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02Y1 -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02Y1
KR200430802Y1 KR2020060022650U KR20060022650U KR200430802Y1 KR 200430802 Y1 KR200430802 Y1 KR 200430802Y1 KR 2020060022650 U KR2020060022650 U KR 2020060022650U KR 20060022650 U KR20060022650 U KR 20060022650U KR 200430802 Y1 KR200430802 Y1 KR 200430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connector
wire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혁
안홍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장자리를 둘러 삽입요홈이 형성된 원형의 커넥터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장착공을 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삽입요홈을 관통한 결합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와 후크레버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통공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 방향으로 회전방지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상기 회전방지편이 삽입되는 회전방지슬롯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에 와이어커넥터를 이중으로 결합하게 되어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헤드램프조립체의 동작신뢰성과 내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헤드램프, 와이어, 커넥터, 헤드램프하우징, 턴방식, 장착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Wire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헤드램프하우징 22: 커넥터장착공
24: 삽입요홈 26: 결합돌기
28: 회전방지편 30: 제1와이어커넥터
32; 제1커넥터몸체 34: 플랜지
34': 단차부 35: 관통부
35': 와이어가이드부 36: 결합대
36': 결합안내면 37: 결합요홈
38: 결합가이드 39: 후크돌기
40: 제2와이어커넥터 42: 제2커넥터몸체
44: 결합부 45: 와이어가이드부
47: 회전방지슬롯 49: 후크레버
본 고안은 와이어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조립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를 헤드램프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에서 연결하는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제조되는 헤드램프조립체는 엔진룸내로 노출되는 헤드램프하우징의 외관에 복잡하게 와이어가 배치되지 않도록 와이어 커넥터를 사용하여 헤드램프조립체의 내부와 외부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와이어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채용되는 헤드램프조립체의 요부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드램프하우징(1)은 전면이 오목하게 요입되고 배면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배면은 엔진룸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전면에는 램프에서 나오는 광이 통과되는 램프렌즈(도시되지 않음)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1)을 요입되게 형성된 전면방향에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는 헤드램프, 포지션램프, 턴시그널램프 등 다수개의 램프가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각각 헤드램프설치부(3), 포지션램프설치부(5), 턴시그널램프설치부(7)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설치부(3,5,7)들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포지션램프설치부(5)와 턴시그널램프설치부(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램프브라켓(5',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램프브라켓(5',7')에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로 전달된 와이어(18)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램프설치부(5,7)에 설치되는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내부 와이어커넥터(9)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와이어커넥터와 협력하여 헤드램프하우징(1)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쪽으로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공급을 위한 모든 와이어는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를 통해서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의 외관을 몰드물인 내부커넥터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측 외주면을 둘러서는 장착플랜지(11)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플랜지(11)를 기준으로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측은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단부에는 커넥터연결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연결부(12)는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들의 선단에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외부 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 이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타단부는 와이어안내부(13)이다. 상기 와이어안내부(13)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18)들이 내부 와이어커넥터(9)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과 연결되기 위해 인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중 상기 와이어안내부(13)가 구비되는 상기 장착플랜지(11)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걸이후크(15)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와이어안내부(13)의 주변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 형성된 커넥터통공(9')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후크(15)와 함께 상기 와이어안내부(13)를 둘러서는 가이드리브(1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7)는 상기 커넥터통공(9')에 내부커넥터몸체(10)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후크(15)와 가이드리브(17)를 둘러서 상기 장착플랜지(11)에 안착되도록 시일(17')이 구비된다. 상기 시일(17')은 헤드램프하우징(1)과 내부커넥터몸체(10)사이를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와이어안내부(13)를 통해 안내되어 내부커넥터몸체(10)의 내부에서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18)들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 구비되는 각각의 브라켓(5',7')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5',7')에 램프가 장착됨에 의해 와이어(18)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와이어(18)중 일부에는 별도의 연결커넥터(19)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커넥터(19)는 헤드램프에 연결되어 헤드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에는 내부에 터미널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18)가 이미 터미널과 연결된 상태로 헤드램프하우징(1)에 장착된다. 즉,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와이어안내부(13)가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15)는 상기 와이어안내부(13)가 연장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장착플랜지(11)에서 연장되게 구비되므로, 종래의 내부커넥터몸체(10)는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상기 커넥터통공(9')을 통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에 연결되는 와이어(18)와 와이어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연결커넥터(19)는 미리 상기 커넥터통공(9')을 통과해서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 걸이후크(15)에 의해서만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걸이후크(15)는 헤드램프하우징(1)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에 결합된 와이어가 불의의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경우에 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된 헤드램프커넥터(9)가 헤드램프하우징(1)에서 탈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는 걸이후크(15)에 의해서만 헤드램프하우징(1)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부와이어커넥터는 내부와이어커넥터(9)에만 결합되어 장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방식은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와이어커넥터통공(9')에 바로 삽입되어 상기 걸이후크(15)가 상기 와이어커넥터통공(9')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게 하는 구조에서,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가 상기 와이어커넥터통공(9')에 회전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설계를 변경하였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헤드램프조립체의 유지보수는 용이하나 상기 내부와이어커넥터(9)와 외부와이어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헤드램프하우징(1)에 대해 장착된 상태가 쉽게 해지되어 헤드램프조립체 내부로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램프조립체의 유지보수성이 좋은 회전장착방식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를 헤드램프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가장자리를 둘러 삽입요홈이 형성된 원형의 커넥터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장착공을 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삽입요홈을 관통한 결합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터 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와 후크레버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통공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 방향으로 회전방지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상기 회전방지편이 삽입되는 회전방지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에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삽입요홈의 일측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삽입요홈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착된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몸체는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반대쪽에는 와이어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중 상기 플랜지에 인접한 제1커넥터몸체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결합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에 와이어커넥터를 이중으로 결합하게 되어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헤드램프조립체의 동작신뢰성과 내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드램프하우징(2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커넥터장착공(22)이 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삽입요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요홈(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결합대(36)나 후크돌기(39) 등이 헤드램프하우징(2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헤드램프하우징(20)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6)는 상기 삽입요홈(2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6)는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원기둥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으로 자른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돌기(26)는 상기 삽입요홈(24)마다 대응되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회전방지편(2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편(28)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편(28)은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와이어커넥터(40)의 결합부(44)와 대응되는 곡면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편(28)은 상기 결합돌기(26)가 형성된 쪽 면에서 직립되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와이어커넥터(30)는 외관을 제1커넥터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상인데, 그 일측에는 외면을 둘러 플랜지(34)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4)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의 일면에 시일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된다. 이는 방수를 위함이다.
상기 플랜지(34)를 기준으로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관통부(35)와 와이어가이드부(35')로 나누어진다. 상기 관통부(35)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관통하는 부분이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6')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관통하지는 않는다.
상기 관통부(35)중 상기 플랜지(34)와 인접한 부분은 관통부(35)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된 단차부(34)이다. 상기 단차부(34)의 외경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내경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지고, 외면이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단차부(34)의 외면 선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결합대(3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36)는 상기 단차부(34)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요홈(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36)에는 각각 일방향으로 결합안내면(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36')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에 삽입되어 회전되어 헤드램프하우징(20)에 장착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대(36)중에는 일부에 결합요홈(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37)은 상기 결합돌기(26)가 안착되어 헤드램프하우징(20)과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되어 일정 이하의 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부(35)중 단차부(34')를 제외한 외면에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의 결합가이드(3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와이어커넥터(40)의 내부에 형성되는 대응되는 채널(도시되지 않음)과 협력하여 와이어커넥터(30,40) 사이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관통부(35)의 외면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와이어커넥터(40)와의 체결을 위한 후크돌기(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돌기(39)는 상기 결합대(36)중 어느 하나와 같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길이방향 가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삽입요홈(24)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와이어커넥터(40)의 외관을 제2커넥터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의 선단에는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관통부(35)가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의 후단에는 와이어가이드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44)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부(45)를 통해 상기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의 결합부(44)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37)의 회전방지편(28)이 삽입되는 회전방지슬롯(47)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슬롯(47)에는 상기 회전방지편(28)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에는 상기 제1커넥터몸체(30)의 후크돌기(39)에 결합되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제2와이어커넥터(40)와 결합되게 하는 후크레버(48)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레버(49)는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에 일체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돌기(39)에 결합될 때, 탄성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먼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결합대(36)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삽입요홈(24)을 통과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대(36)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5')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대(36)의 결합안내면(36')이 상기 삽입요홈(24)의 일측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플랜지(34)가 상기 헤드 램프하우징(20)에 시일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는 상기 결합대(36)의 결합요홈(37)에 상기 결합돌기(26)가 안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대해 더 회전되지 않도록 별도의 스토퍼를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장착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를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 및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관통부(35)가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의 결합부(44)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의 회전방지슬롯(47)에는 상기 회전방지편(28)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결합되는 것은 상기 후크레버(49)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후크돌기(39)와 결합되면 된다. 즉, 상기 후크레버(49)와 후크돌기(39)가 결합함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와이어커넥터(3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는 상기 회전방지슬롯(47)에 상기 회전방지편(28)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과 결합된 상태가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다. 이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제2와이어커넥터(40)가 결합되어 있으 므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20)에 와이어커넥터(30,40)가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어떤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전원과 신호연결을 위해 본 고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 회전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 제2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와이어커넥터를 회전식으로 하우징에 장착하므로 와이어커넥터의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 이중으로 결합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와이어커넥터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어 그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방수가 필요한 경우에 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물에 의 해 예를 들어 해드램프조립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가장자리를 둘러 삽입요홈이 형성된 원형의 커넥터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장착공을 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삽입요홈을 관통한 결합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후크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와 후크레버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커넥터통공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 방향으로 회전방지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상기 회전방지편이 삽입되는 회전방지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대에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삽입요홈의 일측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삽입요홈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돌기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몸체는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반대쪽에는 와이어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중 상기 플랜지에 인접한 제1커넥터몸체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결합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
KR2020060022650U 2006-08-23 2006-08-23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KR200430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50U KR200430802Y1 (ko) 2006-08-23 2006-08-23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50U KR200430802Y1 (ko) 2006-08-23 2006-08-23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02Y1 true KR200430802Y1 (ko) 2006-11-13

Family

ID=4177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650U KR200430802Y1 (ko) 2006-08-23 2006-08-23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0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52B1 (ko) * 2007-08-20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위치보증부재
KR101342164B1 (ko) 2011-12-28 2013-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KR2015006815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KR101651653B1 (ko) * 2015-08-24 2016-08-29 주식회사 신화콘텍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20210046385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52B1 (ko) * 2007-08-20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위치보증부재
KR101342164B1 (ko) 2011-12-28 2013-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KR2015006815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KR102095393B1 (ko) * 2013-12-11 2020-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KR101651653B1 (ko) * 2015-08-24 2016-08-29 주식회사 신화콘텍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20210046385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KR102264994B1 (ko) * 2019-10-18 2021-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802Y1 (ko)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US6780068B2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US10063007B2 (en) Wire cover
US20160118757A1 (en) Signal distributor
JP5876903B2 (ja) ハウジング壁へ取付けるグロメット
CN104617436B (zh) 容座形壳体、连接器、以及具有线缆支撑件的连接器布置
JP4992659B2 (ja) コネクタ
US4843193A (en) Reservoir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KR20100009900U (ko) 엘이디등의 엔드 캡
CN111189033B (zh) 便于装配的车灯组件和具有其的车辆
KR100563471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200439560Y1 (ko)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KR200366471Y1 (ko) 헤드램프커넥터와 와이어커넥터의 결합구조
KR100936255B1 (ko) 패널장착형 커넥터어셈블리
US9356378B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with a terminal interface
CN111864454A (zh) 一种防水穿墙连接器
JP6241603B2 (ja) 照明装置
KR101810129B1 (ko) 벌브홀더
KR20180009869A (ko) 차량 도어 커넥터의 와이어 커버 실링구조
KR200312367Y1 (ko) 조인트 커넥터
CN111061016A (zh) 一种具有保护外壳的光纤连接器
KR20090022954A (ko)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KR200223251Y1 (ko) 컨넥터용 전선커버
KR20130086585A (ko)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