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734B1 -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 Google Patents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34B1
KR101123734B1 KR1020100037419A KR20100037419A KR101123734B1 KR 101123734 B1 KR101123734 B1 KR 101123734B1 KR 1020100037419 A KR1020100037419 A KR 1020100037419A KR 20100037419 A KR20100037419 A KR 20100037419A KR 101123734 B1 KR101123734 B1 KR 10112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connection box
box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921A (ko
Inventor
허석용
Original Assignee
허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석용 filed Critical 허석용
Priority to KR102010003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6Cable duct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exchange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상기 단자함 함체의 매립설치후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연결박스를 매립된 함체 전방에 추가로 결합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개폐문과 매립된 함체의 결합을 가능케 하되, 상기 연결박스는 깊이가 다른 2종으로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불특정 깊이에 대응하여 조합을 통한 유연한 깊이조절로 현장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생산성이 높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을 갖고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함체로 이루어진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가장자리부와 대응되는 관형(管形)으로 형성되되 함체(10)와 결합을 위한 둘 이상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소정 깊이를 갖는 연결박스(2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박스(20)는 기본 깊이를 갖는 1종의 단위체로 형성되거나 2종의 단위체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다수의 단위체를 선택적으로 적층시켜 결합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Household Telecommunication Box with Connecting Box with ease to Regulate Depth}
본 발명은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자함 함체의 매립설치후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연결박스를 매립된 함체 전방에 추가로 결합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개폐문과 매립된 함체의 결합을 가능케 하되, 상기 연결박스는 깊이가 다른 2종으로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불특정 깊이에 대응하여 조합을 통한 유연한 깊이조절로 현장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생산성이 높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대용 통신 단자함(世帶用 通信 端子函)이라고 하면, 외부에서 각 가정 내로 인입되는 TV 케이블, 인터넷 통신케이블, 전화 통신케이블, 홈네트워크관련 통신케이블 등을 제어하는 통신장치가 설치되어 유지 보수를 위하여 개폐가능한 개폐문을 구비한 함체이다.
이와 같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은 외부로 노출된 함체형태 또는 건축물의 건축시 또는 리모델링시 벽체에 콘크리트로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외측으로 개방된 개폐문을 이용하여 통신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행하게 된다.
이 중 상기 매립형 세대용 통신 단자함의 함체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벽체에 매립되어 전면이 거푸집과 동일한 위치로 고정되고 이후 통신장비의 설치 및 함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가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문과 나사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함체가 매립된 이후, 각 세대별 개성에 따라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하여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내장재의 두께가 모두 달라지고 그 두께만큼 함체와 개폐문 사이가 이격되어 사실상 개폐문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장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급조하여 'ㄷ'자 형태의 강철재 연장바를 각 세대별로 길이를 측정후 각각 제작하여 개폐문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으로, 대안 마련이 시급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함 함체의 매립설치후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연결박스를 매립된 함체 전방에 추가로 결합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개폐문과 매립된 함체의 결합을 가능케 하되, 상기 연결박스는 깊이가 다른 2종으로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불특정 깊이에 대응하여 조합을 통한 유연한 깊이조절로 현장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생산성이 높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의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을 갖고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함체로 이루어진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가장자리부와 대응되는 관형(管形)으로 형성되되 함체(10)와 결합을 위한 둘 이상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소정 깊이를 갖는 연결박스(20)를 구비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기본 깊이를 갖는 단위체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다수의 단위체를 적층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는 상호 다른 깊이를 갖는 2종으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2종의 단위체를 선택적으로 적층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통공(21)은 다수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를 함체(10)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1a, 212b)과 상기 연결박스(20)의 2종의 단위체 상호간에 결합을 위한 체결공(212a, 212b)으로 이루어져; 많은 단위체라도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통공(21)은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중 관통공(211a, 211b)의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중 체결공(212a, 212b)의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의 체결시 고정수단과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단위체를 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함체(10)에 바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체(20a,20b)에는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함체결합공(213)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가 적층될 때 용이하도록 전면에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차지게 들어가는 안착홈부(23)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안착홈부(23)에 대응되는 안착돌기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를 적층시에도 개별적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배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뒤 단차지게 들어가는 손잡이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문(30)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문(30)은 가장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고정덮개(31)와; 상기 고정덮개(31)의 일측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개구를 포함한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회전덮개(32)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박스(20)는 개폐문(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214)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함 함체의 매립설치후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연결박스를 매립된 함체 전방에 추가로 결합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개폐문과 매립된 함체의 결합을 가능케 하되, 상기 연결박스는 깊이가 다른 2종으로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불특정 깊이에 대응하여 조합을 통한 유연한 깊이조절로 현장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생산성이 높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연결박스 단위체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2종의 연결박스 단위체와 개폐문을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의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및 연결박스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연결박스의 제1 단위체를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측단면도 및 연결박스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연결박스의 제1 및 제2 단위체를 조합하여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측단면도 및 연결박스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대용 통신 단자함(1)은 연결박스(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박스(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립된 함체(10)의 가장자리부와 대응되는 관형(管形)으로 형성되되 함체(10)와 결합을 위한 둘 이상의 통공(21)이 형성되고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난연성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난연성 합성수지는 난연성 ABS수지, 경탄수지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화시 지지될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난연성 합성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가 적층될 때 적층이 용이하도록 전면에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차지게 들어가는 안착홈부(23)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안착홈부(23)에 대응되는 안착돌기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를 적층시에도 개별적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배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뒤 단차지게 들어가는 손잡이부(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2)에 매립된 함체(10)의 전방에 각 세대별 개성에 따라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가 늘어나게 된다.
이 때, 함체(10)의 전면에 연결박스(20)를 결합시켜 개폐문(30)과 함체(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시에 함체(10)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감 두께에 상응하는 제2 단위체(20b)를 결합한 상태를 도 3에서 보여준다. 도 3의 우측 연결박스의 정면도를 살펴보면 고정수단(40)이 어디에 결합되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내장재의 마감 두께가 제1 단위체(20a)와 같은 경우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도 5에서는 제1 마감재 2개와 제2 마감재 1개를 적층하여 내장재의 마감 두께와 대응되도록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박스의 정면도를 살펴보면 고정수단(40)이 어디에 결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박스(20)는 기본 깊이를 갖는 단위체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다수의 단위체를 적층시켜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박스(20) 단위체의 기본 깊이를 10㎜로 형성하면, 현장에서 내장재의 마감 두께가 50㎜가 되었다고 하면, 상기 기본 깊이 10㎜의 단위체를 5개 적층하여 결합함으로써 내장재의 마감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연결박스(20)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연결박스(20)의 단위체들은 상호 안착홈부(23)에 안착돌기부(24)가 용이하게 안착되면서 현장에서 작업자가 위치를 잡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물론, 이로 인한 고정수단(40)의 고정작업이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각 연결박스(20)마다 측면 상부에 손잡이부(25)가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연결박스(20)가 적층된 상태라도 개별적으로 파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를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2종으로 형성하게 되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2종의 단위체를 선택적으로 적층시켜 결합시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를 2종으로 하되 제1 단위체(20a)의 깊이는 10㎜로 하고, 제2 단위체(20b)의 깊이는 20㎜로 하면, 내장재의 마감두께가 50㎜가 되었다고 할 때, 제2 단위체(20b) 2개를 적층하고 제1 단위체(20a) 1개를 적층함으로써 총 3개의 단위체를 적층함으로써 내장재 마감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연결박스(20)를 보다 유연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에 형성된 통공(2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를 함체(10)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1a, 211b)과 상기 연결박스(20)의 2종의 단위체 상호간에 결합을 위한 체결공(212a, 212b)으로 이루어져; 많은 단위체라도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2종의 단위체를 교번하여 적층시 동일 위치에 체결공(212a, 212b)과 관통공(211a, 211b)이 교번하여 형성됨으로써 단위체들(20a,20b) 끼리 고정수단(40)으로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단위체(20b)를 함체(10)에 결합시에 제2 관통공(211b)에 고정수단(40)을 삽입하여 함체(10)에 고정한 뒤, 제1 단위체(20a)를 제2 단위체(20b)의 전면에 안착하고 제1 관통공(211a)에 고정수단(40)을 삽입하여 제2 단위체(20b)의 제2 체결공(212b)과 결합시켜 고정하게 되며, 이후, 상기 개폐문(30)을 제1 단위체(20a)의 결합공(214)에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단위체(20a)의 전면에 다른 단위체(20a,20b)를 추가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바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많이 적층하더라도 저가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연결박스(20)는 여타의 금속재로 제조된 대용품에 비하여 저렴하고 견고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에 형성되는 통공(21)은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다수의 단위체를 적층시 적층 상태를 양호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작업이다.
상기 통공(21)은 관통공(211a, 212b)과 체결공(212a, 212b)으로 구분되며, 상기 관통공(211a, 211b)은 내경이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2a, 212b)은 그 내경이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의 체결시 고정수단과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1a, 211b)과 체결공(212a, 212b)은 제1 단위체(20a)와 제2 단위체(20b)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교차되어 형성하여, 연속적인 적층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단위체(20a)로부터 시작하여 제2 단위체(20b)를 지나 함체(10)에 이르는 긴 고정수단을 이용한 결합이 있는데, 이는 다수의 상기 단위체를 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함체(10)에 바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체(20a,20b)에는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함체결합공(213)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박스(20)는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문(30)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문(30)은 가장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고정덮개(31)와, 상기 고정덮개(31)의 일측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개구를 포함한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회전덮개(32)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박스(20)는 개폐문(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214)을 추가로 더 형성하여 결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함 함체의 매립설치후 방수도장, 단열재, 방음 및 타일 시공 등의 인테리어 내장공사로 인한 내장재 마감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연결박스를 매립된 함체 전방에 추가로 결합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결합되는 개폐문과 매립된 함체의 결합을 가능케 하되, 상기 연결박스는 깊이가 다른 2종으로 상호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불특정 깊이에 대응하여 조합을 통한 유연한 깊이조절로 현장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생산성이 높은 세대용 통신 단자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대용 통신 단자함 2: 벽체
10: 함체 20: 연결박스
20a, 20b : 제1 및 제2 단위체 21: 통공
211a, 211b: 제1 및 제2 관통공 212a, 212b: 제1 및 제2 체결공
213: 함체결합공 214: 결합공
23: 안착홈부 24: 안착돌기부
25: 손잡이부 30: 개폐문
31: 고정덮개 32: 회전덮개
40: 고정수단 50: 내장재 마감두께

Claims (9)

  1. 삭제
  2. 내측에 중공을 갖고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함체의 가장자리부와 대응되는 관형(管形)으로 형성되되 함체와 결합을 위한 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소정 깊이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하는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기본 깊이를 갖는 단위체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다수의 단위체를 적층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는 상호 다른 깊이를 갖는 2종으로 형성되어 내장재의 마감 두께에 따라 상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2종의 단위체를 선택적으로 적층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21)은 다수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박스(20)의 단위체를 함체(10)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1a, 211b)과 상기 연결박스(20)의 2종의 단위체 상호간에 결합을 위한 체결공(212a, 212b)으로 이루어져;
    많은 단위체라도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21)은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중 관통공(211a, 211b)의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21) 중 체결공(212a, 212b)의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의 체결시 고정수단과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6.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단위체를 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함체(10)에 바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체(20a,20b)에는 카운터 보링작업을 하여 고정수단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내경은 고정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수단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함체결합공(213)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가 적층될 때 용이하도록 전면에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단차지게 들어가는 안착홈부(23)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안착홈부(23)에 대응되는 안착돌기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다수를 적층시에도 개별적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배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뒤 단차지게 들어가는 손잡이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문(30)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문(30)은 가장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고정덮개(31)와;
    상기 고정덮개(31)의 일측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개구를 포함한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회전덮개(32)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박스(20)는 개폐문(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214)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KR1020100037419A 2010-04-22 2010-04-22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KR10112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19A KR101123734B1 (ko) 2010-04-22 2010-04-22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19A KR101123734B1 (ko) 2010-04-22 2010-04-22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21A KR20110117921A (ko) 2011-10-28
KR101123734B1 true KR101123734B1 (ko) 2012-03-19

Family

ID=4503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419A KR101123734B1 (ko) 2010-04-22 2010-04-22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768B1 (ko)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KR20220139005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동아월드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5905A (zh) * 2017-11-08 2019-05-14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可调节深度的暗埋终端盒套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575U (ko) * 1997-04-04 1998-11-16 김상도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90019960A (ko) *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피아이피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90005872U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575U (ko) * 1997-04-04 1998-11-16 김상도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90019960A (ko) *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피아이피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90005872U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768B1 (ko) 2019-07-31 2020-03-11 (주)비원테크 세대단자함 연결 장치
KR20220139005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동아월드 결합 및 방수 성능이 탁월한 세대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21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325B2 (en) Insulating wall panel with electrical wire chase system
KR101123734B1 (ko) 깊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결박스를 구비한 세대용 통신 단자함
US20090064627A1 (en) Flush Mount Panels With Interconnects
CN203174821U (zh) 一种拼装式建筑隔墙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CN109072607A (zh) 防水组件和包括防水组件的预制墙面板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100615033B1 (ko)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KR200377292Y1 (ko) 아웃렛박스
KR200465954Y1 (ko) 욕실용 천장마감재
JP6147036B2 (ja) 壁の耐火構造
US8631955B2 (en) Electrical service assembly and connecting system for mounting same in building structure wall
KR101663103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20150117016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가설건물시공방법
JP2007247204A (ja) 戸パネルセット
KR100520886B1 (ko) 결속 블럭을 이용한 공동주택 담장 시공 방법
KR20190131659A (ko) 목재블록벽체
KR19990036133U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보강재
KR200461704Y1 (ko) 건축 구조물의 슬라브용 풀박스
US20130167473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wall system
EP1207607A1 (en) A building system for providing walls with concealed ducts
KR20210001403U (ko) 건물 외벽 배관용 방범커버
KR101438435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JPH07336819A (ja) 集合住宅用電気幹線引込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