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64B1 -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64B1
KR101342164B1 KR1020110145148A KR20110145148A KR101342164B1 KR 101342164 B1 KR101342164 B1 KR 101342164B1 KR 1020110145148 A KR1020110145148 A KR 1020110145148A KR 20110145148 A KR20110145148 A KR 20110145148A KR 101342164 B1 KR101342164 B1 KR 10134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526A (ko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12)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50)에 형성된 관통공(54)에 삽입되어 회전됨에 의해 프레임(50)에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터미널(30)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16)가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중간에는 터미널안착부(16)의 선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변형안내면(16')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안내면(16')에 터미널(30)의 접속부(36)가 안내되면서 터미널(30)의 변형부(38)가 변형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접속부(36)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선단은 터미널통공(18)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2)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터미널지지대(24)에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12)의 후단 외면에 있는 장착플랜지(29)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플랜지(29)의 표면에는 패킹(29')이 설치되어 프레임(50)과의 사이에서 방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커넥터(10)가 사용되는 제품을 소형화하고 커넥터(10)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Connector and terminal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터미널에 커넥터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환경에서 커넥터가 사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터미널은 각각 탭터미널과 리셉터클터미널로서,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 탭터미널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고, 커넥터에 리셉터클터미널이 있어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탭터미널과 리셉터클터미널이 서로 결합되는데 필요한 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커넥터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탭터미널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전극과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이 직접 결합될 수 없어 탭터미널이나 이에 해당되는 구성을 사용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전극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면전극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도 방수가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이 일체로 되고 터미널의 선단과 후단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면서도 터미널을 하우징에 별도로 조립할 수 있는 커넥터 및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면에 전극이 있는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서 회전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접속부가 상기 전극에 접촉되고 후단의 와이어연결부에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 선단측에는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가 지지되는 터미널지지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후단측에는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마주보게 장착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인 상기 터미널지지대에 인접하여 개구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변형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인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터미널통공의 입구에는 상기 터미널지지대가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를 지지한다.
상기 터미널통공의 입구에는 상기 터미널의 폭방향 양단을 걸어 안내하는 터미널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변형안내면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 내면에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 후단의 폭방향 양단을 걸어주는 터미널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게 변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 입구에 안착된다.
상기 변형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터미널의 몸체부와 접속부 사이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면에 전극이 있는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서 회전되게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이 측면으로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접속부가 상기 전극에 접촉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부를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대와,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의 후단 쪽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마주보는 장착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변형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터미널통공의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의 폭방향 양측을 걸어 안내하는 터미널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의 후단 폭방향 양측을 걸어 고정하는 터미널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걸어지는 체결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게 변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 입구에 안착되도록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되면서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변형부의 선단에서 소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평면전극이 있는 프레임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평면전극에 커넥터의 터미널이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평면전극과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역시 평면전극과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면서 커넥터가 사용되는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와 커넥터가 관통하는 프레임 사이에 패킹을 설치하고, 커넥터의 내부에도 시일을 설치하였으므로 커넥터와 프레임 사이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한 후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프레임에의 장착이 완료되므로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일단 소정 각도 만큼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진 다음에 커넥터를 관통공에서 분리하여야 하므로 외력에 의해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터미널이 설치됨에 있어서 터미널의 선단이 연장되는 방향과 터미널의 후단이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거의 직교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일체로 된 하우징 내에 터미널을 삽입하면 터미널이 삽입되면서 제 위치를 찾아 변형되어 설치되므로 커넥터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가 장착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가 평면전극이 있는 프레임의 관통공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터미널이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2)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의 관통공(54)에서 회전되므로 외면이 원기둥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2)의 후단에는 터미널설치부(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가 반드시 돌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 및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내부에는 터미널안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6)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부에는 변형안내면(16')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안내면(16')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후단과 선단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선단을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통공(18)쪽으로 안내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6)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2)의 후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후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측 측면으로 개방된다. 이 부분을 터미널통공(18)이라고 한다. 상기 터미널통공(18)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으로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터미널안착부(16)가 형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터미널통공(18)이 개방된다.
상기 터미널통공(18)의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선단을 가이드하여 위치를 잡아주는 터미널가이드(20)가 있다. 상기 터미널가이드(20)는 상기 터미널(30)의 선단 양측을 걸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지지대(24)에서 터미널(30)의 선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가이드(20)에 인접한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에는 터미널걸림턱(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걸림턱(22)도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터미널걸림턱(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이 터미널안착부(16)에 삽입되는 과정 말기에 최종적으로 걸어져 터미널(30)이 터미널안착부(16)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걸림턱(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접속부(36) 후단 양측에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통공(18)의 가장자리중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쪽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터미널지지대(24)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대(24)는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지지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선단을 지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의 전극(5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선단 외측면에는 체결대(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대(26)는 상기 터미널지지대(24)와 유사하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에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대(26)와 상기 터미널지지대(24)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대(26)와 터미널지지대(24)의 간격이 반드시 일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결대(26)의 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후단 측의 외면을 둘러서는 장착플랜지(29)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플랜지(29)는 본 실시예에서 원판형상인데,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에 지지된다. 상기 장착플랜지(29)의 일측 표면에는 패킹(29')이 위치된다. 상기 패킹(29')은 상기 장착플랜지(29)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에 밀착되어 방수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부에는 터미널(30)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터미널(30)은 터미널안착부(16)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30)은 거의 일직선이고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터미널(30)에는 몸체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32)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몸체부(32)와 일체로 터미널(30)의 후단에 와이어연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연결부(34)는 와이어(40)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연결부(34)에는 와이어바렐과 인슐레이션 바렐(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있다. 상기 와이어연결부(34)의 구조는 와이어(40)를 압입하여 절연층을 파고 들어 심선에 직접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에는 접속부(36)가 있다. 상기 접속부(36)도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인데, 경사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접속부(36)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50)의 평면전극(52)에 밀착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접속부(36)는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플랜지(29)와 마주보도록,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2)와 접속부(36)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변형부(38)가 구비된다. 상기 변형부(38)는 터미널(30)을 터미널안착부(16)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36)의 연장방향이 전체 터미널(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되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변형부(38)는 대략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접속부(36)는 상기 변형부(38)의 선단에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면부호 40은 와이어이고 42는 와이어(40)와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 사이의 방수를 담당하는 시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장착되는 프레임(5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프레임(50)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 양측을 따라서는 전극(52)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52)은 상기 프레임(50)의 표면에 있는 것이다. 상기 전극(52)은 상기 프레임(50)자체에 소정 두께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버스바와 같은 것이 안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52)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50)의 표면을 관통하여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4)은 상기 커넥터(10)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54)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간섭회피부(56)가 절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56)는 상기 커넥터(10)의 터미널지지대(24)와 체결대(26)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54)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50)의 표면에는 체결돌기(5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58)는 상기 체결대(26)의 체결홈(28)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50)과 커넥터(1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의 조립 및 사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전체가 일체로 되는 것으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부(16)에 터미널(30)이 삽입되는데,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후단으로 개방된 터미널안착부(16)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후단을 통해 터미널(3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30)은 선단의 접속부(36)가 변형안내면(16')에 닿기 전까지는 도 4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 변형없이 삽입된다. 상기 선단의 접속부(36)가 상기 변형안내면(16')에 접촉되어 안내되면서 상기 터미널(30)의 변형부(38)가 변형된다. 상기 변형부(38)의 변형은 주로 탄성변형이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약간의 소성변형이 있을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접속부(36)는 도 4의 상태에서도 상기 변형부(38)에 대해 절곡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변형안내면(16')에 안내되면서 선단이 상기 터미널지지대(24)에 안내되기 시작하면,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가이드(20)에 폭방향 양단이 걸어지면서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선단 양측이 터미널가이드(20)에 걸어진 상태에서 계속하여 전진하게 힘을 가하면 상기 터미널(30)의 접속부(36)는 상기 터미널가이드(20)에 의해 안내되면서 터미널지지대(24)에 전체가 안착되고, 상기 접속부(36)의 후단은 상기 터미널걸림턱(22)을 타고 넘어 걸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30) 선단의 접속부(36)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터미널(30) 후단의 와이어연결부(34)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에 구비되는 접속부(36)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통공(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터미널지지대(24)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장착플랜지(29)측과 마주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플랜지(29) 상에는 패킹(29')을 안착시키고, 상기 와이어(40)와 터미널(30)이 연결된 부분을 둘러서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부에 시일(42)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10)를 상기 프레임(50)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0)의 터미널지지대(24)와 체결대(26)가 상기 프레임(50)의 관통공(54) 가장자리에 형성된 간섭회피부(56)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관통공(54)에 삽입한다. 상기 커넥터(10)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54)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장착플랜지(29)의 패킹(29')이 상기 프레임(50)의 표면(전극(52)이 없는 쪽)에 밀착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10)를 회전시켜 상기 터미널지지대(24)의 일측 표면에 있는 터미널(30)의 접속부(36)가 상기 전극(52)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체결대(26)의 체결홈(28)이 상기 체결돌기(58)가 있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체결홈(28)에 상기 체결돌기(58)가 들어가서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프레임(50)에 대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30)의 접속부(36)와 상기 전극(52)이 서로 면접촉을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가 상기 커넥터(10)와 프레임(5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프레임(50)에서 분리하는 것은 상기 커넥터(10)에 일정 이상의 힘, 즉 상기 체결홈(28)에서 상기 체결돌기(58)가 빠질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해 돌리고, 상기 간섭회피부(56)를 통해 상기 터미널지지대(24)와 체결대(28)가 빠져나오도록 커넥터(10)를 관통공(54)에서 분리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대(26)가 상기 프레임(50)의 일측 표면중 상기 커넥터(10)가 삽입되는 방향 반대쪽 표면에 걸어져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관통공(54)의 내면에 형성된 구조와 하우징(12)의 외면에 형성된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50)과 장착플랜지(29)의 사이에 패킹(29')을 두었으나, 방수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패킹(29')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장착플랜지(29) 자체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다면 별도의 패킹(29')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안착부
18: 터미널통공 20: 터미널가이드
22: 터미널걸림턱 24: 터미널지지대
26: 체결대 28: 체결홈
30: 터미널 32: 몸체부
34: 와이어연결부 36: 접속부
38: 변형부 40: 와이어
42: 시일 50: 프레임
52: 전극 54: 관통공
56: 간섭회피부 58: 체결돌기

Claims (15)

  1. 표면에 전극이 있는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서 회전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접속부가 상기 전극에 접촉되고 후단의 와이어연결부에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선단측에는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가 지지되는 터미널지지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후단측에는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마주보게 장착플랜지가 형성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인 상기 터미널지지대에 인접하여 개구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변형안내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인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터미널통공의 입구에는 상기 터미널지지대가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를 지지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통공의 입구에는 상기 터미널의 폭방향 양단을 걸어 안내하는 터미널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변형안내면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 내면에 상기 터미널의 접속부 후단의 폭방향 양단을 걸어주는 터미널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게 변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 입구에 안착되도록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터미널의 몸체부와 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
  8. 표면에 전극이 있는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서 회전되게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이 측면으로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고 선단의 접속부가 상기 전극에 접촉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부를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대와,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의 후단 쪽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마주보는 장착플랜지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변형안내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에 해당되는 터미널통공의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의 폭방향 양측을 걸어 안내하는 터미널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의 후단 폭방향 양측을 걸어 고정하는 터미널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지지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걸어지는 체결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게 변형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 입구에 안착되도록 하는 커넥터.
  13. 삭제
  14.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되면서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변형부의 선단에서 소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터미널.
KR1020110145148A 2011-12-28 2011-12-28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KR10134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48A KR101342164B1 (ko) 2011-12-28 2011-12-28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48A KR101342164B1 (ko) 2011-12-28 2011-12-28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26A KR20130076526A (ko) 2013-07-08
KR101342164B1 true KR101342164B1 (ko) 2013-12-18

Family

ID=4899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48A KR101342164B1 (ko) 2011-12-28 2011-12-28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670Y1 (ko) 2005-11-18 2006-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타입 기판의 터미널 장착구조
KR200430802Y1 (ko)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670Y1 (ko) 2005-11-18 2006-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타입 기판의 터미널 장착구조
KR200430802Y1 (ko)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26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553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01971429B (zh) 电缆连接器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US8475000B2 (en) Connector,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connector
JP2010267548A (ja) 電気コネクタ
CN107799932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20120130338A (ko) 전자 부품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20130288528A1 (en) Connecting device
US7931493B2 (en) Cable assembly with a firm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s and a connector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2023101486A5 (ja) 撮像装置の構成部品及び可動コネクタと外部接続ケースとの接続構造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KR101342164B1 (ko) 커넥터 및 이에 사용되는 터미널
JP4141468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80188129A1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TWI681596B (zh) 電連接器
CN107681335B (zh) 电连接器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WI721615B (zh) 電連接器
CN210156593U (zh) 电连接器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KR200473183Y1 (ko) 터미널
KR200334756Y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소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