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09Y1 - 단자브라켓 - Google Patents

단자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09Y1
KR200344509Y1 KR20-2003-0035151U KR20030035151U KR200344509Y1 KR 200344509 Y1 KR200344509 Y1 KR 200344509Y1 KR 20030035151 U KR20030035151 U KR 20030035151U KR 200344509 Y1 KR200344509 Y1 KR 200344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ing
shaped body
flange
termin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옥인
정운구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5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0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sources having contact pins, wires or blades, e.g. pinch sealed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공(41')이 관통형성되고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링형본체(41)와, 상기 링형본체(41)의 외주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링형본체(41)의 고정을 위한 체결캡(43)과, 상기 링형본체(41)에 일체로 인서트몰딩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링형본체(41)에서 돌출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단자(5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형본체(41)의 외주면 둘레에는 플랜지(45)가 소정 구간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5)를 관통하여 상기 단자(50,50')가 인서트몰딩된다. 상기 단자(50,50')는 전선측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연결부(51)와, 상기 연결부(5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5)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서트부(52)와, 상기 인서트부(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5)의 내부에 일부가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고정부(53)와, 상기 고정부(53)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대 단자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브라켓(40)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단자(50,50')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자브라켓{A terminal bracket}
본 고안은 단자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홀더어셈블리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서 단자브라켓이 구비된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 램프홀더(3)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서는 통공(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의 내주면에는 결합턱(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램프삽입부(5)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선단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에는 단자(6)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6)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으로 접촉부(6')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7)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8)는 상기 결합턱(2')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램프홀더(3)의 후단에는 플랜지(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는 상기 램프하우징(1)에 형성된 통공(2)의 직경보다 상기 램프홀더(3)의 외주면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의 상기 램프홀더(3)측에는 실링부재(9)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9)는 램프홀더(3)가 램프하우징(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와 플랜지(8)의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 기능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상기 램프삽입부(5) 반대쪽에는 손잡이(1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작업자가 상기 램프홀더(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램프홀더(3)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의 일부를 둘러서 단자브라켓(12)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브라켓(12)은 상기 램프하우징(1)에 스크류로 체결된다. 상기 단자브라켓(12)에는 그 양단에 단자고정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고정부(14)에 단자(15)가 위치된다. 상기 단자(15)는 상기 단자브라켓(12)이 상기 램프하우징(1)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단자고정부(14)와 단자브라켓(12)의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15)의 접촉부(15')는 상기 통공(2)의 내주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램프홀더(3)의 단자(6)의 접촉부(6')와 접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램프홀더(3)의 램프삽입부(5)가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7)가 램프하우징(1)의 통공(2)에 형성된 걸림턱(2')에 걸리도록 소정 각도 회전되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램프하우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랜지(8)가 실링부재(8)를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램프홀더(3)의 장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단자(6,15)의 접촉부(6',15')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단자(15)가 상기 단자브라켓(12)과 별개로 구성되어 조립라인에서 상기 램프하우징(1)에 장착된다. 따라서, 조립라인에서 관리해야 하는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단자(15)를 상기 단자고정부(14)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브라켓(12)을 램프하우징(1)에 장착하므로 장착작업이 번거롭고, 상기 단자고정부(14)의 내부의 홈보다 상기 단자(15)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강제삽입시 상기 단자(15)나 단자고정부(14)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램프하우징(1)에 단자브라켓(12)이 고정된 상태에서 램프홀더(3)의 착탈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접촉부(15')에 상기 램프홀더(3)에 구비된 단자(6)의 접촉부(6')와 상대 이동되면서 접촉되거나 분리되므로 단자(15)에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단자(15)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단자(15)가 상기 단자고정부(1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틀어지게 되어 단자(6)와의 전기적인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구성품을 일체로 만든 단자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단자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단자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자브라켓의 구비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c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d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램프하우징 32: 통공
33: 관통슬롯 34: 단자홈
40: 단자브라켓 41: 링형본체
41': 통공 43: 체결캡
45: 플랜지 46: 걸림턱
47: 체결돌기 48: 장착가이드
50,50': 단자 51: 연결부
52: 인서트부 53: 고정부
53': 고정편 54: 접촉부
55: 진입가이드부 60: 램프홀더어셈블리
62: 걸림돌기 63: 단자
65: 플랜지 67: 손잡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링형본체와, 상기 링형본체의 외주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링형본체에 나사로 체결되는 체결캡과, 상기 링형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 구간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링형본체의 플랜지 내에 매몰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링형본체에서 돌출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는 전선측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일부가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대단자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부를 관통하여서는 고정공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편이 상기 인서트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의 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는 상대단자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곡면을 구비하는 진입가이드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은 구성품이 간소화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고, 단자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여 외력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나 설치위치 변경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의 구성이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하우징(30)에는 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관통슬롯(3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33)은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삽입시 걸림돌기(6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램프하우징(30)은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요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로 상기 램프하우징(30)은 다수개의 통공(32)을 구비하고, 램프가 구비되는 부분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통공(32)에는 상기 관통슬롯(33)외에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45)의 접촉부(45')가 위치되는 단자홈(3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홈(34)은 상기 관통슬롯(33)의 사이사이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을 기준으로 양단에는 서로 대응되게 체결리브(3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35)는 상기 램프하우징(3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체결공(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램프하우징(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브라켓(40)이나 램프홀더(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통공(32)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램프하우징(30)의 일면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단자브라켓(40)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브라켓(40)은 링형본체(41)에 다수개의 단자(50)가 인서트몰딩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링형본체(4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형몸체(41)의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4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1')은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링형본체(41)의 양단에는 체결캡(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캡(43)에는 일측으로 개구되게 체결요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요홈(44)은 상기 체결리브(35)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체결리브(35)의 형상은 상단이 잘라진 원뿔기둥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캡(43)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요홈(44)과 연통되게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을 관통하여 상기 단자브라켓(40)을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s)가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캡(43)은 상기 링형본체(41)의 외주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형본체(41)의 외주면에는 도 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플랜지(45)가 소정 폭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5)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상기 각각의 체결캡(43)의 양측으로 소정 길이만큼씩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5)의 두께는 상기 링형본체(41)보다는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45)의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50)가 인서트되어 고정된다.
상기 링형본체(41)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4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6)은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61) 측에 구비되는 걸림돌기(62)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회전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즉, 상기 걸림턱(46)에는 소정의 경사지게 가이드면(46g)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46g)의 끝부분에는 스토퍼면(46s)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6g)의 선단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를 이루는 진입안내면(4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6)은 본 실시예에서 4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적어도 2개에는 상기 가이드면(46g)에 체결돌기(4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7)는 상기 걸림턱(46)과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62)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브라켓(40)의 일측에는 장착가이드(4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가이드(48)는 상기 단자브라켓(40)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형본체(4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랜지(45)에는 다수개의 단자(50,50')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단자(50,50')는 상기링형본체(41)의 제작시에 금형내에 인서트되어 링형본체(41)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50,50')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자(50,50')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어셈블리(60)에 구비되는 단자(63)로 외부에서 전달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50,50')의 일단부에는 연결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1)는 외부의 전원을 전달하는 연결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플랜지(45)에서 소정의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연결부(51)는 링형본체(41)의 원심방향으로 전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1)와 연결되어서는 인서트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부(52)는 상기 링형본체(41)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부분으로 단자브라켓(40)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인서트부(52)에는 고정공(52')이 천공된다.(도 4b에서는 도면의 방향 때문에 보이지 않음) 상기 고정공(52')을 통해 링형본체(41)를 형성하는 재료가 서로 연결되어 인서트부(52)가 링형본체(41)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52)는 상기 플랜지(45)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인서트부(52)의 일단부에는 고정부(53)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3)는 상기 플랜지(45)의 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부(53)도 일부 플랜지(45)에 인서트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53)의 일부를 잘라내어 절곡하여 고정편(53')이 형성된다. 상기고정편(53')은 상기 인서트부(52)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편(53')은 상기 플랜지(45)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53')도 단자(50,50')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53)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접촉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54)의 표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54)는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단자(63)의 접촉부(6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부(54)는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형본체(4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의 단자홈(34)에 안착된다. 상기 접촉부(63')의 일면은 상기 통공(41')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53)의 일측에는 진입가이드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가이드부(55)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을 구비한다. 상기 진입가이드부(55)는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장착시에 단자(63)가 상기 접촉부(54)로 진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진입가이드부(55)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턱(46)의 진입안내면(46')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구성을 살펴본다.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골격을 램프홀더(61)가 형성한다. 상기 램프홀더(6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브라켓(40)의 링형본체(41)와 같이 같이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램프홀더(61)의 선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을 관통한다. 상기 램프홀더(61)의 선단 내부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장착공간(61')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61)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62)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62)는 반드시 램프홀더(61)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램프홀더(61)에 장착되는 별도의 부품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돌기(62)에는 상기 체결돌기(47)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체결요홈(62')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61)의 외주면에는 단자(63)의 접촉부(63')가 노출된다. 상기 단자(63)의 접촉부(63')는 상기 램프하우징(30)에 램프홀더어셈블리(6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단자브라켓(40)에 구비되는 단자(50)의 접촉부(54)와 접촉된다. 상기 단자(63)는 상기 장착공간(61')의 내부에서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램프홀더(61)의 후단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 플랜지(65)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5)가 형성된 램프홀더(61)의 후단에는 상기 램프홀더(61)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6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67)는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60)를 착탈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68은 램프홀더(61)의 플랜지(65)와 램프하우징(30) 사이의 수밀을 위한 실링부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단자브라켓(40)은 스크류(s)로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브라켓(40)의 통공(41')이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과 서로 일치하게 된다. 상기 단자브라켓(40)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체결되면, 상기 단자(50,50')의 접촉부(54)가 상기 통공(32)의 단자홈(34)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60)를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을 관통하여 삽입하면, 상기 램프홀더(61)에 구비된 단자(63)의 접촉부(63')는 그 일단부가 상기 단자브라켓(40)에 구비된 단자(50,50')의 진입가이드부(55)와 서로마주보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7)를 잡아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60)를 회전시키면, 상기 단자(63)의 접촉부(63')는 상기 진입가이드부(55)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접촉부(54)와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턱(46)의 진입안내면(46')에 상기 걸림돌기(62)가 안내되어 상기 스토퍼면(46s)에 걸릴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면(46s)에 상기 걸림돌기(62)가 걸어지면 램프홀더어셈블리(60)의 장착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46)의 체결돌기(47)가 상기 걸림돌기(62)의 체결홈(62')에 안착된다. 따라서, 걸림턱(46)과 걸림돌기(62)사이의 결합상태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60)가 램프하우징(3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단자브라켓(40)에 구비된 단자(50,50')의 연결부(51)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선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이 상기 단자(50,50')를 통해상기 단자(63)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60)에 장착된 램프로 단자(63)를 통해 공급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브라켓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단자브라켓에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단자브라켓을 램프하우징에 단지 스크류를 사용하여 체결하기만 하면 단자가 램프하우징의 통공내에 위치될 수 있어 부품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단자브라켓의 조립작업이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단자가 단자브라켓을 구성하는 링형본체의 플랜지에 일체로 인서트 되어 있어 상대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의 강도가 강해지고 사용중에 위치가 틀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단자의 인서트부와 고정부의 고정편이 링형본체 내에 일체로 인서트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Claims (6)

  1. 삭제
  2. 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링형본체와,
    상기 링형본체의 외주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링형본체에 나사로 체결되는 체결캡과,
    상기 링형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 구간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링형본체의 플랜지 내에 매몰되어 고정되고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링형본체에서 돌출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브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전선측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일부가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대단자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브라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를 관통하여서는 고정공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편이 상기 인서트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브라켓.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브라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는 상대단자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곡면을 구비하는 진입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브라켓.
KR20-2003-0035151U 2003-11-10 2003-11-10 단자브라켓 KR200344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51U KR200344509Y1 (ko) 2003-11-10 2003-11-10 단자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51U KR200344509Y1 (ko) 2003-11-10 2003-11-10 단자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09Y1 true KR200344509Y1 (ko) 2004-03-11

Family

ID=4942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51U KR200344509Y1 (ko) 2003-11-10 2003-11-10 단자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926A (ko) * 2014-09-05 2016-03-16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90143002A (ko)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926A (ko) * 2014-09-05 2016-03-16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651738B1 (ko) * 2014-09-05 2016-08-29 케이유엠 유한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90143002A (ko)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KR102554860B1 (ko) * 2018-06-19 2023-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5907B2 (ja)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US6780068B2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US6945829B2 (en) Self-locking screw connection
US6752659B2 (en) Waterproof connector
JP2916572B2 (ja) 防水コネクタのパッキン固定方法及びその構造
JPH08339861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CN109768419B (zh) 连接器
JPH1015454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25443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tive lamp
US5398532A (en) Modular wiring harness for electronic vehicle ignition lock
KR100985777B1 (ko) 케이블 연결 장치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KR100563471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US632240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JP5672140B2 (ja) ゴム栓抜止部材の取付構造
JPH0741108Y2 (ja) ピンプラグ
US6585539B2 (en) Panel attachment configuration for a connector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US4660919A (en) Lamp socket
EP1178574A1 (en) Industrial inline electrical socket/plug
US5729898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socket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KR200261825Y1 (ko) 유연 케이스를 갖는 전선커넥터 콘센트
CN217848378U (zh) 连接器模块和连接器
US11081831B2 (en) Waterpro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