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284B1 - 케이블 몰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284B1
KR102087284B1 KR1020190110496A KR20190110496A KR102087284B1 KR 102087284 B1 KR102087284 B1 KR 102087284B1 KR 1020190110496 A KR1020190110496 A KR 1020190110496A KR 20190110496 A KR20190110496 A KR 20190110496A KR 102087284 B1 KR102087284 B1 KR 10208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cover
cable
cable mol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19011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284B1/ko
Priority to PCT/KR2020/011666 priority patent/WO2021045467A1/ko
Priority to JP2022514980A priority patent/JP739119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25Pl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이 일체로 성형된 본체; 및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몰드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몰드{Cable mold}
본 발명은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옥내에 가전이나 전자기기 등을 설치하는 경우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이 바닥이나 벽을 통해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런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도록 정리하면서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블 몰드가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몰드의 종래 실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6566호(2003.03.11. 공고)에는 『 양단에 삽지구(12)가 절곡 형성된 덮개(11)와, 전선 수용부(16)의 양측의 내/외 측벽(15)(15')의 외측으로 상기 삽지구(12)가 끼워져 체결되는 삽지홈(14)이 형성된 받침판(13)을 포함하는 공지의 전선보호용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덮개(11)의 상측 내면 중 날개상의 측벽(15)(15')의 상단이 위치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밀림억제용 돌기(20)(20')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커버』가 고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전선보호용 커버는 받침판과 덮개로 구성되어 있어 불필요한 전선을 빼내거나 필요한 전선을 추가로 끼워넣고자 할 때마다 상기 덮개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고안이 갖는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384호(2008.11.14. 공개)에는 『베이스판(30)과; 상기 베이스판(30)의 양측에서 선단부가 상호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베이스판(30)과의 사이에 전선(1)이 수납되는 수납공간(3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재(40,41)와;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재(40,41)의 선단부에서 수납공간(31) 내부로 연장된 한쌍의 리브(5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및 제2 커버부재(40,41) 사이의 개구부(42)를 통해 수납공간(31)으로 전선(1)을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용 몰드.』가 고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전선정리용 몰드는 '상기 베이스판(30)과 제1 및 제2 커버부재(40,41), 고정용 플랩(60) 및 리브(50)는 탄성이 있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정리용 몰드가 연질로 형성된 경우 전선이 수납공간에 가득 채워지면 상기 제1,2 커버부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기 때문에 그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은 물론이고, 몰드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곧게 설치하기 어려우며, 설치 후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경질로 형성된 경우 전선을 넣고 빼내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부와 덮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부와 덮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있어서,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이 일체로 성형된 본체; 및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걸림홈을 포함한 바닥부와 덮개부는 경질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에 연결구간은 연질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을 포함한 바닥부는 경질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연질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는 덮개부의 일정범위의 연결구간은 경질로 형성된다.
상기 양측 덮개부 중 어느 일측 덮개부로부터 타측 덮개부와 겹치도록 날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측 덮개부의 끝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턱이 대응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있어서,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되면서 일측 단부에는 내외측 리브가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경질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상측을 덮어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상기 내외측 리브 사이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경질의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의 타측 단부는 연질의 연결구간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몰드에 의하면 바닥부와 덮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벌어짐을 막아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몰드에 의하면 바닥부와 덮개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경질과 연질의 조합을 통해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케이블 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케이블 몰드를 도시한 사용 설명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케이블 몰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케이블 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케이블 몰드를 도시한 사용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케이블 몰드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30)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100); 및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230)가 형성된 클립(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120)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30)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특징이 설명된 단면의 형상으로 전후 길게 연속하여 또는 일정길이로 성형된다.
상기 바닥부(110)는 바닥이나 벽의 형태에 따라 평평하거나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덮개부(120)는 도 2와 같이 반원형 또는 도 4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130)은 도 2와 같이 측면 홈 형태 또는 도 5와 같이 바닥 단턱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홈은 압출 성형 방법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서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경질 또는 연질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실시 예로서 걸림홈(130)을 포함한 바닥부(110)와 덮개부(120)는 경질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부(110)와 덮개부(120) 사이에 연결구간(120a)은 연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질로 형성된 상기 바닥부(110)와 덮개부(120)에 의해 눌림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 없이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연질로 형성된 연결구간(120a)을 통해 상기 덮개부(120)를 간편하게 벌려 열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상기 걸림홈(130)이 경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클립(200)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은 본체(10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케이블의 출입이 용이하고, 클립(200)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클립(200)이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본체(10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질로 형성된 연결구간(120a)은 별도의 축핀을 이용한 힌지 결합구성이 아니므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본체(1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걸림홈(130)을 포함한 바닥부(110)는 경질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연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홈(130)을 포함한 바닥부(110)를 경질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형태를 곧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걸림홈(130)을 통해 후술하는 클립(2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를 연질로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의 출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는 경질로 형성되고 덮개부(120)는 연질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절곡되는 덮개부(120)의 일정범위의 연결구간(120a)은 경질로 형성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10)와 접하는 덮개부(120)의 일부분을 경질로 형성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덮개부(120)의 일부분을 경질로 형성함으로써 덮개부(120) 전체가 연질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케이블이 빈 상태에서도 덮개부(120)가 처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케이블이 채워진 상태에서도 형태를 유지하여 벌어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120)는 다른 실시 예로서 양측 덮개부(120) 중 어느 일측 덮개부로부터 타측 덮개부와 겹치도록 날개부(1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날개부(1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덮개부(120)의 끝단이 맞닿은 상태에서 그 틈으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140)의 크기나 일측 덮개부와의 연결부분은 도면에 예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변경 실시 가능하다.
상기 덮개부(120)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턱(150)이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턱(150)이 형성된 것은 앞서 설명한 날개부(140)와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양면 테이프 형태의 접착수단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거나 별도의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바닥이나 벽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클립(200)은 상기 양측 덮개부(120)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130)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200)은 일정길이의 본체(100)에 대하여 전후로 필요한 만큼 끼울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2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뿐 아니라 절곡된 와이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블 몰드에 의하면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바닥이나 벽에 상기 본체(100)의 바닥부(110)를 통해 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20)를 벌리면서 그 사이로 케이블을 밀어 끼우거나 케이블을 빼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전후 및 중간 지점에 클립(200)을 각각 끼움으로써 상기 덮개부(120)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전단을 통해 케이블을 좌우로 나눠 연결하면 상기 덮개부(120)는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클립(200)을 끼움으로써 덮개부(1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몰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되면서 일측 단부에는 내외측 리브(310)가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경질의 바닥부(300) 및 상기 바닥부 상측을 덮어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상기 내외측 리브 사이에 끼워지는 돌기(410)가 형성된 경질의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바닥부(300)와 덮개부(400)의 타측 단부는 연질의 연결구간(500)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질의 연결구간(500)을 통해 경질의 바닥부(300)와 덮개부(400)가 일체로 성형되면서 상기 바닥부(300)로부터 덮개부(400)를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바닥부(300)의 내외측 리브(310) 사이로 상기 덮개부(400)의 돌기(410)를 끼워넣어 닫힌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외측 리브(310)와 돌기(4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형성함으로써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을 쉽게 넣고 뺄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한편, 벌어짐을 막아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100: 본체 110: 바닥부
120: 덮개부 120a: 연결구간
130: 걸림홈 140: 날개부
150: 단턱부
200: 클립 230: 걸림돌기
300: 바닥부 310: 내외측 리브
400: 덮개부 410: 돌기
500: 연결구간

Claims (7)

  1.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있어서,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걸림홈을 일체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바닥부와 걸림홈은 경질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는 연질로 형성한 본체; 및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드.
  2. 옥내 전선이나 통신선 등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몰드에 있어서,
    바닥이나 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끝단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측에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걸림홈을 일체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 및 걸림홈은 경질로 형성하면서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에 연결구간은 연질로 형성한 본체; 및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을 잡아주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양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는 덮개부의 일정범위의 연결구간은 경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케이블 몰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측 덮개부 중 어느 일측 덮개부로부터 타측 덮개부와 겹치도록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측 덮개부의 끝단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턱이 대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몰드.
  7. 삭제
KR1020190110496A 2019-09-06 2019-09-06 케이블 몰드 KR10208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96A KR102087284B1 (ko) 2019-09-06 2019-09-06 케이블 몰드
PCT/KR2020/011666 WO2021045467A1 (ko) 2019-09-06 2020-08-31 케이블 몰드
JP2022514980A JP7391191B2 (ja) 2019-09-06 2020-08-31 ケーブルモール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96A KR102087284B1 (ko) 2019-09-06 2019-09-06 케이블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284B1 true KR102087284B1 (ko) 2020-03-10

Family

ID=6980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96A KR102087284B1 (ko) 2019-09-06 2019-09-06 케이블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2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67A1 (ko) * 2019-09-06 2021-03-11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258345B1 (ko) * 2020-09-09 2021-05-28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WO2021256581A1 (ko) * 2020-06-17 2021-12-23 안지현 전기선 안전커버
WO2022055156A1 (ko) * 2020-09-09 2022-03-17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20230002194U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조은몰드 연결 케이블 몰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69U (ko) * 1998-11-06 2000-06-05 석정애 전선보호몰드
KR20080005384U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골드텔 전선정리용 몰드
KR101119624B1 (ko) *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69U (ko) * 1998-11-06 2000-06-05 석정애 전선보호몰드
KR20080005384U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골드텔 전선정리용 몰드
KR101119624B1 (ko) *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67A1 (ko) * 2019-09-06 2021-03-11 김성준 케이블 몰드
WO2021256581A1 (ko) * 2020-06-17 2021-12-23 안지현 전기선 안전커버
KR102258345B1 (ko) * 2020-09-09 2021-05-28 김성준 케이블 몰드
WO2022055156A1 (ko) * 2020-09-09 2022-03-17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102285484B1 (ko) * 2020-11-03 2021-08-03 김성준 케이블 몰드
KR20230002194U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조은몰드 연결 케이블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284B1 (ko) 케이블 몰드
US7380310B2 (en) Hidden hinge
JP4360392B2 (ja) プロテクタ
US6677533B2 (en) Split fiber cover and raceway fitting
US20060006291A1 (en) Cable duct coupler
JPS648522B2 (ko)
EP0713278A1 (en) Structure for holding bushing of cord
KR20080005384U (ko) 전선정리용 몰드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JP201009163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102365985B1 (ko) 케이블 몰드
KR20080112043A (ko) 배선보호용 덕트
US20010032729A1 (en) Wire protection and storage grommet
KR200318213Y1 (ko) 배선용 덕트
JP3261441B2 (ja) 収納型コンセントを取り付けたケーブルドラム
KR102258345B1 (ko) 케이블 몰드
KR100999471B1 (ko) 전선 콘센트 박스
JP7391191B2 (ja) ケーブルモールド
JP417030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固定具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US20200295547A1 (en) Wire Management System with Flexible Tab
JP4173466B2 (ja) 長尺物収容装置及び連結補助具
JP6503505B1 (ja) コンセントボックス
EP0682394A1 (en) Wall- or skirting board-type trunking for electrical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