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271Y1 -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271Y1
KR200353271Y1 KR20-2004-0006485U KR20040006485U KR200353271Y1 KR 200353271 Y1 KR200353271 Y1 KR 200353271Y1 KR 20040006485 U KR20040006485 U KR 20040006485U KR 200353271 Y1 KR200353271 Y1 KR 200353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indoor wiring
support member
bas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riority to KR20-2004-0006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골조에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시 접속함 본체가 유동된 상태로 고정되는 설치 불량을 방지하고,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효과와 조립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에 옥내배선용 접속함(4)이 고정되도록 호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부에는 철근(5)을 수용하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Terminal box fixing apparatus for interior wiring}
본 고안은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골조에 설치 후 접속함 본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야 하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접속함 본체가 유동되어 콘트리트 몰탈의 내부로 매립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된 상태로 고정되는 설치 불량을 방지하고,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효과와 조립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건물 시공시 각 층별로 전기선, 전화선, 안테나선 등과 같은 전선이 건물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 배선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벽체 골조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지지바(1)를 고정플레이트(2)의 배면 상/하부에 형성된 요입홈(2a)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고정플레이트(2)를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전면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장치는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고정시킬 때 고정끈(6)으로 결속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고정된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끈(6)을 반드시 제거한 후 수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또 다른 고정끈(6)을 이용해 결속하여야 하므로, 수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후 철근(5)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거푸집(7)을 설치하고 그 거푸집(7)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트리트 몰탈을 주입할 경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전면이 거푸집(7)의 내측 표면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설치불량으로 거푸집(7)과 이격되고 그 이격된 틈새로 콘트리트 몰탈이 주입되므로 거푸집(7)을 제거한 후 옥내배선용 접속함(4)이 매립된 위치를 찾아 전면에 양생된 콘크리트 몰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매립 깊이가 상이하여 최종적으로 옥내배선용 접속함(4)에 기구(콘센트, TV단자함, 전화단자함 등)을 부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나사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옥내배선용 접속함과 철근의 고정/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함은 물론 옥내배선용 접속함을 탄력 지지하여 콘트리트 몰탈을 주입 후 옥내배선용 접속함에 기구를 정확하고 신속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속함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접속함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옥내배선용 접속함 5 : 철근
10 : 베이스 20 : 지지부재
21 : 수용홈 30 : 보강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는 전면에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고정되도록 호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부에는 철근을 수용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함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옥내배선용 접속함(4)이 고정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0)가 마련되어 있되, 그 베이스(10)는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전방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고정하는 보강판(30)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는 지지부재(20)가 각각 결합되어 있되, 그 지지부재(20)의 선단부에는 철근(5)을 수용하는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10)의 전면에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고정시키되, 이때에는 베이스(10)의 전면에 보강판(30)을 위치시킨 후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판(30)을 설치하는 이유는 옥내배선용 접속함(4)과 베이스(10)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재(20)에 형성된 수용홈(21)의 내부로 철근(5)을 끼우면, 상기 지지부재(20)가 설치된 베이스(10)는 전면으로 돌출되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는 베이스(10)의 탄성력에 의해서 견고히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면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된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위치를 변경시킬 때에는 지지부재(20)를 외측으로 밀면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된 수용홈(21)은 철근(5)에서 분리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분리된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수용홈(21)의 내부에 철근(5)을 끼워 옥내배선용 접속함(4)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결합/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옥내배선용 접속함(4)이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7)을 설치하면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은 탄성력을 갖는 베이스(10)에 탄력 지지됨은 물론 지지부재(20)에 의해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므로 거푸집(7)의 내측면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7)의 내부로 콘트리트 몰탈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은 탄력에 의해서 거푸집(7)의 내측면에 긴밀히 접되어 있으므로 콘트리트 양생 후 몰탈의 제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는 옥내배선용 접속함의 고정/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특유의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거푸집과 이격되지 않도록 탄력 지지하게 되므로 콘트리트 몰탈 양생후 거푸집을 분리하여도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벽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옥내배선용 접속함이 벽면의 매립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나사를 이용하여 단자함을 고정시키킬 수 있게되므로 단자함의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에 옥내배선용 접속함(4)이 고정되도록 호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양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부에는 철근(5)을 수용하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배선용 접속함(4)의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베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 보강판(3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2004-0006485U 2004-03-10 2004-03-10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353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5U KR200353271Y1 (ko) 2004-03-10 2004-03-10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85U KR200353271Y1 (ko) 2004-03-10 2004-03-10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271Y1 true KR200353271Y1 (ko) 2004-06-26

Family

ID=4934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85U KR200353271Y1 (ko) 2004-03-10 2004-03-10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2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07B1 (ko)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2100144B1 (ko) * 2019-09-19 2020-04-1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진 설계가 갖추어진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07B1 (ko) 2011-11-22 2011-12-29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옥내 배전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2100144B1 (ko) * 2019-09-19 2020-04-1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진 설계가 갖추어진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917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200353271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US7115813B2 (en) In-wall electrical box
KR200470763Y1 (ko) 커넥터 일체형 배선플레이트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0248024Y1 (ko) 매립형 전기배선박스
KR20160004413U (ko) 콘크리트 타설용 전선 파이프 고정기구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102163109B1 (ko)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200371600Y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970004486Y1 (ko)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258202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신축형박스고정장치
KR100720822B1 (ko) 건물 천정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27605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배선덕트 구조
KR20090004038U (ko) 통신 및 전기 단자함용 고정구조
KR100648108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