03-12 전선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471B1 true KR100999471B1 (ko) 2010-12-09

Family

ID=4351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213A KR100999471B1 (ko) 2010-03-12 2010-03-12 전선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05B1 (ko) * 2014-05-12 2014-09-22 백순례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KR20200060205A (ko) * 2018-11-22 2020-05-29 (주)원영이엔지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11-1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937013B1 (ko) *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US20100032180A1 (en) 2008-08-08 2010-02-11 Hubbell Incorporated Add-a-depth ring and cover plat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11-1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937013B1 (ko) *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US20100032180A1 (en) 2008-08-08 2010-02-11 Hubbell Incorporated Add-a-depth ring and cover plat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05B1 (ko) * 2014-05-12 2014-09-22 백순례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KR20200060205A (ko) * 2018-11-22 2020-05-29 (주)원영이엔지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KR102169172B1 (ko) * 2018-11-22 2020-10-23 (주)원영이엔지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419B2 (en) While-in-use electrical box that shuts power off to the device when cover is open
US9854691B2 (en) Electrical equipment module
KR102087284B1 (ko) 케이블 몰드
KR100999471B1 (ko) 전선 콘센트 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672777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KR100615033B1 (ko)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EP2816685A2 (en) Method for building a functional module into a wall and assembly therefore
JP7067647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2218807B1 (ko)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 아웃렛박스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0727341B1 (ko) 플로어 덕트 기능의 건축물 바닥 구조.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436059Y1 (ko) 매입형 아웃렛 박스
KR200483318Y1 (ko) 전기기구 고정용 덧박스
KR100651075B1 (ko)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10063285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252986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다기능 단자함
EP2824781B1 (en) Assembly with functional module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building in such a functional module
EP2816684B1 (en) Assembly for building into a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in such a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