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29B1 - 벌브홀더 - Google Patents

벌브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29B1
KR101810129B1 KR1020110110506A KR20110110506A KR101810129B1 KR 101810129 B1 KR101810129 B1 KR 101810129B1 KR 1020110110506 A KR1020110110506 A KR 1020110110506A KR 20110110506 A KR20110110506 A KR 20110110506A KR 101810129 B1 KR101810129 B1 KR 10181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holder
terminal
housing body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128A (ko
Inventor
윤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브홀더는 크게 벌브홀더하우징(10), 프론트홀더(30) 그리고 제1,2,3터미널(40,50,6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선단으로 개방된 벌브슬롯(32)을 통해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하우징몸체(12)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3)으로 벌브(70)의 결합부(74)가 삽입된다. 상기 제1,2 터미널(40,50)에는 상기 벌브(70)의 결합부를 잡아주는 제1 및 제2 그리퍼(44,5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벌브(7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벌브접속부(42,52)도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터미널(40,50)이 벌브(70)와 전기적 결합을 함과 동시에 벌브(7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벌브(70)를 벌브홀더하우징(10) 내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벌브홀더{Bulb holder}
본 발명은 벌브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브가 벌브홀더의 벌브슬롯 내에 터미널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는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벌브홀더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벌브홀더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벌브홀더하우징에 벌브(램프)가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벌브는 상기 터미널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기초로 발광하도록 된다.
참고로, 차량에는 많은 수의 벌브가 사용된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벌브는 조명의 역할을 하는 것과 주변 차량에 대해 주행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벌브는 상가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벌브홀더에 설치되어 벌브홀더 내부의 터미널을 통해 전원과 신호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상기 벌브홀더 내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일측은 상기 벌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의 전원측이나 제어부측과 와이어 또는 또 다른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벌브는 상기 벌브홀더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벌브는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벌브홀더 하우징에 설치된 구조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하지만, 제조공차나 조립공차 등에 의해 상기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벌브홀더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은 그 설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벌브가 상기 터미널에 대해 유동되기 쉬워 전기적 접촉이 불안정해지고 벌브가 벌브하우징에 대해서도 유동되어 설치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벌브가 터미널과의 접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벌브홀더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벌브가 선단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벌브홀더에 있어서, 선단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몸체를 구비하는 벌브홀더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후단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제1그리퍼의 양단에 상기 벌브의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터미널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결합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제2그리퍼와 상기 벌브의 제2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2터미널과 나란히 상기 제1터미널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제3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3터미널과, 상기 벌브홀더하우징의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2,3 터미널을 하우징몸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벌브슬롯이 형성된 프론트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각각 상기 제1,2,3 터미널의 제1,2,3외부접속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2,3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3,슬롯에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슬롯안착부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1,2,3터미널을 고정하며, 상기 제1,2,3 터미널의 각각의 제1,2,3터미널몸체에 직교하여 연장되게 제1,2,3눌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3눌림부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슬롯안착부 선단에 형성된 누름레그에 의해 눌러진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의 제1 및 제2 그리퍼는 상기 벌브의 결합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그리퍼돌부의 걸이면에 걸어져 상기 벌브가 상기 벌브슬롯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리퍼돌부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지지되어 벌브의 삽입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그리퍼돌부의 양단에 위치되는 스토퍼의 폭은 양단의 것이 서로 달리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의 벌브슬롯의 내면에 형성된 키코드와 협력하여 벌브의 삽입방향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벌브와 전기적인 접촉을 수행하는 터미널의 일측에 벌브를 벌브홀더하우징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리퍼를 두어 벌브를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벌브와 벌브홀더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벌브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벌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벌브홀더의 외관과 골격을 벌브홀더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몸체(12)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에는 벌브홀더하우징(10)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후단으로는 폐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후단에 플랜지(14)가 외면을 둘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4)가 형성된 하우징몸체(12)의 배면에는 손잡이(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4)는 대략 원판형상이고, 상기 하우징몸체(12)를 가로질러 손잡이(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8)는 벌브홀더를 램프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등에 장착하고 분리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2)는 원통형상으로 되는데, 이는 벌브홀더를 램프하우징 등의 관통공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램프하우징에 고정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을 둘러서는 장착돌기(18)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8)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8)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장착돌기(18)와 대응되는 절결부를 통과해서 상기 절결부가 없는 부분에 해당되는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돌기(18)중 하나에는 걸림돌기(20)가 상기 플랜지(16)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0)는 상기 장착돌기(18)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잠금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를 둘러서는 홀더걸이공(2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홀더걸이공(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30)를 벌브홀더하우징(1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걸이공(22)이 상기 하우징몸체(1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홀더걸이공(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선단에서부터 하우징몸체(12)의 길이방향으로, 즉 상기 플랜지(14)쪽을 향해 연장되게 제1,2 및 3 슬롯(24,26,28)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4,26,28)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2 및 3 터미널(40,50,60)의 일부분이 통과하여 하우징몸체(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슬롯(24,26,28)들의 최 내측, 즉 상기 플랜지(14)에 인접한 부분들에는 각각 안착면(24',26')(제3슬롯(28)의 안착면은 도면의 방향 때문에 보이지 않아 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4',26')에는 터미널(40,50,60)들의 외부접속단(47,57,67)이 안착된다.
프론트홀더(30)는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선단에 장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50,60)들이 벌브홀더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상기 프론트홀더(30)는 벌브홀더하우징(1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30)는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선단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홀더(30)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벌브슬롯(32)이 형성된다. 상기 벌브슬롯(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70)의 결합부(74)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벌브슬롯(32)은 그 횡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벌브슬롯(32)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키코드(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키코드(33)는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70)의 삽입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키코드(33)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달리하여 벌브(70)와 벌브홀더가 서로 일치하는 것일 경우에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선단에는 돌출단(34)이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단(34)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이다. 상기 돌출단(34)의 전면 중앙을 가로질러 상기 벌브슬롯(32)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돌출단(34)을 제외한 상기 프론트홀더(3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으로 들어갈 수 있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외측면을 둘러서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홀더걸이공(22)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6)는 상기 홀더걸이공(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슬롯안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8)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슬롯(24,26,28)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프론트홀더(30)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프론트홀더(30)는 상기 슬롯(24,26,28)들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8)의 선단에는 누름레그(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레그(39)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50,60)을 하우징몸체(12)의 내부에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레그(39)는 상기 슬롯안착부(38)의 외면에 대해 단차지게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안착면(24',26')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2,3 터미널(40,50,60)들이 설치된다. 이들 터미널(40,50,60)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70)와 전원 또는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터미널(40,50,60)들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먼저, 제1 터미널(40)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터미널(40)은 골격을 형성하는 제1터미널몸체(41)의 양측에 각각 제1벌브접속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41)는 예를 들면 제1벌브접속부(42)나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구성들과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벌브접속부(42)는 그 일부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41)에서 길게 연장되고 그 선단에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접속돌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돌부(43)는 상기 제1벌브접속부(4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1접속돌부(43)는 벌브(70)의 제1접속부(78)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제1벌브접속부(42)는 탄성변형가능하므로 상기 제1접속돌부(43)가 복원력에 의해 벌브(70)의 제1접속부(78)에 밀착된다.
상기 제1벌브접속부(42)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41)에서 연장되게 제1그리퍼(44)가 구비된다. 상기 제1그리퍼(44)도 상기 제1벌브접속부(42)가 상기 제1터미널몸체(41)에서 처음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1그리퍼(44)의 선단에는 제1걸이돌부(45)가 상기 제1접속돌부(43)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돌부(45)는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70)의 그리퍼돌부(7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터미널몸체(41)에서 상기 제1그리퍼(44)의 반대쪽에는 제1눌림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눌림부(46)는 상기 제1터미널몸체(41)에서 직교하게 연장된다. 상기 눌림부(46)는 상기 프론트홀더(30)의 누름레그(39)에 의해 눌러지는 부분이다.
상기 눌림부(46)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제1외부접속단(47)이 구비된다.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은 본 실시예에서 그 종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의 선단에는 제1돌출부(4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의 선단은 상기 제1슬롯(24)을 통해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48)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보다 돌출된다.
상기 제1터미널(40)과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내에는 상기 제2 및 제3 터미널(50,6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및 제3 터미널(50,60)은 마치 상기 제1터미널(40)을 분리해 놓은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먼저, 상기 제2터미널(50)은 제2터미널몸체(51)에서 연장되어 제2벌브접속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벌브접속부(52)는 상기 제1벌브접속부(42)와 마찬가지로 형상이 만들어지는데, 선단에 제2접속부(53)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접속부(53)는 상기 제2벌브접속부(52)가 제2터미널몸체(51)에서 처음에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53)는 벌브(70)의 제2접속부(7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벌브접속부(52)와 나란히 연장되게 제2그리퍼(54)가 형성된다. 상기 제2그리퍼(54)의 선단에는 제2걸이돌부(55)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돌부(55)는 상기 제2그리퍼(54)의 연장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50)에도 상기 제2터미널몸체(51)에 직교하게 상기 제2그리퍼(54)의 반대쪽에 제2눌림부(56)가 구비된다. 상기 제2눌림부(56)는 상기 프론트홀더(30)의 누름레그(39)에 의해 눌러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눌림부(56)에 연장되어서 제2외부접속단(57)이 구비된다. 상기 제2외부접속단(57) 역시 상기 제1외부접속단(47)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선단에는 제2돌기부(5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외부접속단(57)은 상기 제2슬롯(26)의 외부로 선단이 노출되고 상기 제2돌기부(58)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터미널(60)은 제3터미널몸체(61)에서 일측으로 제3벌브접속부(62)가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벌브접속부(62)의 형상은 상기 제1 및 제2 벌브접속부(42,52)와 거의 같다. 상기 제3벌브접속부(62)의 선단에는 제3접속돌부(63)가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터미널(60)에는 그리퍼가 없다.
상기 제3터미널(60)에는 상기 제3벌브접속부(62)의 반대쪽에 상기 제3터미널몸체(61)에 직교하게 제3눌림부(66)가 연장된다. 상기 제3눌림부(66)도 상기 프론트홀더(30)의 누름레그(39)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제3눌림부(66)에서 연장되어 제3외부접속단(67)이 구비된다. 상기 제3외부접속단(67)의 형상도 그 종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3외부접속단(67)의 선단에는 제3돌출부(6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돌출부(68)는 다른 돌출부(48,58)들과 마찬가지로 반대쪽 면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벌브홀더에 장착되는 벌브(70)의 구성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벌브(70)는 크게 발광부(72)와 결합부(74)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72)는 대략 구형상이나 럭비공의 일부형상 등으로 만들어지고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부(72)의 내부에는 발광을 위한 구성이 있다.
상기 결합부(74)는 상기 벌브슬롯(32)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육면체 형상인데,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결합부(74)의 양측 외면에는 그리퍼돌부(7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리퍼돌부(76)는 상기 결합부(74)의 끝부분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76')이 있고, 그 반대쪽, 즉 상기 발광부(72)쪽에는 거의 결합부(74)의 외면에 직교한 걸이면(76")이 있다. 상기 걸이면(76")에 상기 그리퍼(44,54)의 걸이돌부(45,55)가 걸어진다.
상기 그리퍼돌부(76)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부(74)의 양단에는 스토퍼(7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77)는 양단의 것이 그 폭이 달리 형성된다. 이는 상기 그리퍼돌부(76)와의 사이 공간의 위치를 달리하여 벌브(70)가 상기 벌브슬롯(32)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77)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의 내면에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걸어져 벌브(70)가 더 이상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74)의 외면에는 제1,2,3접속부(78,79,80)가 노출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78,79,80)는 금속재질로 된 것으로 상기 발광부(72)의 내부에 있는 발광을 위한 구조로 전원과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접속부(78)는 상기 결합부(74)의 일측 외면에 있고, 상기 제2,3접속부(79,80)는 상기 결합부(74)의 타측 외면에 있다. 상기 접속부(78,79,80)들은 상기 그리퍼돌부(76)와 스토퍼(77)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벌브홀더는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의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에 상기 터미널(40,50,60)들을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홀더(30)를 하우징몸체(12)에 장착하여, 상기 터미널(40,50,60)들을 고정한다.
즉, 상기 제1터미널(40)을 상기 내부공간(13)으로 삽입할 때는 상기 제1슬롯(24)을 따라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이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의 선단이 상기 안착면(24')에 안착되게 한다. 실제로 상기 안착면(24')에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이 안착된다는 것은 상기 안착면(24')이 형성된 구조물에 상기 제1외부접속단(47)이 끼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슬롯(26)을 따라서는 상기 제2터미널(50)의 제2외부접속단(57)이 이동하여 안착되고, 제3슬롯(28)을 따라서는 상기 제3터미널(60)의 제3외부접속단(67)이 이동하여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홀더(30)를 상기 벌브홀더하우징(10)에 장착한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30)의 각각의 슬롯안착부(38)를 대응되는 슬롯(24,26,28)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제1슬롯(24)은 상기 제2 및 2 슬롯(26,28)과는 반대쪽에 있다. 즉, 상기 제2 및 3 슬롯(26,28) 사이의 간격은 제1슬롯(24)과 다른 슬롯(26,38)과의 간격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홀더(30)를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슬롯(24,26,28)에 삽입하는 방향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상기 슬롯(24,26,28)들에 상기 슬롯안착부(38)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누름레그(39)가 각각의 터미널(40,50,60)의 눌림부(46,56,66)를 눌러주게 된다. 이 때, 상기 프론트홀더(30)의 걸이돌기(36)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홀더걸이공(22)에 걸어져 상기 프론트홀더(30)가 임의로 상기 하우징몸체(1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에 도시된 상태로서, 조립이 완성된 상태이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30)에 의해 상기 터미널(40,50,60)들이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3) 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벌브슬롯(32)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3)의 터미널(40,50,60)들이 보이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40,50,60)들의 돌출부(47,57,67)들은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벌브(60)의 결합부(74)는 상기 벌브슬롯(32)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키코드(33)가 상기 벌브(70)의 그리퍼돌부(76)와 스토퍼(77)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즉, 이들 키코드(33)에 의해 벌브(60)의 삽입방향이 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74)가 상기 벌브슬롯(32)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그리퍼(44,54)가 상기 결합부(74) 양면의 그리퍼돌부(76)에 걸어진다. 즉, 상기 그리퍼(44,54)의 제1 및 제2 걸이돌부(45,55)가 상기 그리퍼돌부(76)의 경사안내면(76')을 따라 안내되어 탄성변형되다가 상기 경사안내면(76')의 끝부분을 통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걸이돌부(45,55)가 상기 걸이면(76")에 걸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벌브접속부(42)와 제2 및 제3 벌브접속부(52,62)는 상기 벌브(70)의 제1접속부(78), 제2접속부(79) 및 제3접속부(80)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들 벌브접속부(42,52,62)들은 각각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접속부(78,79,80)들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벌브(70)가 상기 벌브슬롯(32)의 내부로 일정 이상 삽입되면, 상기 스토퍼(77)가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구조에 걸어지면서 삽입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벌브(70)가 상기 벌브슬롯(32)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벌브(70)의 결합부(74)가 상기 터미널(40,50,60)들에 의해서 상기 벌브슬롯(32)내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잡혀 있게 된다. 즉, 상기 그리퍼돌부(76)의 걸이면(76")에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44,54)의 제1 및 제2 걸이돌부(45,55)가 걸어져 빠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벌브(70)가 벌브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은 상기 벌브(70)의 결합부(74)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벌브슬롯(32)의 양단에 지지됨과 상기 그리퍼(44,54), 스토퍼(77) 등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의 상태로 벌브홀더가 조립되어 벌브(70)가 장착된 상태로 램프하우징의 관통공에 장착되는데,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는 미리 별도의 외부터미널이 구비되는 장착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에 벌브홀더를 삽입하여 상기 장착돌기(18)가 절결부를 통과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장착돌기(18)가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2 및 3 돌출부(48,58,68)가 상기 외부터미널들에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터미널들을 통해 신호가 상기 제1,2,3 터미널(40,50,60)들에 전달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벌브홀더하우징 12: 하우징몸체
13: 내부공간 14: 플랜지
16: 손잡이 18: 장착돌기
20: 걸림돌기 22: 홀더걸이공
24: 제1슬롯 24': 안착면
26; 제2슬롯 28: 제3슬롯
30: 프론트홀더 32: 벌브슬롯
33: 키코드 34: 돌출단
36: 걸이돌기 38: 슬롯안착부
39: 누름레그 40: 제1터미널
41: 제1터미널몸체 42: 제1벌브접속부
43: 제1접속돌부 44: 제1그리퍼
45: 제1걸이돌부 46: 제1눌림부
47: 제1외부접속단 48: 제1돌출부
50: 제2터미널 51: 제2터미널몸체
52: 제2벌브접속부 53: 제2접속돌부
54: 제2그리퍼 55: 제2걸이돌부
56: 제2눌림부 57: 제2외부접속단
58: 제2돌기부 60: 제3터미널
61: 제3터미널몸체 62; 제3벌브접속부
63: 제3접속돌부 66: 제3눌림부
67: 제3외부접속단 68: 제3돌기부
70: 벌브 72: 발광부
74: 결합부 76: 그리퍼부
76': 경사안내면 76": 걸이면
77: 스토퍼 78: 제1접속부
79: 제2접속부 80: 제3접속부

Claims (6)

  1. 벌브가 선단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벌브홀더에 있어서,
    선단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몸체를 구비하는 벌브홀더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후단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제1그리퍼의 양단에 상기 벌브의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터미널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결합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제2그리퍼와 상기 벌브의 제2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2터미널과 나란히 상기 제1터미널과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벌브의 제3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벌브접속부가 구비되는 제3터미널과,
    상기 벌브홀더하우징의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2,3 터미널을 하우징몸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벌브슬롯이 형성된 프론트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각각 상기 제1,2,3 터미널의 제1,2,3외부접속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2,3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3,슬롯에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슬롯안착부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1,2,3터미널을 고정하며,
    상기 제1,2,3 터미널의 각각의 제1,2,3터미널몸체에 직교하여 연장되게 제1,2,3눌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3눌림부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슬롯안착부 선단에 형성된 누름레그에 의해 눌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의 제1 및 제2 그리퍼는 상기 벌브의 결합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그리퍼돌부의 걸이면에 걸어져 상기 벌브가 상기 벌브슬롯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돌부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지지되어 벌브의 삽입정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돌부의 양단에 위치되는 스토퍼의 폭은 양단의 것이 서로 달리되어 상기 프론트홀더의 벌브슬롯의 내면에 형성된 키코드와 협력하여 벌브의 삽입방향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KR1020110110506A 2011-10-27 2011-10-27 벌브홀더 KR10181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06A KR101810129B1 (ko) 2011-10-27 2011-10-27 벌브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06A KR101810129B1 (ko) 2011-10-27 2011-10-27 벌브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28A KR20130046128A (ko) 2013-05-07
KR101810129B1 true KR101810129B1 (ko) 2017-12-18

Family

ID=486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06A KR101810129B1 (ko) 2011-10-27 2011-10-27 벌브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02A (ko) *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24B1 (ko) * 2013-06-20 2015-03-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일형 벌브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716A (ja) * 1998-10-02 2000-04-21 Ichikoh Ind Ltd 電球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716A (ja) * 1998-10-02 2000-04-21 Ichikoh Ind Ltd 電球ソケ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02A (ko) * 2018-06-19 201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KR102554860B1 (ko) * 2018-06-19 2023-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28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48461A (ja) Ledランプユニット
JP2018525803A (ja) 電気コネクタ
JP6318730B2 (ja) 電磁接触器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US20170261190A1 (en) Lighting system
KR20080095450A (ko) 터미널유동방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1810129B1 (ko) 벌브홀더
KR20130002722U (ko) 벌브홀더용 터미널
KR20110109444A (ko) 커넥터
JP5614688B2 (ja) 直管型led照明器
JP7251271B2 (ja) 照明装置
JP6241603B2 (ja) 照明装置
JP3867040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JP2014157689A (ja) 半導体光源ユニット及び車両用照明装置
JP6241604B2 (ja) 端子金具の係止構造、バルブ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100922205B1 (ko) 벌브커넥터
JP7243393B2 (ja) 照明装置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US9452710B2 (en) Indoor illuminating device
WO2015099180A1 (ja) コネクタ
KR200366471Y1 (ko) 헤드램프커넥터와 와이어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0442917Y1 (ko) 수직형 터미널조립체
KR100955051B1 (ko) 벌브홀더
KR101265238B1 (ko) 벌브커넥터
JP3671618B2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