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38B1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38B1
KR101651738B1 KR1020140118777A KR20140118777A KR101651738B1 KR 101651738 B1 KR101651738 B1 KR 101651738B1 KR 1020140118777 A KR1020140118777 A KR 1020140118777A KR 20140118777 A KR20140118777 A KR 20140118777A KR 101651738 B1 KR101651738 B1 KR 10165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ocket
bracket
lamp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926A (ko
Inventor
전성원
허일태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7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8Snap-fit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1/55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체결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단자의 외부 노출 방지와 와이어의 비정렬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장착돌기 및 전원단자가 외주면에 마련되고 램프의 조립을 위한 설치홈이 선단에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이 관통되는 제1장착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장착공의 둘레에 제1안내홈이 형성되며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공, 상기 제1안내홈, 상기 결합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장착공, 제2안내홈, 결합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중계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LAMP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체결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단자의 외부 노출 방지와 와이어의 비정렬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시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그리고 차량의 주행상태를 다른 차량에게 알리기 위하여 램프 장치가 구비된다. 램프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램프로 구분된다. 리어램프는, 차량 운행 중 정지시 점등되는 제동등, 후진시 점등되는 후진등, 방향 전환시 점등되는 방향지시등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정지, 후진, 방향 전환 등의 주행상태를 복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콤비네이션(combination)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램프 장치는,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lamp)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구비된 소켓(socket)을 포함한다. 이때, 소켓은 램프를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801호(2006.11.03.)에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10)와, 램프(10)가 장착되며 양극단자(30)와 음극단자(32)가 조립되는 소켓(34)과, 소켓(34)을 램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2)로 구성된다. 브라켓(12)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중공의 고정체(14)가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12)의 설치 시 램프 하우징(22)의 돌출부(24)가 고정체(14)에 삽입되고, 체결볼트(11)에 의해 램프 하우징(22)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볼트(11)로는 돌출부(22)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내며 체결될 수 있는 태핑스크루(tapping screw)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브라켓(1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14)를 추가로 형성할 경우 브라켓(12)의 부피가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램프 어셈블리의 레이아웃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태핑스크루의 사용으로 램프 어셈블리의 체결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용되는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늘어나므로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중계단자(18)가 브라켓(12)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설치과정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72748호(2009.07.0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램프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체결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단자의 외부 노출 방지와 와이어의 비정렬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장착돌기 및 전원단자가 외주면에 마련되고 램프의 조립을 위한 설치홈이 선단에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이 관통되는 제1장착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장착공의 둘레에 제1안내홈이 형성되며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공, 상기 제1안내홈, 상기 결합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장착공, 제2안내홈, 결합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중계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장착공이 형성된 링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에 마련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계단자의 설치를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그 일단이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개방된다.
상기 플랜지의 후면에는 상기 중계단자에 연결된 와이어를 정렬하기 위한 후크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는 상기 몸체와 이격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홈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의 결합 시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안내홈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소켓의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플랜지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브라켓과 램프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브라켓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램프 어셈블리의 설치 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의 레이아웃과 관련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브라켓이 램프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결합 시 태핑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이 필요치 않아 체결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품수를 경감하고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바,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몸체를 따라 중계단자가 배치되고, 와이어가 몸체를 감싸도록 정렬되어 중계단자의 외부 노출 방지 및 와이어의 비정렬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부품과 간섭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링 형상의 브라켓은 램프 어셈블리의 설치 시 방향성을 갖지 않으므로, 램프의 필라멘트를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어 배광(配光, light distribution)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중 램프 하우징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중 브라켓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배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 하우징(110)과, 램프 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120)과, 램프 하우징(110)과 브라켓(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소켓(130)과, 램프 하우징(110)과 소켓(130)의 사이에 개재된 패킹(180)을 포함한다. 이때, 브라켓(120)과 소켓(13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중계단자(140)와 전원단자(150)가 각각 마련되고, 소켓(130)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160)가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구성요소(110~15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램프 하우징(110)을 도시한 도면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소켓(130)이 장착되는 후방 패널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램프 하우징(110)에는 소켓(130)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공(111)이 마련된다. 제1장착공(111)의 둘레에는, 소켓(130)의 장착방향을 안내하는 제1안내홈(112)과, 브라켓(120)을 고정시키는 결합돌기(113)가 형성된다. 또한, 제1장착공(111)의 둘레에는 브라켓(1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봉(114)이 형성된다.
제1안내홈(112), 결합돌기(113), 안내봉(114)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제1안내홈(112)은 제1장착공(111)의 상부 우측과 하부 좌측에 위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결합돌기(113)는 제1장착공(111)의 상부 좌측 및 하부 우측에 각각 위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안내봉(114)은 제1장착공(111)의 좌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예시된 것처럼, 제1안내홈(112)과 결합돌기(113)를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할 경우 램프 하우징(110)에 결합 및 장착되는 브라켓(120) 및 소켓(1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안내봉(114)을 제1장착공(111)의 좌측에만 배치할 경우 브라켓(1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브라켓(120)의 오조립(상부와 하부가 뒤집히는 조립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113)는 램프 하우징(110)에 결합된 브라켓(120)을 1차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다. 결합돌기(113)는 램프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브라켓(120)의 결합 시 후술할 결합홈(123)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돌기(113)의 내측면에는 브라켓(120)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걸림홈(115)이 형성된다. 걸림홈(115)은 결합돌기(113)의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며, 브라켓(120)의 결합 시 후술할 걸림돌기(도 5의 124)가 삽입된다(도 3 참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0)은, 링 형상의 몸체(120a)와, 몸체(120a)의 전단 외주연에 마련된 플랜지(120b)로 이루어진다.
몸체(120a)에는 소켓(130)의 설치를 위한 제2장착공(121)이 형성된다. 몸체(120a)의 내주면(제2장착공(121)의 벽면)에는, 소켓(130)의 장착방향을 안내하는 제2안내홈(122)과, 브라켓(120)의 장착 시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는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제2안내홈(122)은 제1안내홈(112)과 동일한 단면 형상, 즉 소켓(130)의 장착돌기(132)가 관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브라켓(120)의 결합 시 제1안내홈(112)의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제2안내홈(122)의 전면 일측(도면 상 반시계방향 측)은 경사면(122s)으로 형성된다.
소켓(130)의 장착과정은, 제1화살표방향(A)으로 소켓(130)을 이동시키는 제1단계와, 제2화살표방향(B)으로 소켓(130)을 회전시켜 고정하는 제2단계로 구분된다(도 9 참조). 이때, 소켓(130)을 회전시키는 제2단계에서 장착돌기(130)가 경사면(122s)을 따라 이동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소켓(130)을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소켓(130)의 회전 시 플랜지(133)가 패킹(도 180)을 가압하므로 램프 하우징(110)과 소켓(130) 사이를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다.
한편, 경사면(122s)과 인접한 위치에는 고정홈(127)이 형성된다. 고정홈(127)은 경사면(122s)을 따라 이동한 장착돌기(130)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장착돌기(130)가 고정홈(1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돌기(127)의 후면에는 고정홈(127)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도 2의 134)가 형성된다.
결합홈(123)은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결합홈(123)의 내부에는 걸림홈(115)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24)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123)은 브라켓(120)을 1차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고, 걸림돌기(124)는 브라켓(120)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이다. 이처럼, 결합돌기(113), 결합홈(123) 및 걸림홈(115), 걸림돌기(124)를 이용할 경우 브라켓(120)을 램프 하우징(110)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몸체(120a)의 외주면에는 중계단자(140)의 설치를 위한 삽입홈(125)이 형성된다. 삽입홈(125)은 몸체(120a)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 일단이 제2장착공(121)의 내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삽입홈(124)에 설치된 중계단자(140)가 브라켓(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합선 및 간섭의 우려가 없다. 또한, 중계단자(140)의 일단이 제2장착공(121)의 내측으로 노출되므로 소켓(130)의 장착 시 전원단자(150)와 접촉이 가능하다.
플랜지(120b)의 후면에는 중계단자(140)에 연결된 와이어(170)를 정렬하기 위한 후크(126)가 설치된다. 후크(126)는 몸체(120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고, 플랜지(120b)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어(170)의 비정렬로 인한 단선 및 간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몸체(120a)에는 브라켓(120)의 결합 시 안내봉(114)이 삽입되는 안내공(128)이 형성된다. 안내공(128)은 안내봉(114)과 함께 브라켓(1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오조립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진 원기둥 형상이다. 소켓(130)의 전면에는 설치홈(131)이 형성되고, 설치홈(131)에는 램프(160)가 조립된다. 소켓(130)의 중단 외주면에는 장착돌기(132)가 형성되며, 후단 외주면에는 플랜지(133)가 형성된다. 장착돌기(132)와 플랜지(133)는 소켓(130)의 장착 시 브라켓(120)의 전면과 램프 하우징(110)의 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소켓(130)을 고정한다. 이때, 장착돌기(132)의 후면에는 고정돌기(134)가 형성되고, 고정돌기(134)는 소켓(130)의 장착 시 고정홈(127)에 삽입된다.
중계단자(140)와 전원단자(150)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램프(16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중계단자(140)와 전원단자(150)는 브라켓(120)과 소켓(130)에 각각 설치되어, 와이어(17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램프(160)에 전달함으로써 램프(160)가 점등되도록 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은, 브라켓(120)을 결합하는 단계와, 소켓(130)을 장착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브라켓(120)을 램프 하우징(110)에 결합하기에 앞서, 중계단자(140)를 브라켓(120)에 설치한다(도 8 참조). 중계단자(140)가 조립된 브라켓(120)을 램프 하우징(110)에 전방에 위치시킨 후 안내봉(114)와 안내공(128)을 이용하여 브라켓(120)을 결합시킨다. 이때, 안내봉(114)은 결합돌기(113)에 비해 전방으로 더 돌출되므로 브라켓(120)의 결합 시 안내공(128)에 먼저 삽입되어 브라켓(1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안내봉(114)의 선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안내봉(114)과 안내공(128)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브라켓(120)의 위치를 보정한다.
안내봉(114)을 안내공(128)에 삽입한 후 브라켓(120)을 램프 하우징(110) 측으로 가압하면, 결합돌기(113)가 결합홈(123)에 삽입됨과 동시에 걸림돌기(124)가 걸림홈(115)에 삽입된다(도 3 참조). 즉, 결합돌기(113)가 결합홈(123)에 삽입되어 브라켓(120)을 1차적으로 고정하고, 걸림돌기(124)가 걸림홈(115)에 삽입되어 브라켓(120)을 2차적으로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30)의 장착과정은, 제1화살표방향(A)으로 소켓(130)을 이동시키는 제1단계와, 제2화살표방향(B)으로 소켓(130)을 회전시켜 고정하는 제2단계로 구분된다(도 9 참조).
먼저, 소켓(130)의 장착돌기(132)를 제1 및 제2안내홈(112,122)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제1화살표방향(A)으로 이동시키면, 소켓(130)이 제1 및 제2장착공(111,121)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소켓(1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화살표방향(B)으로 소켓(1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장착돌기(130)가 경사면(122s)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플랜지(133)가 패킹(도 180)을 가압한다.
그 후, 소켓(130)을 더 회전시키면 경사면(122s)과 인접한 고정홈(127)에 고정돌기(도 5의 127)가 삽입되어 소켓(130)을 고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램프 하우징 120: 브라켓
130: 소켓 140: 중계단자
150: 전원단자 160: 램프
170: 와이어 180: 패킹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장착돌기 및 전원단자가 외주면에 마련되고, 램프의 조립을 위한 설치홈이 선단에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이 관통되는 제1장착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장착공의 둘레에 제1안내홈이 형성되며,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램프 하우징;
    링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단에 마련된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공, 상기 제1안내홈, 상기 결합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장착공, 제2안내홈,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마련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중계단자; 및
    상기 플랜지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와 이격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계단자에 연결된 와이어를 정렬하기 위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램프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홈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홈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결합 시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안내홈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소켓의 회전 시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플랜지의 전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전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에는 안내봉이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과 상기 소켓의 사이에 패킹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0140118777A 2014-09-05 2014-09-05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6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77A KR101651738B1 (ko) 2014-09-05 2014-09-05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77A KR101651738B1 (ko) 2014-09-05 2014-09-05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26A KR20160029926A (ko) 2016-03-16
KR101651738B1 true KR101651738B1 (ko) 2016-08-29

Family

ID=5564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777A KR101651738B1 (ko) 2014-09-05 2014-09-05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4565B2 (ja) * 2018-11-13 2022-12-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11396988B2 (en) * 2020-11-16 2022-07-26 Morimoto Lighting, LLC Vehicle LED lamp having a bulb base tensioning spring
KR102551500B1 (ko) * 2021-06-03 2023-07-05 주식회사 브라비오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509Y1 (ko) * 2003-11-10 2004-03-11 삼립산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JP2006506777A (ja) 2002-11-14 2006-02-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ランプ固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0837A (ja) * 1981-12-11 1983-06-15 Kyocera Corp 交換レンズの絞り制御装置
KR20080004166U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100917897B1 (ko) 2007-12-28 2009-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홀더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777A (ja) 2002-11-14 2006-02-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ランプ固定システム
KR200344509Y1 (ko) * 2003-11-10 2004-03-11 삼립산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26A (ko)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66825A1 (en) Clamp
KR101651738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N102806937A (zh) 一种组合开关的安装装置
CN111853572A (zh) 一种防水条形灯
KR20060054046A (ko) 자동차 분야용 조명 유닛
KR200456665Y1 (ko) 엘이디등의 엔드 캡
JPH11219764A (ja) ソケットプラグ
US6454450B1 (en) Vehicular lamp
KR200420505Y1 (ko) 조명기구용 조명판의 구조
CN1644981B (zh) 汽车前照灯的装配工具
CN203615279U (zh) 一种可拆卸灯管堵头及led日光灯
KR101755696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206540032U (zh) 导光条安装结构及灯具光源结构
KR200482605Y1 (ko)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US20130229821A1 (en)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lighting unit
JP6406961B2 (ja) 照明ユニット係止構造
CN216789932U (zh) 面板灯
CN209458847U (zh) 一种光导护套结构及车灯
CN219550376U (zh) 便于装配的led车灯及车灯总成
KR20120060639A (ko) 차량용 충전 커넥터의 씰링 구조
CN218975864U (zh) 暗盒修复器
KR101585426B1 (ko) 변속기 케이블 체결구조
CN212746075U (zh) 一种防水条形灯
ITTO20001172A1 (it) Sistema di punto luminoso elettrico con sorgente incandescente o alogena.
KR102673379B1 (ko) 벌브 홀더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