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960Y1 -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 Google Patents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960Y1
KR200265960Y1 KR2020010036739U KR20010036739U KR200265960Y1 KR 200265960 Y1 KR200265960 Y1 KR 200265960Y1 KR 2020010036739 U KR2020010036739 U KR 2020010036739U KR 20010036739 U KR20010036739 U KR 20010036739U KR 200265960 Y1 KR200265960 Y1 KR 200265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opening
wall
connection
conn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완
Original Assignee
임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완 filed Critical 임종완
Priority to KR2020010036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96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배관용 등으로 벽체에 매설되는 기본박스에 연결개구부를 스프링으로 결합하여, 박스의 개구부를 신축성 있게 연장하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박스는 개구부가 벽속 깊숙히 매몰되거나 벽면에 돌출되어 품질과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구연장형박스;는 기본박스부와 연결개구부를 연결장치로 결합하여 구성하며, 기본박스부:는 전선관을 결합하는 박스본체와 나사를 고정하는 보스와 박스개구부가 있는 박스커버의 조합인 종래의 박스에 연결장치를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연결개구부;는 박스개구부를 연장하는 형태로 박스개구부의 바깥쪽으로 끼워 구성하며, 연결장치;는 연결개구부를 기본박스부에 결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걸림장치와 스프링 등으로 구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개구연장형박스의 연결개구부;는 상시 기본박스부에서 최대로 돌출되어 있다가 전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되어 돌출높이가 조정되며, 개구연장형박스를 연결개구부;가 거푸집면 또는 석고보드면 보다 약간 돌출되게 고정하여 벽면을 형성하는 과정에 거푸집이나 석고보드로 연결개구부를 밀면, 신축성에 의해 연결개구부;가 벽체 안쪽으로 변위되면서 거푸집과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거푸집 또는 석고보드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연결개구부가 벽면에 밀착 설치되어 박스개구부가 양호하게 노출되고, 석고보드와 벽체간의 공간과 박스내면 사이에 빈틈을 없게하여 석고본드의 충진을 필요 없게 하고, 박스기본부가 종래의 박스 형태를 유지하므로 보스가 박스본체에 견고히 부착되어 전기배선기구의 고정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며, 전기배선기구 고정시 보스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기본박스부에만 직접 전달되어 연결개구부가 기본박스부에서 탈락되도록 작용하지 않으므로, 전기배선기구고정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The box with extended entrance embedded in the wall}
본 고안은 전기배관용 등의 용도로 벽체에 매설하는 종래의 박스에 연결개구부를 결합하여 개구부를 연장할 수 있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관을 결합하는 박스본체;와 전기배선기구결합용나사를 고정하는 보스와 박스개구부를 포함하는 박스커버;의 조합인 종래의 박스형태를 유지하는 기본박스부;에 박스개구부를 연장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연결개구부;를 걸림장치와 스프링 등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박스개구부의 바깥쪽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전기배관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관용 등의 박스는 건축물 벽체의 일정위치에 매설되며, 박스에 배선기구 등을 설치하고, 박스에 연결하는 배관을 통하여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예시도 1은 종래의 박스(7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72);와 보스(76) 및 박스개구부(78)가 있는 박스커버(74);로 구성되어 있고, 박스개구부(78)가 변화없이 박스본체(7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위와 같은 종래의 박스(70)에는 배관을 연결하여 박스개구부(78)로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전기배선용기구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있도록 되어있다.
예시도 2a는 (종래의) 개구분리형박스(8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분리형개구부(89)가 박스기본부(81)의 분리형개구결합부(88)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이며, 콘크리트벽체(10) 매설시 분리형개구부(89)의 주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된다.
예시도 2b는 (종래의) 개구분리형박스(80)의 분리형개구부(89)가 박스기본부(81)의 분리형개구결합부(88)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콘크리트 벽체(10) 매설시 분리형개구부(89)의 주변에는 콘크리트가 잘채워지지 않게 된다.
예시도 2c는 상기 예시도 2b와 같은 상태로 매설된 (종래의) 개구분리형박스(80)의 분리형개구부(89)에 부착되어 있는 보스(86)에 전기배선기구를 나사로 결합하고 배선기구를 앞으로 당길 때 보스에 작용하는 인력이 분리형개구부(89)에 작용하여 분리형개구부(89)가 박스기본부(81)로부터 탈락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그러나 (종래의) 개구분리형박스(80)는 분리형개구부(89)가 박스기본부(81)분리형개구결합부(88)의 내측에 결합되고, 벽체(10) 매립시 분리형개구부(89)의 주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경화시켜 보스(86)가 부착된 분리형개구부(89)를 고정토록 되어 있으나, 분리형개구부(89) 주변의 콘크리트 채움의 형상과 두께는 분리형개구부(89)가 박스기본부(81)로부터 돌출된 높이에 의해 좌우되며, 분리형개구부(89)가 최대로 돌출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채움이 최대이나 콘크리트채움층이 기본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고, 분리형개구부(89) 주변의 엷은 콘크리트 구조는 PVC와 콘크리트간의 열 수축팽창율 차이로 인하여 일정기간이 지나면 약화되어 분리형개구부(89)에 일정이상의 이탈력을 인가하는 경우 쉽게 탈락할 수 있으며, 분리형개구부(89)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채움이 거의 되지 않아 분리형개구부(89)가 삽입되는 박스기본부(81) 바깥쪽에 약간의 홈을 만들어 콘크리트액을 충진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시도하였으나, PVC사이의 얇은 틈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구조는 PVC와 콘크리트의 서로 다른 열 수축팽창에 의하여 쉽게 와해되고 분리형개구부(89)를 고정하는 능력이 극히 적어 분리형개구부(89)에 약간의 인력을 가하여도 쉽게 탈락될 수 있으므로, 분리형개구부(89)에 부착된 보스(86)에 전기배선기구를 나사로 고정하고 배선기구를 끌어당기거나 진동을 주면 분리형개구부(89) 주변의 엷은 콘크리트가 깨지고 분리형개구부(89)가 쉽게 탈락되어 전기배선기구의 고정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콘크리트를 파취하여 재시공하여야 하게되므로 품질과 시공성이 저하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었다.
예시도 3a는 종래의 박스(70)를 봉(90)을 이용하여 벽체(10)에 고정할 때 박스개구부(78)가 벽(10)속 깊이 매몰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예시도 3b는 종래의 박스(70)를 봉(90)을 이용하여 벽체(10)에 고정할 때 박스개구부(78)가 돌출되어 거푸집에 걸리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예시도 3c는 종래의 박스(70)를 조적벽체(20)에 고정할 때 박스개구부(78)가 조적벽체(20)속 깊이 매몰되어 박스개구부(78)와 석고보드내부면(22) 사이에 빈틈이 생겨 석고본드를 충진하여 빈틈을 막은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예시도 3d는 종래의 박스를 조적벽체(20)에 고정할 때 박스개구부(78)가 돌출되어 석고보드(24)에 걸리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러나, 종래의 박스(70)를 봉(9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위 3a 내지 3b와 같이 시공상태에 따라 봉(90)을 결합하는 벽체(10)의 철근(14)과 벽면(12)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형틀작업시 박스개구부(78)가 벽면(12)에서 돌출되어 벽면(12)을 형성하는 거푸집(16)을 정 위치에 고정하는데 지장을 주거나, 벽체(10) 완성후 박스(70)가 벽체(10) 깊숙이 매몰되어 박스개구부(78)를 찾기위한 벽체(10)의 일부 파취작업이 필요하여 벽면(12)에 흠집이 발생하고, 벽체(10) 깊숙히 잘못 위치한 박스개구부(78)에 전기배선기구의 취부가 곤란하게 되며,
조적벽체(20)와 벽면 마감자재인 석고보드내부면(22)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아서 석고보드(24) 작업시 박스개구부(78)가 벽면을 형성하는 석고보드내부면(22)에서 돌출되어 석고보드(24)를 정 위치에 고정하는데 지장을 주거나 석고보드(24)를 파손시키며, 석고보드(24)와 박스개구부(78)사이의 빈틈을 메우기 위하여 석고본드를 충진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석고보드(24)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어, 품질과 시공성이 저하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선기구를 나사로 고정하는 보스(36)를 연결개구부(40)가 아닌 기본박스부(31)에 원래대로 부착하므로서 연결개구부(40)에 인력이 전달되지 않아 전기배선기구와 연결개구부(40)가 탈락되지 않도록 하고, 연결개구부(40) 전면이 거푸집(16)과 석고보드(24)에 밀착되게 작용하여 벽면(12) 또는 석고보드면(22)에 알맞게 노출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구연장형박스(30);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선관을 결합하는 박스본체(32);와 나사를 고정하는 보스(36)와 박스개구부(38)가 있는 박스커버(34);의 조합인 종래의 박스(70);와 같은 기본박스부(31);를 형성하며, 박스개구부(38)를 연장하는 형태의 연결개구부(40);를 형성하고, (개구부)걸림장치(52), (연결개구부)걸림장치(54), (걸림장치)가이드홈(56), 스프링하우징(58), 스프링(60), (스프링고정)돌기(62) 등의 연결장치(50)를 박스커버(34)와 연결개구부(40)에 부가하여 형성하고, 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연결개구부(40);를 박스개구부(38)의 바깥쪽에 끼워서 결합하여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박스(30)를 구성하며, 연결개구부(40)는 상시 최대로 돌출되어 있으며, 봉(90)을 이용한 고정방법 등을 이용하여 연결개구부(40)가 예정 콘크리트벽면(12)보다 약간 돌출되게 개구연장형박스(30)를 벽체(10)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벽체(10) 형성전에 연결개구부(40)가 거푸집(16)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하여 거푸집(16)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연결개구부(40)가 벽면(12)에 양호하게 노출되게 하거나, 연결개구부(40)가 조적벽체(20)에서 약간 돌출되게 개구연장형박스(30)를 고정하고, 연결개구부(40)가 석고보드(24)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하여 석고보드(24)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연결개구부(40)가 석고보드면(22)에 밀착하여 빈틈이 없게 하여 석고본드의 충진작업을 대체하며, 기본박스부(31)가 종래의 박스형태를 유지하므로 보스(36)가 박스본체(32)에 견고히 부착되고 전기배선기구의 고정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며, 전기배선기구 고정시 보스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된 기본박스부(31)에만 직접 전달되어 연결개구부(40)가 기본박스부(31)에서 탈락되도록 작용하지 않으므로, 전기배선기구고정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개구부분리형박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종래의 박스를 벽체에 고정할 때 박스개구부가 지나치게 돌출되거나, 벽속 깊이 매몰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구연장형 박스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커버 부위와 연결개구부 전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6f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와 연결개구부의 조립과 압축과정을 나타내는 횡측면도와 종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고안에 따른 개구연장형 박스를 벽체에 고정하고 거푸집 또는 석고보드를 벽면에 설치할 때 연결개구부의 위치이동과 거푸집 또는 석고보드와 박스연결개구부의 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크리트) 벽체 12. (콘크리트벽체) 벽면
14. (벽체) 철근 16. 거푸집
20. (조적) 벽체 22. 석고보드면
24. 석고보드
30. 개구연장형박스
31. 기본박스부
32. 박스본체
34. 박스커버
36. (나사고정용) 보스 38. 박스개구부
40. 연결개구부
50. 연결장치
52. (박스개구부)걸림장치 54. (연결개구부)걸림장치
56. (걸림장치)가이드홈 58. 스프링하우징
60. 스프링 62. (스프링고정)돌기
70 (종래의) 박스
72. 박스본체
74. 박스커버
76. (나사고정용) 보스 78. 박스개구부
80 (종래의) 개구분리형박스
81 박스기본부
82. 박스본체 84. 박스커버
86. (나사고정용) 보스 88. 분리형개구결합부
89. 분리형개구부
90. (고정)봉 92. 봉결합장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의 구체 예를 참고로 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4는 본 고안의 개구연장형박스(30);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기본박스부(31)의 박스개구부(38)에 연결개구부(40)를 결합하여 연결개구부(40)가 기본박스부(31)에 대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시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개구연장형박스(30)의 구체예인 기본 박스부(31)와 연결개구부(4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기본박스부(31)는 전선관을 연결하는 박스본체(32);와 전기배선기구고정용나사를 고정하는 (나사고정용)보스(36)와 박스개구부(30)가 있는 박스커버(34);의 조합으로 종래의 박스(70)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개구부(40)를 신축성있게 결합하게 하는 (박스개구부)걸림장치(52);와 스프링(60);과 (스프링고정)돌기(62); 등의 연결장치(50)의 일부를 부가형성하며, 연결개구부(40)는 박스개구부(38)의 바깥쪽에 끼워 연결하며, 박스개구부(38)를 연장하는 형태로 하고, 기본박스부(31)에 신축성있게 결합하게 하는 (연결개구부)걸림장치(54);와 (걸림장치)가이드홈(56);과 스프링하우징(58); 등의 연결장치(50)의 일부가 부가형성되며, 연결개구부(40)를 박스개구부(38)에 끼우면(박스개구부)걸림장치(52)와 (연결개구부)걸림장치(54)의 경사면이 마주보게되어 프라스틱의 탄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삽입후에는 각 걸림장치(52, 54)의 직각면이 갈고리처럼 마주보게되어 구성되고, 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하여 박스개구부(38)와 연결개구부(40)가 신축성있게 결합하게 되며, 연결가이드홈(58)은 (박스개구부)걸림장치(52)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된다.
예시도 6a 내지 6f는 기본박스부(31)와 연결개구부(40)의 결합과 신축과정을 결합 전, 후 및 압축 3단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예시도 7a 내지 7d는 본 고안의 개구연장형박스(30):를 벽체(10)에 고정하고 콘크리트형틀인 거푸집(16)을 설치할 때 개구연장형박스(30) 변위의 구체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 7a에서와 같이 개구연장형박스(30)를 봉(90)을 이용한 방법으로 벽체(10)의 일정위치에 고정시킨 것으로 거푸집(16)을 벽면(12)에 설치하기 전에는 연결개구부(40)가 벽면(12)으로부터 약간 튀어나오게 하며, 도 7b에서와 같이 거푸집(16)을 벽면(12)에 설치하면, 거푸집(16)과 연결개구부(40)가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밀착된 채로 벽체(10) 안쪽으로 적정한 탄력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과정을 거쳐 벽체(10)가 완성되면 연결개구부(40)면이 벽면(12)에 적정하게 노출되며, 도7c에서와 같이 개구연장형박스(30)를 조적벽체(20)에 약간 돌출되게 고정하고, 도7d에서와 같이 석고보드(24)를 밀면서 붙이면 연결개구부(40)가 석고보드면(22)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하여 박스(30)의 개구부가 적정하게 노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를 형성하는 과정에 거푸집(16)이벽면(1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를 벽면(12)까지 밀게되면, 연결개구부(40)의 신축성으로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가 벽체(10) 안쪽으로 쉽게 이동하면서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와 거푸집(16)이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거푸집(16)을 정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박스개구부(38)가 벽체(10)속에 깊게 묻히지 않고 박스개구부(38)가 양호하게 노출되어 박스개구부(38)를 찾기 위한 벽체(10) 파손에 의한 흠집이 벽면(12)에 발생하지 않으며,
조적벽체(20)의 석고보드(24)를 마감하는 과정에 석고보드(24)가 석고보드면(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를 석고보드면(22)까지 밀게되면, 연결개구부(40)의 신축성으로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가 조적벽체(20) 쪽으로 쉽게 이동하면서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와 석고보드(24)가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석고보드(24)를 정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연결개구부(40)가 석고보드면(22)에 밀착하여 석고보드와 벽체간의 공간과 박스내면사이에 빈틈이 없게 하여 석고본드의 충진을 대체하고 기본박스부(31)와 보스(36)의 연결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전기배선기구고정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결과를 얻으면서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개구연장형박스(30)의 특성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개구연장형박스(30)의 연결개구부(40)와거푸집(14) 또는 석고보드(24)가 적당한 압력을 유지하며 밀착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하여, 콘크리트형틀작업시 거푸집(14)을 돌출된 박스(30)의 저항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벽체(10) 완성후에는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가 벽면(12)에 양호하게 노출되도록 박스(30)를 매설되게 하여 벽체(10) 깊숙이 잘못 매몰된 박스의 개구부를 찾기 위한 벽체(10) 파손을 방지하고 박스개구부(12)의 적정노출로 전기배선기구취부가 용이하게 하여, 조적벽체(20)의 석고보드(24) 고정시 석고보드(24)가 돌출된 박스(30)의 저항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벽체(10) 완성후에는 박스(30)의 연결개구부(40)가 석고보드면(22)에 밀착하여 빈틈이 없게 하여 석고보드와 벽체간의 공간과 박스내면사이에 빈틈이 없게 하여 석고본드의 충진을 대체하며 석고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박스와 보스의 연결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전기배선기구고정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결과를 얻으면서 박스고정과 후속작업에 따른 노력을 절약하고 정상적인 시공이 되게 함으로서, 전반적인 시공성향상과 품질향상, 시공비용절감의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전선관을 연결하는 박스본체(32)에 (나사고정용)보스(36)와 박스개구부(38)를 주로하는 박스덮개형태의 박스커버(34)를 조합하여 기본박스부(31)를 일체로 구성하고, 박스개구부(38)의 바깥쪽에 끼워 박스개구부(38)를 연장하는 형태의 연결개구부(40)를 구성하여 신축성있게 결합한 개구연장형 박스(30);
    상기 기본박스부(31)의 박스커버(34)에 부가형성하는 (박스개구부)걸림장치(52), 스프링(60), 스프링돌기(62)와 연결개구부(40)에 부가형성하는 (연결개구부)걸림장치(54), (걸림장치)가이드홈(56), 스프링하우징(58) 등으로 구성되어
    기본박스부(31)와 연결개구부(40)의 결합을 보조하고, 기본박스부(31)와 연결개구부(40)가 결합되고 기본박스부(31)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개구부(40)의 전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기본박스부(31)와 연결개구부(40)의 상대적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신축적인 결합을 보조하는 연결장치(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박스
KR2020010036739U 2001-11-28 2001-11-28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KR200265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39U KR200265960Y1 (ko) 2001-11-28 2001-11-28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739U KR200265960Y1 (ko) 2001-11-28 2001-11-28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960Y1 true KR200265960Y1 (ko) 2002-02-25

Family

ID=7311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739U KR200265960Y1 (ko) 2001-11-28 2001-11-28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9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11813B1 (ko) 2006-02-10 2006-08-10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13B1 (ko) 2006-02-10 2006-08-10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960Y1 (ko)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EP1831977A1 (en) Cable clip
US6727427B1 (en) Electrical wiring channel
KR20030091492A (ko) 늘음량 조절 앵커시스템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100456233B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변위형박스고정장치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200436059Y1 (ko) 매입형 아웃렛 박스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254559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KR20090041544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356702B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CN219371965U (zh) 一种整体式预制线盒构件
KR20110015178A (ko) 전기배관박스용 임시마개
CN210659286U (zh) 一种接线盒的延长盒
KR200306554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10059643A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200371600Y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200207323Y1 (ko) 지수판 고정대
KR200428597Y1 (ko) 단자함
JP2002194332A (ja) 止水用シール材及び止水方法
KR20030094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333895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258202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신축형박스고정장치
KR200346920Y1 (ko) 아웃렛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