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22Y1 -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22Y1
KR200323022Y1 KR20-2003-0014009U KR20030014009U KR200323022Y1 KR 200323022 Y1 KR200323022 Y1 KR 200323022Y1 KR 20030014009 U KR20030014009 U KR 20030014009U KR 200323022 Y1 KR200323022 Y1 KR 200323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x
wiring
box
couple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임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수 filed Critical 임진수
Priority to KR20-2003-0014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배선박스의 전면지지판을 배선박스와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전면지지판의 유동을 없게 하므로서 전면지지판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 설치작업이 쉽도록 하며 배선박스의 후면을 개구시켜 거기에 후면판을 끼워 고주파 용접으로 일체화 시키므로서 배선박스의 외형을 깨끗이 하고 박스체의 주면에 뚫린 접속공에는 전선관 접속구를 끼워 맞추어 접속공의 결속편에 전선관 접속구의 결속안내홈이 끼워 걸리도록 구성하므로서 배선박스의 결합구조를 간단히 한다.

Description

전기배선박스 {Wiring box for Electricity}
본 고안은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면 내부에 수납되어 전기배선을 용이하게 인출하는 배선박스의 전면지지판을 배선박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시켜 전면지지판에 결합되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정확하고 보다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벽면 내부에 배선박스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신축할 때 벽면의 소정 위치 내부에는 생활의 편리성을 위한 각종 배선 즉, 전기나 전화 혹은 TV 안테나 인터콤과 각종 스위치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배선작업을 위한 배선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선박스의 전면으로 각종 연결단자(전기콘센트, 전화콘센트 등)나 스위치를 설치하여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배선박스는 개방된 부위가 실내측으로 향하도록 벽의 내부에 설치하여 벽의 내측으로 연결 공급되는 각종와이어의 배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박스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몸체의 전면을 개구시켜 그 내부면 테두리에 단턱(11)을 형성시키고 일측과 타측면에 각각 접속공(12)을 천공시킨 배선박스(10)와, 상기 배선박스(10)의 전면에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단턱(11)에 걸리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전면판(20)과, 상기 배선박스(10)의 접속공(12)에 너트(32)를 통하여 고정되어 전선관을 배선박스(10)의 내부로 유도하는 전선관 접속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선박스(10)와 전면판(20)의 결합은 배선박스(10)의 단턱(11) 하방으로 결합홈(13)을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게 전면판(20)에 상면에 결합돌기(21)를 형성시켜 상호 끼움 맞춤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배선박스는 배선박스(10)의 접속공(12)에 전선관 접속구(30)를 끼워 결합하되 상기 전선관 접속구(3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시킨 숫나사(31)가 배선박스(1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내입되도록 결합한 다음 노출된 숫나사 (31)에 너트(32)를 체결하여 접속공(12)에 전선관 접속구(30)를 고정한다.
이후, 스위치 또는 콘센트(도시되지 않았음)가 고정되는 전면판(20)을 배선박스(10)의 전면에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결합시킨 다음 결합돌기(21)와 결합홈 (13)을 이용하여 배선박스(10)의 전면에 전면판(20)을 결합시킨 후 벽면의 수납공간에 내입시켜 전선관 및 전선 등을 배선박스(10)의 내부로 유도하여 배선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배선박스(10)는 배선박스(10)의 전면에 결합시킨 전면판(20)이 분리 가능하므로서 배선박스(10)와 전면판(20)이 상호 유동이 발생하여 전면판(20)에 부착될 스위치 또는 콘센트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남과 동시에 작업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동안 시일이 경과하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배선박스(10) 자체가 약간의 변형이 생겨 결합돌기(21)에 의하여 배선박스에 결합된 전면판(20)이 배선박스에서 빠져나오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스위치커버가 장착되는 배선박스의 전면부를 배선박스의 몸체와 일체로 사출 성형시켜 배선박스의 전면부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정확하고 보다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된 스위치 또는 콘센트가 전면판과 함께 배선박스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선박스의 후방에 후면판을 탈착식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 벽면 내부에 배선박스를 장착 작업시 후면판을 벽면의 내부에 먼저 내입 고정시킨 다음 전면지지판이 벽면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선박스를 내입시키면서 가압하여 결합시킴으로서 건축물 벽면 내부에 배선박스의 장착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 할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배선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의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고주파용접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탈착식수단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전면지지판이 배선박스 안쪽에 일체로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고주파용접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탈착식수단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 전선관 접속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도 10은 배선박스의 접속공에 끼워 붙여진 배선관 접속구에 배선관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도 11은 배선박스의 접속공에 끼워 붙여진 배산관 접속구에 부시를 끼워 직경이 작은 또다른 배선관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윗치커버 10 : 배선박스
11 : 단턱 12 : 접속공
13 : 결합홈 20 : 전면판
21 : 결합돌기 30 : 전선관 접속구
31 : 숫나사 32 : 너트
100 : 배선박스 101 : 전면지지판
102 : 단턱 103 : 탈착식홈
104 : 접속공 105 : 결속편
106 : 스위치체결공 110 : 후면판
111 : 탈착식돌기 120 : 전선관 접속구
121 : 결속안내홈 122 : 너어링(KNURLING)
123 : 전선관 접속공 124 : 부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는 후면을 개구시켜 그 내부면 둘레에 단턱을 형성시키되 그 하방으로 탈착식홈을 형성시키고 전면에는 중심부를 부분 개방시킨 전면지지판을 배선박스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시키며 상하부면 각각에는 접속공을 형성시켜 접속공의 내주연에 결속턱을 돌출시킨 배선박스와, 상기 배선박스에 개구시킨 후면을 통하여 결합시켜 단턱에 걸리도록 하되 상면으로 탈착식홈과 대응되도록 돌출시킨 탈착식돌기를 통하여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배선박스의 접속공에 결속턱에 걸려 회전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주연 일측에 결속안내홈을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전선관 접속공을 형성시켜 그 내부에 부시를 결합시킨 전선관 접속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전기배선박스의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고주파용접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고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탈착식수단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전면지지판이 배선박스 안쪽에 일체로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이며, 도 6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고주파용접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서 배선박스와 후면판을 탈착식수단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기배선박스에 전선관 접속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는 도 2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후면을 개구시켜 그 내부면 둘레에 단턱(102)를 형성시키되 그 하방으로 탈착식홈(103)을 형성시키고 전면에는 중심부를 부분 개방시킨 전면지지판(101)을 배선박스(100)와 일체로 사출 성형시키며 상하부면 각각에는 접속공(104)을 뚫어 접속공(104)의 내주연에 결속편(105)을 돌출시킨 배선박스(100)와, 상기 배선박스(100)에 개구시킨 후면을 통하여 결합시켜 단턱(102)에 걸리도록 하되 상면으로 탈착식홈(103)과 대응되도록 돌출시킨 탈착식돌기(111)를 통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10)과, 상기 배선박스(100)의 접속공(104)에 결속편(105)이 걸려 회전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주연 일측에 결속안내홈(121)을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배선관 투입공(123)을 형성시켜 그 내부에 부시(124)를 결합시킬수 있는 배선관 접속구(120)로 구성한다.
상기 배선박스(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배선박스(100) 몸체에 전면지지판(101)을 사출성형으로 몸체와 일체로 성형시킨 다음 전면지지판(101)의 일측과 타측에 스위치 또는 콘세트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106)을 형성시켜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배선박스(100)의 형상은 직사각형 및 원통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선박스(100) 몸체의 형상을 제한적으로 국한하지 않는다.
더불어, 후면판(110)은 전면의 테두리에 탈착식돌기(111)를 다수개로 돌출시키되 배선박스(100)의 내부면 테두리에 형성시킨 탈착식홈(10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켜 배선박스(100)의 개구된 후면을 통하여 후면판(110)을 결합시 탈착식홈 (103)과 탈착식돌기(111)의 결합으로 배선박스(100)와 후면판(1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선박스(100)에 개구되어 있는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면판(110)은 탈착식수단이 아닌 고주파용접으로 접합하여 배선박스(100)와 후면판(110)을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서 외관이 깨끗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배선관 접속구(120)는 접속공(104)에 끼워 붙여지는 일측의 외주연에 일정길이의 결속안내홈(121)을 형성시키고 타측의 외주연에는 너어링(122)을 형성시켜 배선관 접속구(1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접속공(104)의 결속편(105)이 배선관 접속구(120)의 결속안내홈(121)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여 체결하듯 결합시킨다.
또한, 배선관 접속구(120)에 부시(124)를 끼우거나 빼내어서는 직경이다른 배선관(124a)을 배선관 접속구(120)에 연결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배선박스(100)의 몸체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시켜 벽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배선관이 사방에서 인출되어도 배선관과 동일한 각도로 배선관 접속구(12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선관 접속구(120)는 배선박스(100)의 외주연에 결합시 원호상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접속공(104)을 형성시킨 배선박스(100)의 외주연에 평면(107)을 형성시켜 배선관 접속구(120)가 접속공(104)에 결합시 평탄한 상면에 밀착되도록하여 원통형상의 배선박스(100)에 배선관 접속구(12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100)를 건축물 벽면에 결할할 때에는 배선박스(100)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벽면의 수납공간 내에 배선박스(100)몸체를 투입하여 고정시키거나 후면판(110)을 먼저 내입시켜 고정한 다음 배선박스(100)의 전면지지판(101)이 수납공간의 개구부측을 향하도록 하여 수납공간의 내부로 가압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 내부로 내입되는 배선박스(100)는 수납공간 내부면에 수납된 후면판(110)과 상호 밀착되는 동시에 가압되면서 후면판(110)의 탈착식돌기 (111)가 배선박스(100)의 탈착식홈(103)에 결합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선박스(100)와 후면판(110)을 벽면의 수납공간내부에 먼저 내입시킨 다음 배선박스(100)의 전면지지판(101)이 벽면의 바깥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수납공간 내측으로 밀어 내입시키면서 후면판(110)과 결합시킴으로서 외벽에 배선박스(100)를 수납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면의 수납공간 내부에 배선박스(100)를 수납하고 난 다음에는 상기 배선박스(100)와 일체로 성형시킨 전면지지판(101)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체결수단으로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의 배선박스(10)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는 전면판(20)에 비하여 유동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전면지지판(101)에 형성시킨 스위치체결공(106)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보다 정확하고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배선박스(100)는 후면을 개구시켜 그 내부면 둘레에 단턱(102)을 형성시키되 그 하방으로 탈착식홈(103)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전면에는 중심부를 부분 개방시킨 전면지지판(101)을 형성시키며 상하부면 각각에는 접속공(104)을 형성시켜 접속공(104)의 내주연에 결속편(105)을 돌출시킨 배선박스(100)와, 상기 배선박스(100)에 개구시킨 후면을 통하여 결합시켜 단턱(102)에 걸리도록 하되 상면으로 탈착식홈(103)과 대응되도록 돌출시킨 탈착식 돌기(111)를 통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10)과, 상기 배선박스(100)의 접속공(104)에 결속편(105)에 결려 회전되면서 체결되도록 외주연 일측에 결속안내홈(121)을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배선관 삽입공(123)을 형성시켜 그 내부에 부시(124)를 결합시킨 배선관 접속구(120)로 구성하여 배선박스(100)와 전면지지판(101)이 일체로 이루어져 유동을 방지하여 배선박스(100)의 전면부를 통하여 장착하는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건축물 벽면 내부에 전기배선박스(100)를 장착시에도 후면판 (110)을 먼저 내입시킨 다음 배선박스(100)를 가압하듯 내입시켜 후면판(110)과 결합시킴으로서 벽면에 배선박스(100)의 장착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선박스(100)의 전면지지판(101)은 배선박스(1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배선박스(100) 후면 개구부에는 후면판(110)을 끼워 고주파 용접으로 배선박스 (100)와 일체로 되게 형성하고 배선박스(100)의 주면에 뚫린 접속공(104)에는 배선관 접속구(120)를 끼워 맞추어 접속공(104)의 결속편(105)에 배선관 접속구(120)의 결속안내홈(121)이 끼워 걸리도록 구성하여서 된 전기배선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배선박스(100)의 후면개구부에는 후면판(110)의 돌기편 (111)이 후면개구부 내측면의 걸림홈(103)에 탄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된 전기배선박스
KR20-2003-0014009U 2003-05-06 2003-05-06 전기배선박스 KR200323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009U KR200323022Y1 (ko) 2003-05-06 2003-05-06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009U KR200323022Y1 (ko) 2003-05-06 2003-05-06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22Y1 true KR200323022Y1 (ko) 2003-08-14

Family

ID=4941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009U KR200323022Y1 (ko) 2003-05-06 2003-05-06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60Y1 (ko) * 2011-07-22 2013-05-16 김봉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474302Y1 (ko) 2013-05-27 2014-09-05 세홍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배선 분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60Y1 (ko) * 2011-07-22 2013-05-16 김봉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474302Y1 (ko) 2013-05-27 2014-09-05 세홍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배선 분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584558U (zh)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及電連接器組件
KR20070120219A (ko)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KR200323022Y1 (ko) 전기배선박스
KR20110073662A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US6287131B1 (en) Plug with a receiving member for grounding prong
CN110365153B (zh) 接线盒组件、电机及电器
JP6197551B2 (ja) 給電用コネクタ
KR200430802Y1 (ko)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KR200416265Y1 (ko)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102383381B1 (ko)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CN219991986U (zh) 一种晾衣机主机安装结构和晾衣机
EP1208617A1 (en) Electric plug
JP3867040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CN210156269U (zh) 一种开关
CN213989374U (zh) 电器防水快接连接座
JPH0529039A (ja) ハーネスコネクタ
KR200482605Y1 (ko)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JP2002270294A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CN218070478U (zh) 一种装配式整体卫浴、整体厨房墙板开关插座集成底盒
CN218415177U (zh) 手持式器具的连接机构以及手持式器具
KR200462353Y1 (ko) 벽체 매립형 콘센트 조립구조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CN213753364U (zh) 一种连接器和连接结构
CN215937236U (zh) 一种电池包线路安装结构及具有其的地面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