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872U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872U
KR20090005872U KR2020070019893U KR20070019893U KR20090005872U KR 20090005872 U KR20090005872 U KR 20090005872U KR 2020070019893 U KR2020070019893 U KR 2020070019893U KR 20070019893 U KR20070019893 U KR 20070019893U KR 20090005872 U KR20090005872 U KR 20090005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box
cover
dept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광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to KR2020070019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872U/ko
Publication of KR2009000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단자함은 바닥면과 측면들을 갖는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 장착을 위해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깊이보정용 연결부재 그리고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판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의 매입 깊이에 상관없이 커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함, 케이스, 깊이보정, 칸막이판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깊이보정용 연결부재의 사시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된 케이스에 커버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케이스
120 : 커버
130 : 깊이보정용 연결부재
140 : 칸막이판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많은 단자함들이 벽면내부로 매설된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모든 세대마다 단자함들이 설치된다.
기존의 단자함은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벽면에 매설된다. 커버는 케이스에 장착되는 통신기기(전화단자, TV 증폭기, 데이터용 허브 및 TV 분배기등)의 보호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 전면에 설치된다.
단자함은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 이전 공정으로 단자함의 위치를 선정하여 케이스를 벽체내의 철근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케이스가 벽체에 너무 깊이 매입되는 경우에는 커버를 케이스에 체결하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크기가 커질수록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의 바닥면과 측면들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케이스의 변형은 통신기기들 장착을 곤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가 벽체에 깊게 매입되더라고 커버의 장착이 용이한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자함은 바닥면과 측면들을 갖는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 장착을 위해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양측면에 상기 칸막이판의 양단이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사각링 형상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사각링 형상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에 초과 매입된 깊이에 따라 복수개가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적층되어 설치될 때 상호 결합을 위한 맞춤핀들과 맞춤구멍들을 갖는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 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의 매입 깊이에 상관없이 커버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에 설치되어 커버를 장착할 수 있는 체결되는 깊이보정용 연결부재와 칸막이판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깊이보정용 연결부재의 사시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자함은 단자함(100)은 케이스(110),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 칸막이판(140), 그리고 커버(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철근(210)에 설치된다. 철근(210)에 설치된 케이스(110)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 미장 작업에 의해 벽면에 매설된다.
케이스(110)는 ABS 또는 PVC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면이 개방된 사각 상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10)는 전화단자, TV 증폭기, 데이터용 허브 및 TV 분배기등과 같은 통신기기(미도시됨)들이 장착되는 바닥면(112)과, 측면들(114)을 갖는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닥면에는 별도의 속판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의 측면들(114)에는 세그먼트(segment;114a)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세그먼트(114a)는 필요시 타격을 가하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측면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114a)의 가장자리는 타격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세그먼트(114a)가 떨어져 나간 곳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측면(114)에는 케이스(110)를 보다 튼튼하게 매설시키기 위한 철근이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115)가 형성된다.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는 경우 커버(120) 장착을 위해 케이스(110)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커버(120)와 케이스(110)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케이스(110)의 상단 테두리와 유사한 형태인 사각링 형상의 연결 프레임(132)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프레임(132)은 상호 조립을 위해 각 변마다 맞춤핀(133)들과 맞춤구멍(134)들을 갖는다. 맞춤핀은(133)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맞춤구멍(134)들은 밑면에 형성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132)은 제1,2,3,나사홀들(135a,135b,135c)을 갖는다. 제1나사홀(135a)들은 연결 프레임(132)을 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용이고, 제2나사홀(135b)는 연결 프레임(132)들이 2개 이상 적층하여 설치될 때 상호 고정을 위한 나사 체결용이며, 그리고 제3나사홀(135c)은 커버 고정을 위한 나사 체결용이다. 나사홀들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연결 프레임(132)은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벽체에 초과 매입된 깊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칸막이판(140)은 케이스(110)의 바닥면(112)과 양측면(114)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케이스(110)의 바닥면(112)과 양측면(114)이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케이스(110) 내부에 가로질러 설치된다. 케이스(110)의 양측면(114)에는 칸막이판(140)이 끼워지는 슬롯(119)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140)은 케이스(110)의 양측면(114)뿐만 아니라 바닥면(112)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칸막이판(140)은 다수의 개구(142)들을 구비하고 있어, 케이스(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통신기기들을 설치하더라도 통신기기들의 케이블들이 지나갈 수 있는 것이다.
칸막이판(140)은 도면에서 언급한 개구(142)들을 갖는 판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10)의 바닥면(112)과 양측면(114)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는 구조라면 4각 프레임 등의 다양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커버(120)는 커버 프레임(122)과, 커버 프레임(122)의 힌지 결합되는 도어(128)를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122)은 케이스(110)의 나사홀(117)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2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프레임(122)은 관통공(126)을 통해 나사홀에 체결되어지는 나사에 의해 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물론, 케이스(110)에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통공(126)을 통해 연결 프레임(132)에 형성된 제3나사홀(135c)에 체결되어지는 나사에 의해 연결 프레임(13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프레임(132)과 도어(138)로 구성된 커버(120)를 도시하 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타입 이외에 프레임 없이 케이스에 나사로 직접 설치되는 도어 타입의 커버도 적용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된 케이스에 커버를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 벽체 외벽에 위치되는 커버와 케이스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따라서 커버(120)를 케이스(110)에 직접 설치할 수 없다. 커버(1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를 케이스(110)의 상단에 연결 설치해서 커버(120)와 케이스(110) 사이의 들뜨는 공간을 메워야 한다.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벽체에 초과 매입된 깊이에 따라 복수개가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를 적층하여 설치하였다. 제일 먼저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하단의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나사를 이용하여 케이스(110)에 고정되며, 그 위에 적층되는 상단의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는 하단의 깊이보정용 연결부재(130)에 나사로 고정된다. 커버(120)는 상단의 깊이보정용 연결부재에 나사로 고정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의 매입 깊이에 상관없이 커버 설치가 용이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의 매입 깊이에 따라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를 추가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버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가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더라도 커버를 장착하는데 따른 제약이 발생되지 않는 다. 또한, 본 고안의 단자함은 칸막이판을 케이스에 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스의 바닥면과 측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자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가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더라도 커버를 장착하는데 따른 제약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및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의 케이스의 바닥면 및 양측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 벽체에 매입되는 단자함에 있어서:
    바닥면과 측면들을 갖는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에 기설정 깊이보다 깊게 매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 장착을 위해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케이스의 바닥면과 양측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양측면에 상기 칸막이판의 양단이 끼워지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사각링 형상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보정용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져 결합되는 사각링 형상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에 초과 매입된 깊이에 따라 복수개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적층되어 설치될 때 상호 결합을 위한 맞춤핀들과 맞춤구멍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70019893U 2007-12-11 2007-12-11 단자함 KR20090005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893U KR20090005872U (ko) 2007-12-11 2007-12-11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893U KR20090005872U (ko) 2007-12-11 2007-12-11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72U true KR20090005872U (ko) 2009-06-16

Family

ID=4129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893U KR20090005872U (ko) 2007-12-11 2007-12-11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87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34B1 (ko) * 2010-04-22 2012-03-19 허석용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KR101127551B1 (ko) * 2010-08-31 2012-03-23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160054158A (ko) *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20160054159A (ko) *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34B1 (ko) * 2010-04-22 2012-03-19 허석용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KR101127551B1 (ko) * 2010-08-31 2012-03-23 남영기전 주식회사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20160054158A (ko) *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20160054159A (ko) *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458B2 (en) Double mounted dual switch box bracket—stud divider
US7563979B1 (en) Protective cable chute for decora cover plate
US10666033B2 (en) Modular stackable enclosure system
KR20090005872U (ko) 단자함
KR100907244B1 (ko) 단자함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101010309B1 (ko) 단자함
US20090255725A1 (en) Integrated Wi-Fi Service Enclosure
KR200401184Y1 (ko) 단자함
US9035177B1 (en) Spacer device and method for depth adjust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in a recessed electrical box
KR200423745Y1 (ko) 단자함
KR200423746Y1 (ko) 단자함
US11427383B2 (en) Plastic enclosure for enclosing industrial components
WO2009004305A1 (en) Service outlet floor box with depth adjustment
KR10217810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KR20080054342A (ko) 단자함
KR200358286Y1 (ko) 단자함
EA000289B1 (ru) Пластмассов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с блоками розеток
KR200389143Y1 (ko) 벽체용 방습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 블럭 조립체
KR200259426Y1 (ko) 휨방지구조를 갖는 단자함 커버
KR200449932Y1 (ko) 다중정보통신기기함 설치용 취부브래킷
AU2023248140A1 (en) A waterproofing recessed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53505Y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프리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