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435B1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8435B1 KR101438435B1 KR1020140007658A KR20140007658A KR101438435B1 KR 101438435 B1 KR101438435 B1 KR 101438435B1 KR 1020140007658 A KR1020140007658 A KR 1020140007658A KR 20140007658 A KR20140007658 A KR 20140007658A KR 101438435 B1 KR101438435 B1 KR 101438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ver
- wall
- inner cov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 경량 벽체의 일측 내부에 인입되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중앙에 형성된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본체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전/후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연장하우징;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체결 결합되는 마감커버; 및 상기 본체,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을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경량 벽체에 인입시킨 후, 상기 본체에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시키고 상기 본체의 전/후면 중 다른 한 면에 체결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 벽체로 시공되는 건축물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 건축물 수전의 설치 위치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이중관 배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 구조체 및 마감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전과 이중관 배관을 정확한 설치위치에 연결시킬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은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냉/온수 이중관 배관방식은 대체로 벽체 내부에 오픈 수전함이 내설되고, 벽체 건축마감 후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내부 냉/온수 결합부 누수 및 노후관 교체 시 개폐되는 기능의 마감커버에 수전을 설치하여 각 수요처에 수전함을 설치하고 마감부 전면에 노출 마감되는 마감커버에 냉/온수 혼합수전과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건물의 벽체에 인입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 예상되는 수전의 위치에 맞춰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인입될 위치를 형성해두고,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냉/온수 이중관 배관방식으로 결합 인입하여 상기 벽체에 실내 마감을 할 때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내설되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최종 마감부 마감 커버에 상기 수전을 직접 연결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 구조체의 중량을 줄이고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경량 벽체를 건축물의 벽체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상기 경량 벽체에 인입되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경량 벽체에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크기만큼 상기 경량 벽체의 일부를 커팅해야 하는데, 상기 경량 벽체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경량 벽체를 커팅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 위치만큼 상기 경량 벽체를 커팅하면 "A" 로 표시된 부분에 의해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망치와 정을 이용하여 상기 "A" 부분을 제거할 수 있으나, 상기 "A" 부분이 깨끗하게 제거되기 어렵고 상기 "A" 부분의 후면부에 해당하는 상기 경량 벽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도 1의 (b)에 표시된 "B" 부분과 같이 상기 경량 벽체의 후면부까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경량 벽체의 커팅과정에서 상기 경량 벽체가 파손되면 상기 경량 벽체는 재활용을 할 수 없는 폐자재가 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경량 벽체로 시공되는 건축물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 건축물 수전의 설치 위치와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이중관 배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 구조체 및 마감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전과 이중관 배관을 정확한 설치위치에 연결시킬 수 있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 벽체의 일측 내부에 인입되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중앙에 형성된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본체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전/후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연장하우징;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체결 결합되는 마감커버; 및 상기 본체,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을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경량 벽체에 인입시킨 후, 상기 본체에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시키고 상기 본체의 전/후면 중 다른 한 면에 체결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속커버와 본체의 크기에 맞춰 서로 다른 크기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설치되는 경량 벽체를 커팅하기 때문에 경량 벽체가 손상되어 폐자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속커버의 제1 플랜지 플레이트에 커팅 홈이 형성됨으로써, 연속으로 배치되는 경량 벽체의 결합되는 부분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위치하여도 경량 벽체의 결합되는 부분과 간섭되는 속커버의 제1 플랜지 플레이트를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경량 벽체의 결합되는 부분과 속커버의 제1 플랜지 플레이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구비됨으로써, 경량 벽체의 실내측에 대리석과 같은 별도의 마감재를 추가로 더 시공하는 경우에도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설치 시공을 처음부터 다시 할 필요없이 속커버 연장하우징을 연속 배치하여 별도의 마감재까지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넷째, 본체가 단열재에 인입되면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되면, 본체가 단열재에 의해 보온이 되므로 본체에 결합되는 이중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섯째, 본체의 전/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의 후면에서 이중관 배관의 설치를 마무리할 수 있으며, 본체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후면을 차폐할 수 있어 본체에 설치되는 이중관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시공하기 위한 경량 벽체의 커팅된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각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량 벽체에 시공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다른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또 다른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각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량 벽체에 시공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다른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또 다른 시공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구성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경량 벽체(10)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량 벽체(10)는 건축 현장에서 타설되어 시공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작업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건축 현장으로 가져와 사용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 패널/블록, 경량 복합 콘크리트 패널, 압출 성형 콘크리트 패널, 석고보드 복합패널, 압출 성형 시멘트 패널 등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중공들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량 압출 콘크리트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10), 속커버(120), 속커버 연장하우징(140), 마감커버(160) 및 본체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경량 벽체(10)의 일측 내부에 인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가 상기 경량 벽체(10)의 일측 내부에 인입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10)는 단열재(20)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10)에 부분적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단열재(20)에 인입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냉/온수의 이중관 배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커넥터(112a, 112b)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결합 커넥터(112b)와, 우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결합 커넥터(112a)가 형성되어 있다. 벽돌조 벽체(미도시) 또는 상기 경량 벽체(10)에 상기 이중관 배관 매립을 위해 상기 벽돌조 또는 상기 경량 벽체(10)를 커팅 및 파취 후 사춤 미장하지 않고, 상기 경량 벽체(10)의 중공 내부로 상기 이중관 배관을 유도하면 상하 방향으로 상기 본체(110)에 관통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커넥터(112a, 112b)는 상기 본체(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중관 배관이 상기 결합 커넥터(112a, 112b)를 통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될 때에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결합하여야 한다. 상기 이중관 배관으로는 냉수용 배관 및 온수용 배관이 있다.
상기 이중관 배관은 상기 본체(110), 상기 속커버(1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체결 결합되고, 상기 경량 벽체(10)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 즉, 건물의 실내측에서 상기 본체(110)에 상기 이중관 배관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이는 상기 속커버(1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에 의해 상기 본체(110)를 향한 방향이 입구가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1 개구부(111)보다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이 관통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상기 이중관 배관의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각 이중관 배관에는 냉/온수가 수전(30)으로 분기되기 위한 플렉서블관 체결너트가 형성된 T형 분기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관 체결너트가 상기 제1 개구부(111)을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상기 제1 개구부(1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개구부(111)을 통해 상기 이중과 배관이 상기 T형 분기관의 상기 플렉서블관 체결너트를 통해 상기 수전(30)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서블관 체결너트와 상기 수전(30)은 플렉서블 관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돌기들(11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 커넥터들(112a, 112b)이 형성된 좌측면(111c)과 우측면(111d)에 형성된다. 상기 좌측면(111c)과 상기 우측면(111d)으로부터 내측 방향 즉, 상기 개구부(111)를 향해 돌출되어 수직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돌기들(113)은 상기 본체(110)와 상기 속커버(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속커버(120)를 향한 방향으로 즉,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제1 결합돌기(113) 및 상기 속커버(120)의 전면에 구비된 피스(예시적으로 너트)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110)와 상기 속커버(120)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속커버(120)에서 상기 본체(110)를 향한 방향 즉,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상기 속커버(12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제1 결합돌기들(113)에 체결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체결되어 상기 본체(110)와 상기 속커버(120)를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110)의 위치 수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연속적으로 배치 결합되는 상기 경량 벽체(10)들의 결합되는 위치에 치우쳐 시공되거나, 상기 수전(30)의 위치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상기 이중관 배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상기 경량 벽체(10)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중공들 중 어느 한 중공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10)를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속커버(120)로부터 상기 본체(110)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상기 본체(110)의 위치 이동 후 상기 본체(110)와 상기 속커버(120)를 재결합하기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상기 좌측면(111c) 및 상기 우측면(111d)에는 본체커버 결합돌기(114)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114)는 상기 좌측면(111c), 상기 우측면(111d)의 내측 즉, 상기 제1 개구부(11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좌측면(111c), 상기 우측면(111d)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좌측면(111c), 상기 우측면(111d)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속커버(12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 중 다른 한 면에는 본체커버(13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를 차폐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커버(130)는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본체커버(130)를 관통 후,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114)에 체결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커버(130)를 결합시킨다.
상기 속커버(1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개구부(121)가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10)의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본체(110)와 체결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속커버(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속커버는 상기 제2 개구부(121)를 형성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과,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121)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121)는 직사각형 뿐 아니라, 정사각형 또는 인테리어 마감 커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의 내측으로는 제3 결합돌기들(126a) 및 제4 결합돌기들(12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결합돌기들(126a)은 상기 각 제1 측면 플레이트(122a, 122b, 122c, 122d)의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제2 개구부(12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4 결합돌기들(126)은 가로 방향의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과 세로 방향의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c, 122d)이 만나는 모서리측에서 상기 제2 개구부(12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3 결합돌기들(126a)은 후술되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체결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제4 결합돌기들(126)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결합되지 않고 후술되는 상기 마감커버(160)가 결합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들(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돌출부들(123c)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가 위치 조정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될 때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들(113)에 의해 상기 본체(110)와 상기 속커버(120)가 체결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113)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연결된 전동드릴로 상기 제1 돌출부(123c)에 홀을 내면서 체결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체결부재가 연결된 전동드릴로 홀을 내면 부러져 파손될 수 있고, 체결되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 체결부재와 체결 결합되는 체결피스가 풀려 체결부재가 이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에 상기 제1 돌출부(123c)를 형성하면 상기 제1 돌출부(123c)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가 파손되는 것, 체결피스로부터 체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123c)는 상기 본체(110)가 좌우 방향으로 편심이동 되는 만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에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설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커팅 홈들(12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량 벽체(1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시공하다보면 상기 본체 및 상기 속커버(120)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경량 벽체(10)들이 결합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나, 상기 속커버(120)는 상기 수전(30)의 위치에 정렬되는 것이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하기 어렵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커팅 홈(123b)이 형성됨으로써 위치 조정이 필요한 길이만큼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를 제거하여 상기 경량 벽체(10)들이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팅 홈(123b)은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도 6 참조)
상기 커팅 홈(123b)에 의해서 상기 속커버(120)의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12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경량 벽체(10)에 상기 본체(110) 및 상기 속커버(120)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 홀(미도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인입 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상기 경량 벽체(10)의 손상이나 상기 인입 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경량 벽체(10)에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은 전/후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3 개구부(141)가 상기 속커버(120)의 상기 제2 개구부(121)와 연통되도록 상기 속커버(120)와 체결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은 상기 제3 개구부(141)를 형성하는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a, 142b, 142c, 142d)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a, 142b, 142c, 142d)에 의해 전/후면이 관통되며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제3 개구부(141)가 형성된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에는 제5 결합돌기들(144b), 제6 결합돌기들(144a) 및 제7 결합돌기들(1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결합돌기들(144b)은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c, 142d)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 결합돌기들(144a)은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한 방향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a, 142c)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결합돌기들(144b)이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 결합돌기들(144a)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결합돌기들(144b) 및 상기 제6 결합돌기들(144a)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내측 즉, 상기 제3 개구부(143)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상기 경량 벽체(10)의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상기 경량 벽체(10) 사이의 간섭되는 부분 없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5 결합돌기들(144b) 또는 상기 제6 결합돌기들(144a)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상기 속커버(120)와 체결 결합될 때 체결부재들이 체결되거나,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들끼리 체결 결합될 때 체결부재들이 체결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속커버(120)와 두 개의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순차적으로 체결 결합될 때, 먼저 배치되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상기 제5 결합돌기들(144b)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속커버(120)와 결합되며, 다음으로 배치되는 다른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먼저 배치된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은 상기 제6 결합돌기들(144a)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배치되는 방향이 상호 대칭이 된다.
상기 제7 결합돌기들(145)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c, 142d)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들(142a, 142b)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7 결합돌기들(145)은 후술되는 상기 마감커버(160)가 체결 결합될 때 이용된다.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은 상기 본체(110)가 인입된 상기 경량 벽체(10)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속커버(120)까지의 빈 공간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또는 상기 경량 벽체(10)로 마감되지 않고, 상기 경량 벽체(10)의 실내측에 대리석과 같은 별도의 마감재가 더 시공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을 연속적으로 복수 개 배치하여 상기 속커버(120)까지의 빈 공간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실내측에 대리석과 같은 별도의 마감재가 더 시공되는 경우, 상기 본체(110)와 체결 결합되는 하우징이 필요하였다. 건축물 시공의 초기 단계에서 별도의 마감재 시공이 고려된 경우에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10)의 설치 후, 상기 본체(110)와 체결 결합되는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시공하므로 문제점이 없었으나,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별도의 마감재 시공이 추가되는 경우 즉,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 마감부에 수지미장 및 페인트로 최종마감을 하지 않고 설계 변경으로 대리석 및 타일 시공이 되는 경우에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되었던 벽체는 폐자재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구비되면,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 마감부에 수지미장 및 페인트로 최종마감을 하지 않고 설계 변경으로 대리석 및 타일 시공이 되는 경우라도 상기 속커버(120)와 체결 결합되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설계 변경으로 증가되는 마감 두께를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모두 수용하여 상기 경량 벽체(10)가 폐자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술에서는 상기 속커버(120)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120)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3의 도면부호 120a)
상기 마감커버(160)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체결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커버(160)는 상기 수전(30)이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결합된다. 상기 마감커버(160)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제3 개구부(141)를 차폐하여 상기 이중관 배관 및 상기 T형 분기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 내부의 상기 이중관 배관에 결합된 상기 T형 분기관의 누수 또는 노후관 교체 시 상기 마감커버(160)를 개방하여 보수와 수리를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마감커버(16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마감커버(160)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6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전(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호 마주하는 두 개의 수전 결합홀(162a, 16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제3 체결홀들(1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체결홀들(163)의 위치는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상기 제7 결합돌기들(145)과 대응된다. 따라서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각 제3 체결홀(163)과 상기 각 제7 결합돌기(145)에 체결시키면 상기 마감커버(160)가 상기 제3 개구부(141)를 차폐하면서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과 결합되는 것이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T형 분기관의 중심축과 상기 수전(3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관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관 체결너트와 상기 마감커버(160)의 상기 각 수전 결합홀(162a, 162b)을 연결한다. 상기 플렉서블 관은 자유자재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속커버(120)의 상기 제2 개구부(121)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상기 제3 개구부(141)가 상기 제1 개구부(111)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면, 연통된 부분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관이 상기 T형 분기관의 상기 플렉서블관 체결너트와 상기 수전 결합홀(162a, 162b)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관은 일자관이 플렉서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코일관(일명 돼지꼬리 관)의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본체커버(130)는 상기 속커버(120)가 결합된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 중 다른 한 면에 체결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속커버(120)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120)가 결합된다. 상기 속커버(1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순으로 체결 결합되어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을 형성한다. 이렇게 조립된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상기 경량 벽체(10)에 인입되면, 상기 본체(110)에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본체(110)의 정면으로는 상기 속커버(1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속커버(120)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상기 제2 개구부(121) 및 상기 제3 개구부(141)의 크기가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1 개구부(111)의 크기보다 작아 작업자가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상기 이중관 배관의 설치 작업을 하고,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상기 본체커버(130)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10)를 차폐한다. 상기 본체커버(13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110)는 전/후면이 관통되므로 상기 본체(110)의 전/후면이 동일한 크기,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도 이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에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1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32)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관통홀(1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커버(130)와 상기 본체(110)를 체결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홀(132)을 통한 후,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114)에 체결 결합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의 중앙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된 홈(133)이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 플레이트(131)를 상기 본체(110)에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홈(133)이 상기 본체(110)의 상기 제1 개구부(111)를 향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본체(110)에 결합시킨다. 상기 홈(133)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버(13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커버(13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홈(133)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본체커버(130)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다양한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본체(110), 속커버 연장하우징 일체형 속커버(120a), 상기 마감커버(160), 상기 본체커버(130) 및 상기 수전(30)이 결합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과, 이들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120a)가 인입될 위치를 커팅하고, 상기 경량 벽체(10)의 후면에 상기 본체(110)가 인입될 위치를 커팅한다. 상기 속커버(120a)와 상기 본체(110)를 먼저 조립한 후 상기 경량 벽체(110)의 후면에서 조립된 상태의 상기 속커버(120a)와 상기 본체(110)를 인입하고, 쐐기(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의 상기 속커버(120a)와 상기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경량 벽체(10)의 커팅은 후면을 먼저 커팅한 후, 전면을 커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업자의 작업 여건을 고려하여 선 커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경량 벽체(10)의 후면에서 커팅된 부분과 조립된 상태의 상기 속커버(120a)와 상기 본체(110)사이의 틈새는 발포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충진한다. 상기 경량 벽체(10)의 후면에는 단열재 및 석고보드로 마감을 하고,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에는 수지 미장 작업을 한다. 수지 미장 작업이 완료된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은 페인트로 마감 작업을 하고 상기 경량 벽체(10)의 전면에서 커팅된 부분과 상기 속커버(120a)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충진 함으로써, 추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량 벽체(10)에 상기 속커버(120a) 및 상기 본체(110)가 인입 설치되면,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상기 본체(110)에 상기 이중관 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120a)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111)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서 상기 이중관 배관의 설치 작업을 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관 커버의 설치 작업이 끝난 후, 상기 본체(110)의 전면 측에서는 상기 속커버(120a)에 상기 마감커버(160)를 체결하여 마감하고 상기 마감커버(160)의 각 수전 결합홀(162a, 162b)에 상기 수전(30)을 결합하며, 상기 본체(110)의 후면 측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상기 본체커버(130)를 체결하여 마감함으로써,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을 완료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본체(110), 속커버 연장하우징 일체형 속커버(120a), 속커버 연장하우징(140), 상기 마감커버(160), 상기 본체커버(130) 및 상기 수전(30)이 결합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과, 이들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과정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여기에서는 상기 경량 벽체(10)에 인입하기 전, 상기 본체(110), 상기 속커버(120a)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을 모두 결합시킨 후, 상기 경량 벽체(10)에 인입하여 설치한다.
도 12 및 도 13에는 상기 본체(110), 속커버(120), 연속으로 배치되는 속커버 연장하우징(140), 상기 마감커버(160), 상기 본체커버(130) 및 상기 수전(30)이 결합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이 시공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과, 이들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상기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과정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은 상기 본체(110)가 단열재(20)에 인입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단열재(20)를 시공하기 전 상기 단열재(20)를 상기 본체(110)가 인입될 수 있을 만큼 커팅한다. 여기서는 상기 본체(110)가 상기 단열재(20)에 인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경량 벽체(10)에 형성되는 인입 홀의 크기는 상기 속커버(120)의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122a, 122b, 122c, 122d)의 둘레 크기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140)의 둘레 크기에 맞춰 형성하여 상기 인입 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20: 속커버
120a: 속커버 연장하우징 일체형 속커버
140: 속커버 연장하우징
160: 마감커버
130: 본체커버
120a: 속커버 연장하우징 일체형 속커버
140: 속커버 연장하우징
160: 마감커버
130: 본체커버
Claims (19)
- 각각 작업이 가능한 전방 및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경량 벽체가 시공된 이후, 상기 경량 벽체에 커팅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에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커팅된 부분에 대응되게 상기 경량 벽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팅된 부분으로 인입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전후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3 개구부가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연장하우징;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체결 결합되는 마감커버;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체결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각각 작업이 가능한 전방 및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경량 벽체가 시공된 이후, 상기 경량 벽체에 커팅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에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공간을 통해 상기 커팅된 부분으로 인입되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팅된 부분으로 인입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체결 결합되는 속커버;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되는 마감커버;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체결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중공들이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량 압출 콘크리트 블록이 조적되어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 패널, 경량 복합 콘크리트 패널, 압출 성형 콘크리트 패널, 석고보드 복합패널, 또는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제1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위치 조정을 위해 상기 본체가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 시, 상기 제1 결합돌기들에 의해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 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커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본체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에 체결되면서 상기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가 결합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커버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플랜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경량 벽체들이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속커버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의 일부를 잘라낼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에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설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커팅 홈들이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플레이트에는,
좌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결합돌기들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돌기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커버와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의 실내측에 별도의 마감재가 더 시공되는 경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은 연속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체결 결합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은,
상기 제3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측면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이 상기 경량 벽체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경량 벽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각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5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전방 또는 후방 중 다른 한 방향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각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6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커버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의 후방에는 세대내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층이 형성되며,
상기 이중관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는 상기 단열재층 내로 더 인입되어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단열재층 내로 인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경량 벽체에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의 둘레 크기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의 둘레 크기에 맞춰 인입 홀을 형성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상기 복수 개의 중공들 중 어느 하나의 중공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본체를 상기 속커버에 대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편심 이동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단열재층 내로 인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들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은 상기 경량 압출 콘크리트 블록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인입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각각 작업이 가능한 전방 및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경량 벽체가 시공된 이후, 상기 경량 벽체에 커팅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에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중앙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속커버를 체결 결합시키고, 상기 속커버의 전면에 상기 제2 개구부와 제3 개구부가 연통하도록 속커버 연장하우징을 체결 결합시킨 후, 상기 속커버 및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을 상기 커팅된 부분으로 인입하여 상기 경량 벽체의 후면에 상기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에 이중관 배관이 설치되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체결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된 마감커버를 상기 속커버 연장하우징과 체결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시공방법. - 각각 작업이 가능한 전방 및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경량 벽체가 시공된 이후, 상기 경량 벽체에 커팅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경량 벽체에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중관 배관들이 관통 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 커넥터들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관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중앙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크기가 작은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속커버를 체결 결합시킨 후, 상기 본체 및 상기 속커버를 상기 커팅된 부분으로 인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본체에 이중관 배관이 설치되면, 상기 본체를 차폐시키는 본체커버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체결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중관 배관들이 수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전이 결합되는 수전 결합홀이 형성된 마감커버를 상기 속커버와 체결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658A KR101438435B1 (ko) | 2014-01-22 | 2014-01-22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658A KR101438435B1 (ko) | 2014-01-22 | 2014-01-22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8435B1 true KR101438435B1 (ko) | 2014-09-12 |
Family
ID=5175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7658A KR101438435B1 (ko) | 2014-01-22 | 2014-01-22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43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188Y1 (ko) * | 2004-12-27 | 2005-03-29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벽체매립형 수전함 |
KR100728249B1 (ko) * | 2006-10-23 | 2007-06-14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
KR20080002322U (ko) * | 2008-06-05 | 2008-07-02 | 신기빈 | 배관보호용 커버 |
KR20090019960A (ko) * | 2007-08-22 | 2009-02-26 | 주식회사 피아이피 |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
-
2014
- 2014-01-22 KR KR1020140007658A patent/KR1014384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188Y1 (ko) * | 2004-12-27 | 2005-03-29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벽체매립형 수전함 |
KR100728249B1 (ko) * | 2006-10-23 | 2007-06-14 | 주식회사 피아이피 |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
KR20090019960A (ko) * | 2007-08-22 | 2009-02-26 | 주식회사 피아이피 |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
KR20080002322U (ko) * | 2008-06-05 | 2008-07-02 | 신기빈 | 배관보호용 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88613C (en) |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 |
KR100489440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함 | |
KR101425509B1 (ko)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0515761B1 (ko) |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 |
CN108824648B (zh) | 空间模块化房屋 | |
KR20090019960A (ko) | 깊이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재를 갖는 벽체매립형 수전함 | |
KR101485794B1 (ko) | 건식벽체용 슬림형 매립 수전함과 그 배관연결구조 | |
KR100586223B1 (ko) |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0704659B1 (ko) |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 |
KR101438435B1 (ko)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0877990B1 (ko) | 벽체 매립 상자 | |
KR20120000702A (ko) |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1425508B1 (ko)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1663103B1 (ko) |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 |
KR101022243B1 (ko) |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설치방법 | |
KR100780798B1 (ko) |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 |
KR20160010088A (ko) | 수도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 |
KR100886361B1 (ko) | 벽체 매립형 수전함 | |
KR102690924B1 (ko) | 다분기 수전 유닛 | |
KR20080099064A (ko) |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 |
KR102339280B1 (ko) | 냉온수 일체형 다목적 수전함 | |
KR101766250B1 (ko) |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 |
KR100762918B1 (ko) |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 |
KR100481811B1 (ko) |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 |
EP3657058A1 (en) | Formwork to create a cavity in a concrete wall and contain water pi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