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688B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688B1
KR100876688B1 KR1020060138246A KR20060138246A KR100876688B1 KR 100876688 B1 KR100876688 B1 KR 100876688B1 KR 1020060138246 A KR1020060138246 A KR 1020060138246A KR 20060138246 A KR20060138246 A KR 20060138246A KR 100876688 B1 KR100876688 B1 KR 10087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terminal box
guide
housing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436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6013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6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와 그 함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수밀성 패킹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프레임에는 양측으로 갈라진 자유단을 갖는 텐션편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텐션편이 삽입되며 내부경사면을 갖는 안내홈을 상기 함체에 형성하여, 상기 텐션편이 안내홈에 삽입되어서 내부경사면을 따라 상기 텐션편의 자유단이 펴졌다 오므라졌다 하면서 함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기 커버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기존과 같은 스프링이나 합성수지발포재의 사용을 탈피함으로서 그 조립 공정이 매우 쉬워진 만큼 조립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단자함, 단자, 거푸집, 간극, 탄성력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이 철근 골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110 - 함체
120 - 커버프레임 130 - 결합수단
140 - 텐션수단 150 - 수밀성 패킹부재
본 발명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과의 사이에 수밀성을 갖는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간극 없이 밀착 유지되게 함으로서 외부와 연락하는 개구부의 노출을 원활히 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공정이 쉽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철근 골조의 시공 상의 오차로 인해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단자함의 개구부가 노출되지 않고 벽체에 매립되기 때문에, 결국 벽체를 깨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도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와 그 함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과의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커버 프레임을 거푸집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구조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철근 골조의 시공 상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단자함의 개구부가 벽체에 매립되는 일을 없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커버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발포재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함으로서 부품수를 증가시켜 조립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고, 그로 인해 제품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와 함께 탄성수단을 안착시킬 곳을 함체나 커버 프레임에 마련해야 하는 이유로 인해 그 몰딩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함과 커버프레임의 사이에 간편하게 수밀성 패킹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거푸집을 간극 없이 밀착 유지되게 함으로서 외부와 연락하는 개구부의 노출을 원활히 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공정이 쉽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전면만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될 수 있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과 철근 골조에 고정될 수 있는 걸림구들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으 로 선단에 걸림턱을 갖는 다수개의 가이드돌기들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들에 대응하는 상기 함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슬라이딩면의 선단으로 상기 걸림턱이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을 상기 함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상기 커버프레임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상기 함체에 형성되며 내부경사면을 갖는 전면만이 개구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게 상기 커버프레임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양측으로 갈라지는 자유단을 갖는 텐션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편의 자유단이 상기 안내홈의 내부경사면을 따라 펴졌다 오므라졌다 하면서 상기 함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기 커버프레임이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텐션수단; 및 상기 텐션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는 커버프레임과 함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수밀성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의 가이드돌기들에 구비된 걸림턱과 슬라이딩면은 상호 대면하는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며, 그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걸림턱에는 가이드돌부를,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밀성 패킹부재는 개구의 전(全)둘레를 따라 선단으로 배치되어 외부면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부면은 상기 함체의 개구 선단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지지턱들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턱과 상기 커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지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에는 걸림홈을 갖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구비된 고정돌기가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간격유지구를 더 설치함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함체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이 철근 골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함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함체(110)는 단자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함체(110)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전면만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에는 개방하여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함 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함체(110)를 철근 골조(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구들(11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커버프레임(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프레임(120)은 상기 함체(110)의 전면으로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커버는 상기 함체(110)의 수용공간(111)을 막도록 있는 상태에서 단자함을 매립 설치 후 커버를 제거하는 것에 함체의 전면이 개방되게 하고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결합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합수단(130)은 상기 커버프레임(120)을 상기 함체(1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선단에 걸림턱(132a)을 갖는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32)들을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32)들에 대응하는 상기 함체(110)의 내벽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32)들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134a)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슬라이딩면(134a)의 선단으로 상기 걸림턱(132a)이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고정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돌기(132)들에 구비된 걸림턱(132a)과 슬라이딩면(134a)은 상호 대면하는 경사를 이루는 형성되며, 그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걸림턱(132a)에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부(132b)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 이딩면(134a)에는 상기 가이드돌부(132b)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134b)이 각각 형성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텐션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텐션수단(140)은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110)의 상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경사면을 갖는 전면만이 개구된 안내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경사면은 내측으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142)에 대응하게 상기 커버프레임(120)의 상하단부에는 선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선단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양측으로 갈라지는 자유단을 갖는 텐션편(144)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편(144)의 자유단이 상기 안내홈(142)의 내부경사면을 따라 펴졌다 오므라졌다 하면서 상기 함체(1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기 커버프레임(120)이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텐션편(144)은 V자 모양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처럼 상기 커버프레임(120)의 몰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텐션수단(140)은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130)에 의해 함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프레임(12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프레임(120)이 설치된 함체(110)는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1)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은 상기 걸림구(114)들의 사 이에 철근 골조(1)가 끼워짐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철근 골조(1)에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철근 골조(1)의 주위로는 거푸집(3)이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프레임(120)은 상기 텐션수단(140)에 의해서 철근 골조(1)로부터 거푸집(3)을 배치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텐션편(144)의 자유단이 상기 안내홈(142)의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프레임(120)은 거푸집(3)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커버프레임(120)이 거푸집(3)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설치되더라도 상기 거푸집(3)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커버프레임(20)에 대고 밀면, 쉽게 뒤로 밀려 나가기 때문에 거푸집(3)의 배치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거푸집(3)의 설치로 인해 상기 커버프레임(20)이 뒤로 밀리면, 상기 텐션편(144)의 자유단은 상기 안내홈(142)의 내부경사면을 따라서 오므라지는데 이때 다시 펴지려는 탄성 복원력을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부여함으로서 거푸집(3)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 유지시킨다.
이 때문에 거푸집(3)은 항시 상기 커버프레임(120)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됨을 없게 하면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경화됨으로서 거푸집(3)을 제거해도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설치된 커버를 벽체에 매립됨이 없이 안전하게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 탄성력을 더 부여하여 거푸집(3)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결합수단(13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132)의 걸림턱(132a)과 슬라이 딩면(134b)을 상호 대응하는 경사면을 이루게 형성함에 의해, 이 경사면들이 상호 밀착되어 작동된다. 즉, 거푸집(3)의 설치로 인해 상기 커버프레임(120)이 뒤로 밀리면 상기 가이드돌기(132)의 걸림턱(132)이 갖는 경사면과 슬라이딩면(134a)이 상호 밀착되어 작동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걸림턱(132a)에 반원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부(132b)가 상기 슬라이딩면(134a)에 형성한 가이드레일(134b)에 안내되면서 작동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수밀성 패킹부재(1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밀성 패킹부재(150)는 상기 텐션수단(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는 커버프레임(120)과 함체(1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밀성 패킹부재(150)는 상기 함체(110)의 개구 전(全)둘레를 따라 선단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수밀성 패킹부재(150)의 외부면은 상기 커버프레임(12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수밀성 패킹부재(150)의 내부면은 상기 함체(110)의 개구 선단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지지턱(116)들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턱(116)과 상기 커버프레임(1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2)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수밀성 패킹부재(150)에 의해 커버프레임(120)과 함체(110)의 사이에 수밀성을 제공하여 수분이나 시멘트 몰탈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함체(110)에 구비되는 걸림구(114)에는 걸림홈(114b)을 갖는 고정공(11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114a)에 끼워져 걸림홈(114b)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162)이 형성된 간격유지구(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160)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162)은 상기 고정공(114a)에 끼워져 걸릴 수 있게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간격유지구(160)는 상기 함체(110)와 함체(11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간격을 조절한다. 즉, 상기 간격유지구(160)에 의해 함체(110)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결한 구성으로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기존과 같은 스프링이나 합성수지발포재의 사용을 탈피함으로서 그 조립 공정이 매우 쉬워진 만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와 그 결과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함체와 커버프레임의 사이에 수밀성 패킹부재를 간결하게 설치할 수 있음에 의해 수밀성을 제공하여 수분이나 시멘트 몰탈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전면만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락될 수 있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과 철근 골조에 고정될 수 있는 걸림구들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으로 선단에 걸림턱을 갖는 다수개의 가이드돌기들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들에 대응하는 상기 함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슬라이딩면의 선단으로 상기 걸림턱이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을 상기 함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상기 커버프레임에 소정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상기 함체에 형성되며 내부경사면을 갖는 전면만이 개구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대응하게 상기 커버프레임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에 소정 텐션을 갖도록 양측으로 갈라지는 자유단을 갖는 텐션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편의 자유단이 상기 안내홈의 내부경사면을 따라 펴졌다 오므라졌 다 하면서 상기 함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기 커버프레임이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텐션수단; 및
    상기 텐션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는 커버프레임과 함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수밀성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단자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가이드돌기들에 구비된 걸림턱과 슬라이딩면은 상호 대면하는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며, 그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걸림턱에는 가이드돌부를,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면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성 패킹부재는 개구의 전(全)둘레를 따라 선단으로 배치되어 외부면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내부면은 상기 함체의 개구 선단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지지턱들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턱과 상기 커버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지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에는 걸림홈을 갖는 고정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끼워져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간격유지구를 더 설치함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함체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1020060138246A 2006-12-29 2006-12-29 단자함 KR10087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46A KR100876688B1 (ko) 2006-12-29 2006-12-29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46A KR100876688B1 (ko) 2006-12-29 2006-12-29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36A KR20080062436A (ko) 2008-07-03
KR100876688B1 true KR100876688B1 (ko) 2008-12-31

Family

ID=3981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246A KR100876688B1 (ko) 2006-12-29 2006-12-29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6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69Y1 (ko) 2003-05-09 2003-10-10 이형원 전기공사용 콘크리트 매입박스
KR200383197Y1 (ko) 2005-02-02 2005-05-0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
KR200392746Y1 (ko) 2005-05-31 2005-08-17 (주)진성테크 에어댐퍼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398653Y1 (ko) 2005-07-22 2005-10-14 이경희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69Y1 (ko) 2003-05-09 2003-10-10 이형원 전기공사용 콘크리트 매입박스
KR200383197Y1 (ko) 2005-02-02 2005-05-0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
KR200392746Y1 (ko) 2005-05-31 2005-08-17 (주)진성테크 에어댐퍼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398653Y1 (ko) 2005-07-22 2005-10-14 이경희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36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40946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KR100876688B1 (ko) 단자함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2073681B1 (ko) 단자함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100024810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200428597Y1 (ko) 단자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640176B1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200415692Y1 (ko)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101480707B1 (ko)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100640177B1 (ko) 단자함
KR100721003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KR200423745Y1 (ko) 단자함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JP7229875B2 (ja) 覆い部材、及び覆い構造
KR200386982Y1 (ko) 단자함
KR102365985B1 (ko) 케이블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