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59Y1 -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59Y1
KR200254559Y1 KR2020010011828U KR20010011828U KR200254559Y1 KR 200254559 Y1 KR200254559 Y1 KR 200254559Y1 KR 2020010011828 U KR2020010011828 U KR 2020010011828U KR 20010011828 U KR20010011828 U KR 20010011828U KR 200254559 Y1 KR200254559 Y1 KR 200254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pring
fixing device
ro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완
Original Assignee
임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완 filed Critical 임종완
Priority to KR2020010011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5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배관용 등으로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를 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박스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봉을 이용한 박스고정방법은 박스개구부가 벽속에 깊이 매몰되거나 벽면에서 돌출되어, 품질과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는 봉고정부와 신축연결부를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력적인 결합으로 구성하며, 신축연결부;는 박스결합플레이트와 스프링틀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과 스프링틀마구리 그리고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봉고정부;는 신축연결부와의 연결을 바르게 하는 가이드실(Guide Sill)과 박스후면의 최소간격을 보장하는 스페이서와 봉을 결합하는 봉홀더로 이루어지며, 박스와 박스 고정장치 그리고 봉을 결합하여, 박스개구부가 벽면에서 약간 돌출되도록 봉의 양단부를 벽체의 철근에 결합하여 박스를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에 돌출된 박스개구부를 거푸집으로 밀면, 신축연결부의 탄력으로 박스가 벽체 안쪽으로 변위되면서 박스개구부와 거푸집이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거푸집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박스개구부가 벽속에 묻히지 않고 벽면에 양호하게 노출되는 결과를 얻어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Box Fixing Appliance With Spring For Fixing embedded Box In The Wall}
본 고안은 전기배관용 등의 용도로 벽체에 매설하는 박스를 철근에 고정하는 박스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결합플레이트와 스프링틀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과 스프링틀마구리 그리고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신축연결부;와 봉을 고정하는 봉홀더와 신축연결부와의 연결을 바르게 하는 가이드실 그리고 박스후면의 최소간격을 보장하는 스페이서로 구성하는 봉고정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박스고정장치;에 박스;와 봉;을 결합하여 봉의 양단부를 벽체의 철근에 결합하여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박스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관용 등의 박스는 건축물 벽체의 일정위치에 매설되며, 박스에 배선기구 등을 설치하고, 박스에 연결하는 배관을 통하여 전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예시도 1은 종래의 봉(70)을 이용하여 박스(10)를 고정하는 사시도로써 이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박스(10);와 종래의 봉결합장치(90);와 봉(7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70)을 박스(10)에 결합하는 장치로써 박스(10)에 부착된 종래의 봉결합장치(90)에 봉(70)을 결합하여 (벽체)철근(26)에 고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위와 같이 고정된 박스(10)에는 배관을 연결하여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기구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봉결합장치(90)를 이용하여 박스(10)를 고정하는 방법은 시공상태에 따라 봉(70)을 결합하는 벽체(20)의 철근(26)과 벽면(22)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아서, 콘크리트 형틀작업시 박스개구부(12)가 벽면(22)에서 돌출되어 벽면(22)을 형성하는 거푸집(24)을 정 위치에 고정하는데 지장을 주거나, 벽체(20) 완성후 박스(10)가 벽체(20) 깊숙이 매몰되어 박스개구부(12)를 찾기위한 벽체(20)의 일부 파취작업이 필요하여 벽면(22)에 흠집이 발생하고, 벽체(20) 속 깊이 위치한 박스개구부(12)에 기구취부가 곤란하여, 품질과 시공성이 저하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박스개구부(12)가 거푸집(24)에 밀착되게 작용하여 벽면(22)에 알맞게 노출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스고정장치(60);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박스결합플레이트(44)와 스프링틀(50)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42);과 스프링틀마구리(56); 그리고 스프링(58);으로 구성하는 신축연결부(40);와 봉(70)을 고정하는 봉홀더(32)와 신축연결부(40)와의 연결을 바르게 하는 가이드실(38)과 박스후면의 최소간격을 보장하는 스페이서(34)로 구성하는 봉고정부(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박스고정장치(60);에 박스(10)와 봉(70)을 결합하여 봉(70)의 양단부를 벽체(20)의 철근(26)에 결합하여 박스(10)를 고정하고, 박스개구부(12)가 거푸집(24)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하여, 거푸집(24)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박스개구부(12)가 벽면(22)에 양호하게 노출되는 결과를 얻어 시공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봉을 이용하여 박스를 고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의 구체예에 따른 박스고정 사시도이다.
도 3a와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의 조립과 박스와 박스고정장치결합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와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를 박스와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와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를 박스와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6a와 6b는 본 고안에 따라 벽체에 박스를 고정하고 거푸집을 설치할 때 박스의 위치이동과 거푸집과 박스개구부의 밀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를 둘 이상 조합하여 연용고정장치로 사용하는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연용고정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를 박스측면에 박스와 일체로성형하여 사용하는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고정장치를 전면형으로 구성하는 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박스 12 박스개구부
20. 벽체 22. 벽면
24. 거푸집 26. (벽체) 철근
30. 봉고정부
32. 봉홀더 34. 스페이서(Spacer)
36. 스프링홀더 38. 가이드실(Guide Sill)
40. 신축연결부
42. 베이스프레임(Base Frame)
44. 박스결합플레이트 46. 박스결합용홀
48. 연용장치연결홈 50. 스프링틀(Housing)
52. (봉고정부)미끄럼틈(Sliding Slot)
54. 스프링틀마구리 결합홈
56. 스프링틀마구리 58. 스프링
60. 박스고정장치
61. 버팀형 박스고정장치 62. 버팀일체형 박스고정장치
63. 전면형 박스고정장치 64. 전면일체형 박스고정장치
65. 연용장치연결판 66. 조립형 연용박스고정장치
68. 일체형 연용박스고정장치
70. (고정)봉 90. (종래의) 봉결합장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의 구체예를 참고로 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를 이용한 박스고정방법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써 전기배관용 등의 박스(10)의 배면에 박스고정장치(60, 62);를 결합하고 봉고정부(30)에 봉(70)을 결합하여 벽체(20)의 철근(26)과 봉(70)을 결합하여 박스(10)를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예시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구체예인 박스고정장치(60, 62);의 부품구성과 조립 그리고 박스(10)와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로써,
박스결합용홀(46)이 있는 박스결합플레이트(44);와 연용장치연결홈(48)과 미끄럼틈(52)과 스프링틀마구리결합홈(54)이 있는 스프링틀(50);을 일체로 성형한 베이스프레임(42);에 스프링(58);과 스프링틀마구리(56);를 조합하여 신축연결부(40);를 구성하며, 봉홀더(32)와 스페이서(34)와 스프링홀더(36) 그리고 가이드실(38);을 일체로 성형하여 봉고정부(30);를 구성한다.
상기의 베이스프레임(42)에 스프링(58)과 봉고정부(30)를 삽입·결합하고 스프링틀마구리(56)를 스프링틀마구리결합홈(54)에 결합하여 박스고정장치(60,62);를 완성하며, 박스결합용홀(46)에 리벳, 볼트 등을 사용하여 박스(10)와 박스고정장치(60)를 결합하고, 봉홀더(32)에 봉(70)을 삽입·결합하여 (벽체)철근(26)에 봉(7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봉고정부(30)와 베이스프레임(42)은 스프링(5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봉(70)이 고정된 상태에서 박스(10)의 전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봉고정부(30)와 박스(10)의 거리가 신축성있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연용장치연결홈(48);은 둘이상의 박스(10)를 한 셋트로 고정할 수 있는 조립형 연용박스고정장치(66)의 조립을 위하여 연용장치연결판(65)를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며, 미끄럼틈(52);은 신축연결부(40)와 결합한 봉고정부(30)의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스프링틀마구리결합홈(54);은 봉고정부(30)가 신축연결부(4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프링틀마구리(56);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요철형 등의 방법으로 구성하며, 스프링틀(50);은 스프링(58)과 스프링 홀더(36)을 수용하고 가이드실(38)과 맞물려서 신축연결부(40)와 봉고정부(30)가 정상적인 궤도를 유지하면서 상대적 이동결합을 유지토록 작용하며, 스프링(58);은 봉고정부(30)와 신축연결부(40) 사이의 압력에 따라 수축팽창하여 탄력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봉홀더(32)는 박스고정장치(60)에 봉(70)을 삽입·결합할 수 있고 철근(26)의 벽면(22)으로 부터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박스고정장치(60)에서 봉(7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여러개의 홈을 둘 수 있게 구성하며, 스페이서(34)는 박스(10)와 박스고정장치(60)가 벽체(20) 깊숙이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대로서 작용하며, 스프링홀더(32)는 스프링(58)이 정상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작용하며, 가이드실(38);과 봉홀더(32);는 미끄럼틈(52)의 폭보다 큰 턱(Sill)을 형성하여 봉고정부(30)가 수직적으로 변위되지 않고 쓰러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예시도 4a 내지 4b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 62)를 박스(10)와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박스(10)와 베이스프레임(42)을 일체로 성형하고, 스프링(58), 봉고정부(30), 스프링틀마구리(56)을 조립하여 버팀일체형 박스고정장치(60, 62)를 완성한다.
예시도 5a 내지 5b는 본 고안의 구체예를 보인 상기 예시도 4a 내지 4b의 버팀일체형 박스고정장치(60, 62)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평단면도로서, 신축연결부(40)와 스프링(58)과 봉고정부(30)가 결합하는 형태를 보여준다.
예시도 6a 내지 6b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 62):를 이용하여 벽체(20)에 박스를 고정하고 콘크리트 형틀인 거푸집(24)을 설치할 때 박스(10) 변위의 구체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 6a에서와 같이 박스(10)와 박스고정장치(60, 62)와 봉(70)을 일체로 결합하고 봉(70)의 단부를 벽체(20)의 철근(26)에 결합하여 박스(10)를 벽체(20)의 일정위치에 고정시킨 것으로 거푸집(24)을 벽면(22)에 고정설치하기 전에는 박스개구부(12)가 벽면(22)으로부터 약간 튀어나오게 하며, 도 6b에서와 같이, 거푸집(24)을 벽면(22)에 설치하면, 거푸집(24)과 박스개구부(12)가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밀착된 채로 박스(10)가 벽체(20) 안쪽으로 적정한 탄력을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과정을 거쳐 벽체(20)가 완성되면 박스개구부(12)면이 벽면(22)에 적정하게 노출된다.
예시도 7a 내지 7c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 둘이상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형 연용박스고정장치(66)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연용장치연결판(65)을 각각의 박스고정장치(60)의 연용장치연결홈에 결합하여 박스(10)를 결합하고, 봉(70)을 결합하여 봉(70)의 양단을 벽체(20)의 철근(26)에 결합하여 둘이상의 박스(10)를 한 셋트로 고정하며, 연용장치연결판(65)은 각 박스고정장치(60, 6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일체로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며, 각 박스고정장치(60, 62)의 봉홀더(32)에 결합되는 봉(70)에 의하여 조립에 따른 구조적인 취약점이 보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시도 8은 본 고안의 구체예를 보인 상기예시도 7a 내지 7c의 조립형 연용박스고정장치(66)를 일체로 성형한 일체형 연용박스고정장치(68)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베이스프레임(42)에 다수의 박스결합플레이트(44)를 일체로 성형하고 다수의 신축연결부(40)와 봉고정부(30)로 구성한다.
예시도 9a 내지 9c는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를 박스(10)의 측면에 일체로 구성하는 전면일체형 박스고정장치(64)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박스(10)의 측면에 연용장치연결홈(48)과 미끄럼틈(52)과 스프링틀마구리결합홈(54)이 있는 스프링틀(50);을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예시도 3a에서와 같이 스프링(58);과 봉고정부(30);와 스프링틀마구리(56);를 결합하여 박스고정장치를 완성한다.
상기 예시도 2 내지 8은 박스고정장치(60)를 박스(10)의 배면에 형성하고 봉(70)을 벽체(20) 후면의 철근(26)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형 박스고정장치(61) 와 버팀일체형 박스고정장치(62)와 연용박스고정장치(66, 68)를 보이는 반면에, 도 9a에서는 박스고정장치(60)를 박스(10)의 측면에 형성하고 봉(70)을 벽체(20) 전면의 철근(26)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일체형 박스고정장치(62)를 나타낸다.
예시도 10은 본 고안의 박스고정장치(60)의 스프링틀(50)과 봉고정부(30)는 박스(10)의 측면에 오게 구성하는 전면형 박스고정장치(63)의 구체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박스플레이트(44)를 박스(10)의 배면에 위치토록 베이스프레임(42)을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20)를 형성하는 과정에 거푸집(24)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잇는 박스개구부(12)를 벽면(22)까지 밀게되면, 봉(70)과 박스(10)를 결합하는 박스고정장치(60)의 스프링(58)의 탄력으로 박스(10)가 벽체(20) 안쪽으로 쉽게 이동하면서 박스개구부(12)와 거푸집(24)이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거푸집(24)을 정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박스(10)가 벽체(20)속에 깊게 묻히지 않고 박스개구부(12)가 벽면(22)에 양호하게 노출되어 박스개구부(12)를 찾기 위한 벽체(20) 파손에 의한 흠집이 벽면(22)에 발생하지 않고, 박스개구부(12)에 기구취부가 용이하여 품질과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탄력성을 갖는 박스고정장치(60)의 특성을 이용하여 박스(10)를 봉(70)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벽체(20)에 고정시키고, 박스개구부(12)와 거푸집(24)이 적당한 압력을 유지하며 밀착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하여, 콘크리트형틀작업시 거푸집(24)을 돌출된 박스(10)의 저항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벽체(20) 완성후에는 박스 개구부(12)가 벽면에 양호하게 노출되도록 박스(10)를 매설되게 하여 벽체(20) 깊숙이 잘못 매몰된 박스개구부(12)를 찾기 위한 벽체(20) 파손을 방지하고, 박스개구부(12) 적정노출로 기구취부가 용이하게 하여,
박스고정과 후속작업에 따른 노력을 절약하고 정상적인 시공이 되게 함으로서, 전반적인 시공성향상과 품질향상, 시공비용절감의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스프링(58)과 스프링틀(50)을 주로하여 형성하는 신축연결부(40)와 봉홀더(32)와 스페이서(34)를 주로하여 일체로 성형한 봉고정부(30)를 조립하여 일체로 구성하며, 이에 박스(10)와 봉(70)을 결합하고 봉(70)의 양단을 벽체(20)의 철근(26)에 고정한 상태에서 박스(10)의 전면에 압력을 가하면 봉고정부(30)와 박스(10)의 거리가 신축성있게 조절되어 박스(10)의 전후위치가 임의 조정될 수 있도록 박스(10)를 벽체(20)에 고정하는 박스고정장치(60);
    상기 박스(10)에 면하여 결합하는 박스결합플레이트(44);
    상기 신축연결부(40)와 결합한 봉고정부(30)의 상대적인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스프링틀(50)의 미끄럼틈(52);
    상기 스프링(58)을 수용하고 가이드실(38) 및 봉홀더(32)와 맞물려서 신축연결부(40)와 봉고정부(30)가 상대적 변위궤도를 유지하면서 정상적으로 결합토록 작용하는 스프링틀(50);
    상기 박스결합플레이트(44)와 스프링틀(50)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42);
    상기 베이스프레임(42)에 스프링(58)과 봉고정부(30)를 삽입·결합하고,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틀마구리(56);
    상기 봉고정부(30)와 신축연결부(40) 사이의 압력에 따라 수축팽창하여 봉고정부(30)와 신축연결부(40)를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스프링(58);
    상기 베이스프레임(42)과 스프링(58)과 스프링틀마구리(56)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신축연결부(40);
    상기 박스고정장치(60)에 봉(70)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철근(26)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박스고정장치(60)에서 봉(7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봉홀더(32);
    상기 봉(70)과 봉홀더에 연결하여 박스(10)와 박스고정장치(60)가 뒤로 밀려 벽체(20)에 깊게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팀대로서 작용하는 스페이서(34);
    상기 스프링틀(50)의 미끄럼틈(52)의 폭보다 큰 턱(Sill)을 형성하여 스프링 틀(50)과 맞물려 봉고정부(30)가 수직적으로 변위되지 않고 쓰러지지 않도록 작용하는 가이드실(38);과 봉홀더(32);
    상기 봉홀더(32)와 스페이서(34)와 가이드실(38)을 일체로 구성한 봉고정부(30);
    상기 박스(10)의 측면에 스프링틀(50)과 스프링(58)을 포함하는 신축연결부(40)를 형성하고 봉고정부(30)를 결합하여 벽체(20) 전면의 철근(26)에 봉(70)을 고정하는 전면형 박스고정장치(63)로 이용하고, 상기 박스(10)의 배면에 스프링틀(50)과 스프링(58)을 포함하는 신축연결부(40)를 형성하고 봉고정부(30)를 결합하여 벽체(20) 후면의 철근(26)에 봉(70)을 고정하는 버팀형 박스고정장치(61)로 박스(10)와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박스고정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2. 상기 제1항의 박스고정장치(60)의 베이스프레임(42)을 박스(10)의 측면이나 배면에 일체로 성형하고 스프링(58)과 봉고정부(30)와 스프링틀마구리(56)를 결합하여 전면일체형 박스고정장치(64)와 버팀일체형 박스고정장치(62)로 이용할 수 있는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3. 상기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항의 박스고정장치(60)에 형성하는 연용장치연결홈(48)에 연용장치연결판을 결합하여 둘 이상의 박스고정장치(60)를 하나로 결합하고 봉(70)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조립형 연용박스고정장치(66)와 둘 이상의 박스고정장치를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한 일체형 연용박스고정장치(68)를 특징으로 하는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KR2020010011828U 2001-04-24 2001-04-24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KR200254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28U KR200254559Y1 (ko) 2001-04-24 2001-04-24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28U KR200254559Y1 (ko) 2001-04-24 2001-04-24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59Y1 true KR200254559Y1 (ko) 2001-12-01

Family

ID=7310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828U KR200254559Y1 (ko) 2001-04-24 2001-04-24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33B1 (ko) * 2002-07-22 2004-11-16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변위형박스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33B1 (ko) * 2002-07-22 2004-11-16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변위형박스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4559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스프링부 박스고정장치
KR100456233B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변위형박스고정장치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0280863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변위형박스고정장치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200258202Y1 (ko) 벽속에 매설되는 박스를 고정하는 신축형박스고정장치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640176B1 (ko) 단자함
CN203950933U (zh) 用于导线端子座的金属弹片改良结构
KR100399416B1 (ko)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200315192Y1 (ko) 거푸집용 판넬 간격조절바
KR200333895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100515682B1 (ko) 슬라이드스위치
KR200265960Y1 (ko) 벽속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개구연장형 박스
KR200487979Y1 (ko) 판넬 조립식 건축물용 수도 및 콘센트 박스 고정판
KR200353271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JPS6350744Y2 (ko)
KR100705393B1 (ko) 미장판넬 연결구조
CN215889099U (zh) 一种装配式卫生间墙面平接组装装置
KR200450661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100640177B1 (ko) 단자함
KR100562458B1 (ko) 단자함
JPH03180666A (ja) コンクリート埋設体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