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53Y1 -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 Google Patents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53Y1
KR200398653Y1 KR20-2005-0021475U KR20050021475U KR200398653Y1 KR 200398653 Y1 KR200398653 Y1 KR 200398653Y1 KR 20050021475 U KR20050021475 U KR 20050021475U KR 200398653 Y1 KR200398653 Y1 KR 200398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ifting cover
waterproof
waterproof belt
bo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20-2005-0021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입형 전선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커버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승강커버와 박스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부의 전면에서 탄지부에 의해 전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승강커버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방수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에 고정되고 탄성을 갖는 방수띠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커버의 하면에 상기 박스부의 전면 모서리가 삽입되어 내측면에 상기 방수띠가 밀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선함을 벽체의 내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추가적으로 박스부의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방수띠를 합성수지 발포재로 형성하여 승강커버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승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a bury in wall type electricwire box with a waterproof band}
본 고안은 매입형 전선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커버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승강커버와 박스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 등의 건축 공사 시에는 각종 전선이 건물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 및 천장의 내부로 전선이 통과되는 배관을 삽입하고, 배관을 통해 각종 전선이 건물의 내부에 까지 연결되어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관을 통해 유입된 각종 전선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벽체 및 천장의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매입형 전선함을 통해 벽 또는 천장의 외측으로 도출되면서 각종 콘센트와 스위치 및 조명등 등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매입형 전선함은 시공을 위해 단순히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설치되는 철근에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개방된 전면이 정확히 벽체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었고, 이에 따라 탄지부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면서 매입형 전선함이 개방된 전면이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커버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승강커버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의 구성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매입형 전선함의 몸체를 이루는 박스부(100)의 전면에 스프링이나 에어댐퍼(301)(302)등으로 구성된 탄지부(300)에 의해 박스부(100)의 외측방으로 탄력 지지되는 승강커버(200)가 결합되고, 상기 승강커버(200)의 후면에는 상기 박스부(100)의 전면 테두리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201)을 형성하며, 슬라이딩홈의 내측에 박스부(100)와 승강커버(200)의 결합된 틈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에 함유된 습기나 이물질이 박스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수재(400)를 삽입하여 승강커버(200)가 박스부(100)의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재는 통상적으로 스펀지 등의 합성수지 발포재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방수재는 단순히 슬라이딩홈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커버가 박스부 측으로 밀려들어갈 때에는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슬라이딩홈에 밀착되어 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지만, 승강커버가 박스부의 외측방으로 밀려나올 때에는 원형으로 복귀되면서 슬라이딩홈과 미세한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간격을 따라 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커버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승강커버와 박스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띠가 승강커버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부와 승강커버와 결합될때, 방수띠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커버의 내부로 습기의 유입이 방지되면서 승강커버가 탄력 지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커버가 박스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박스부의 전면에서 탄지부에 의해 전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승강커버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방수띠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성을 갖는 방수띠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커버의 하면에 상기 박스부의 전면 모서리가 삽입되어 내측면에 상기 방수띠가 밀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띠삽입홈의 내측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띠삽입홈의 내측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지부는 일측이 상기 박스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커버에 고정되는 에어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의 하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의 하부측에 상기 승강커버의 작동 거리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승강커버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승강커버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되고 외측면에 배관연결구가 형성된 박스부(10)와, 박스부(10)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어 탄지부(20a)(20b)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승강커버(30)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있어서, 박스부(10)의 외측면에 방수띠삽입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수띠(40)를 구비하여 박스부(10)와 승강커버(30)가 결합된 틈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박스부(10)는 매입형 전선함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측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콘센트 모듈이나 스위치 모듈 등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전선과 접속되도록 하고, 측면으로는 벽체의 내부를 통해 유입된 배관이 결합되면서 공간부로 각종 전선이 인입되도록 하는 배관연결공(13)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도, 배관을 통해 박스부(10)의 내부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박스부(10)의 개방된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방수띠삽입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일정 높이만큼 박스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스펀지 등의 합성수지 발포재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방수띠(40)를 구비하여 후술되는 승강커버(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띠(40)에 의해 박스부(10)와 승강커버(30)가 결합된 틈을 통해 습기와 이물질이 박스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커버(30)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전선함의 전면 개구부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부(10)의 전면에 결합되고 탄지부(20a)(20b)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후에 전선함의 시공상태가 더욱 양호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30)의 후방으로는 상기 박스부(10)의 전면 모서리 및 상기 방수띠(40)가 밀착되어 삽입되는 슬라이딩홈(31)을 형성하여 승강커버(30)가 박스부(10)의 전면 모서리에 결합되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박스부(10)의 전,후 방향으로만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방수띠(40)에 의해 박스부(10)의 내측으로 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승강커버(30)가 원활하게 승강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지부(20a)(20b)는 상기 승강커버(30)가 박스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박스부(10)와 승강커버(30)에 각각 지지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승강커버(30)를 외측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에어댐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승강커버(30)가 박스부(10)의 외측방으로 밀려나가면서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승강커버(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박스부(1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2)가 걸림 고정되어 승강커버(30)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승강커버(30)의 최대 승강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2)을 형성함으로써, 승강커버(30)가 박스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후로 움직일 때, 승강커버(30)가 박스부(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띠삽입홈(11)의 내측 중앙부에는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돌부(111)를 형성하여 방수띠(40)가 방수띠삽입홈(11)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박스부(10)에 승강커버(30)를 결합하면 돌부(111)에 의해 돌출된 방수띠(40)가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딩홈(31)에 밀착되면서 습기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홈(31)에 박스부(10)의 전면 모서리를 삽입하면서 슬라이딩홈(31)의 내측벽에 방수띠(40)가 밀착되도록 하면, 합성수지 발포재로 형성된 방수띠(40)가 압축되어 변형되면서 슬라이딩홈(31)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돌기(32)가 걸림홈(12)에 걸림 고정되면서 걸림홈(12)의 상하 길이를 따라 승강커버(30)가 승강할 수 있게 되고, 승강커버(30)가 승강할 때에는 상술한 방수띠(40)가 슬라이딩홈(3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어 승강커버(30)의 위치에 관계 없이 방수력과 기밀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돌부(111)는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커버(30)와 박스부(10)가 결합될 때, 방수띠(40)가 승강커버(30)의 후측면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홈(31)에 박스부(10)의 전면이 간편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승강커버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승강커버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의 방수띠삽입홈(11)의 내측면에는 박스부(10)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면(11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방수띠삽입홈(11)에 방수띠(40)를 고정하면 박스부(10)의 하부측으로 가면서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방수띠(40)의 높이가 점점 높아져 승강커버(30)를 결합할 때, 슬라이딩홈(31)의 개방된 측으로 방수띠삽입홈(11)이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승강커버(30)와 박스부(10)를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방수띠(40)가 파손되거나 방수띠삽입홈(11)에서 방수띠(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박스부의 외측면에 방수띠삽입홈 및 방수띠를 구비하여 승강커버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승강커버와 박스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전선함을 벽체의 내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추가적으로 박스부의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방수띠를 합성수지 발포재로 형성하여 승강커버가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승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방수띠삽입홈의 내측에 돌부를 형성하고, 방수띠의 중앙부가 박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방수띠가 승강커버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방수띠에 의한 습기 및 이물질의 차단 능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방수띠삽입홈의 내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박스부와 승강커버가 결합될 때 방수띠가 승강커버에 걸리지 않아 손상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박스부에 승강커버를 결합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승강커버의 끝단에 방수띠가 걸려 방수띠가 방수띠삽입홈에서 이탈되거나 파손됨에 따른 방수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탄지부를 에어댐퍼로 형성하여 승강커버의 내부로 습기의 유입이 방지되면서 승강커버가 탄력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전선함을 설치할 때 승강커버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전선함의 시공상태가 더욱 균일하고 양호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형성하여 승강커버가 박스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반복되는 승강 작동에도 승강커버가 박스부에 견고히 결합되면서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승강커버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b는 승강커버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승강커버의 상승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b는 승강커버의 하강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매입형 전선함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스부
11 : 방수띠삽입홈
111 : 돌부 112 : 경사면
12 : 걸림홈 13 : 배관연결공
20a, 20b : 탄지부
30 : 승강커버
31 : 슬라이딩홈 32 : 걸림돌기
40 : 방수띠

Claims (5)

  1. 박스부(10)의 전면에서 탄지부(20a)(20b)에 의해 전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승강커버(30)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방수띠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띠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성을 갖는 방수띠(4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커버(30)의 후측으로 상기 박스부(10)의 전면 모서리가 삽입되고 내측면에 상기 방수띠(40)가 밀착되는 슬라이딩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띠삽입홈(11)의 내측 중앙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띠삽입홈(11)의 내측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20a)(20b)는 일측이 상기 박스부(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승강커버(30)에 고정되는 에어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커버(30)의 하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10)에 상기 승강커버(30)의 작동 거리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2)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2005-0021475U 2005-07-22 2005-07-22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398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75U KR200398653Y1 (ko) 2005-07-22 2005-07-22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75U KR200398653Y1 (ko) 2005-07-22 2005-07-22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53Y1 true KR200398653Y1 (ko) 2005-10-14

Family

ID=4369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475U KR200398653Y1 (ko) 2005-07-22 2005-07-22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88B1 (ko) 2006-12-29 2008-12-31 김근수 단자함
KR100902654B1 (ko) 2006-07-14 2009-06-15 김근수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54B1 (ko) 2006-07-14 2009-06-15 김근수 단자함
KR100876688B1 (ko) 2006-12-29 2008-12-31 김근수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762B1 (en) Waterproof connector
US20050176295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KR102044663B1 (ko) 레일조명시스템용 led조명등
US7010886B2 (en) Fixing structure of a door weather strip
JPH11233206A (ja) 可動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200398653Y1 (ko) 방수띠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KR200392746Y1 (ko) 에어댐퍼가 구비된 매입형 전선함
JP2586314Y2 (ja) 防水コネクタ
KR100736971B1 (ko) 방수용 케이블 커넥터
KR200488410Y1 (ko) 전선용 몰딩
KR20080112043A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383197Y1 (ko) 매입형 전선함
KR200436059Y1 (ko) 매입형 아웃렛 박스
KR200467901Y1 (ko) 엘이디 조명
KR200429694Y1 (ko) 방수커넥터
KR200333895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451610Y1 (ko) 전기 통신용 노출형 박스
KR200357696Y1 (ko) 매입형 전기배선함
KR200265960Y1 (ko)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KR200251120Y1 (ko) 배선보호용 커버
KR200236770Y1 (ko) 암거설비
JP2022050959A (ja) 基礎貫通配管
JP4479326B2 (ja) 電動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KR100356702B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366675Y1 (ko) 결합핀 내장 커풀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518

Effective date: 200804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