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50A -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50A
KR20150068150A KR1020130154012A KR20130154012A KR20150068150A KR 20150068150 A KR20150068150 A KR 20150068150A KR 1020130154012 A KR1020130154012 A KR 1020130154012A KR 20130154012 A KR20130154012 A KR 20130154012A KR 20150068150 A KR20150068150 A KR 2015006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ir
motor
terminal hol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393B1 (ko
Inventor
한청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93B1/ko
Priority to CN201410766491.0A priority patent/CN104716771B/zh
Priority to US14/567,087 priority patent/US9755376B2/en
Priority to EP14197355.2A priority patent/EP2892114B1/en
Publication of KR2015006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50A/ko
Priority to US15/403,470 priority patent/US99059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버스바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와, 상기 접속단자와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를 제공하여, , 터미널의 손상을 방지하고 터미널이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이 기울거나 편향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Terminal for motor, Terminal assembly for mo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된다.
분할 코어 방식의 스테이터의 경우, 스테이터 위에 환형의 버스바(BUSBAR)가 마련된다. 스테이터의 코일은 코일 단자를 통해 버스바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스바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되는 버스바 터미널이 형성된다.
버스바 터미널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과 연결되며, 터미널은 모터의 하우징을 덮는 브라켓에 마련된다. 브라켓에는 터미널이 장착되기 위한 터미널홀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터미널은 터미널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차량내 설치공간 확보, 조립공차 감소 및 터미널 위치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터미널이 터미널홀 안에서 소정의 변위를 갖도록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터미널 조립체는 터미널을 터미널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이 기울어지거나 한쪽으로 편향되어 터미널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의 설치 과정이 지연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홀이 터미널 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터미널홀에 삽입될 때, 기울어지거나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고, 터미널홀에 정렬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모터의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미널홀과의 두께 공차에도 용이하게 터미널홀에 삽입될 수 있는 모터의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미널이 터미널홀 안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되, 소정의 반발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는 모터의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버스바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와, 상기 접속단자와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정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정렬리브는, 선단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잘려 형성되는 제1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후단부의 끝단면과 양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각각 잘려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기 후크부의 끝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각각 잘려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 파트와,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는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는,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홀 주위의 브라켓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홀의 내벽을 지지하는 제2 고정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터미널홀이 형성된 브라켓 및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버스바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와 상기 접속단자와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후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터미널홀에 걸리도록 수평단면의 크기가 상기 터미널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터미널홀 안에서 움직이도록 수평단면의 크기가 상기 터미널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터미널홀 주위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후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는,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홀 주위의 브라켓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홀의 내벽을 지지하는 제2 고정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중심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은, a)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터미널홀에 관통시키고 상기 브라켓을 모터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와, b)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몸체를 결합시켜 터미널을 조립하는 단계 및 c) 조립된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홀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 파트와,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여 터미널이 정렬된 상태로 터미널홀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정렬리브를 형성하고, 센터정렬리브의 선단부 모서리를 커팅하여 웨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이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이 기울거나 편향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의 몸체의 후단부 모서리를 커팅하여 웨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이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의 정렬을 유도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부의 끝단면 모서리를 외측면 방향으로 커팅함으로써, 터미널이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후반에, 터미널홀과의 두께 공차로 인하여 후크부의 끝단면이 터미널홀의 내측에 걸려 후크부가 펼쳐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홀 주위의 브라켓의 내측면에 후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함으로써, 터미널이 터미널홀 안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되, 소정의 반발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의 몸체를 상호 결합 가능한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하여, 버스바 터미널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터미널홀 밖으로 빼낸 상태에서 접속단자에 몸체를 조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의 조립공정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터미널홀과 버스바 터미널에 연결된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모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고정리브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어느 한 측으로 움직이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고정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어느 한 측으로 움직이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모터의 조립방법에 의한 모터의 조립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터미널홀과 버스바 터미널에 연결된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 내부에 스테이터(2)가 수용되고, 스테이터 위에는 버스바(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4)에는 로터(5)가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3)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6)이 연결되며, 케이블(6)의 단부에는 접속단자(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00)은 하우징(1)의 개방된 상면에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200)에는 터미널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100)은 몸체(110)와 한 쌍의 후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내부에 접속단자(111)를 포함하여 암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11)의 어느 한 측은 버스바(3)에 연결되는 케이블(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한 측은 몸체(110)에 삽입되는 커텍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접속단자(111)의 어느 한 측과 케이블(6)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112)와, 접속단자(111)의 다른 측과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모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병행 참조하여 몸체(1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10)는 브라켓(200)에 터미널홀(210)이 형성되며, 터미널(100)은 브라켓(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터미널홀(2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단부(112)는 터미널홀(210)에 관통하여 브라켓(2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폭 방향(도 3 및 도 4의 x축 방향)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몸체(110)의 양 측면에는 센터정렬리브(114)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부(12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센터정렬리브(114)가 몸체(110)의 양 측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정렬리브(114)는 터미널(100)이 터미널홀(210)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100)이 기울거나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센터정렬리브(114)는 제1 커팅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팅부(115)는 센터정렬리브(114)의 선단면(114a)과 측면(114b)이 이루는 모서리가 잘려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센터정렬리브(114)의 제1 커팅부(115)는 웨지형으로 형성되어, 터미널(100)이 터미널홀(210)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100)이 정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단부(112)에는 제2 커팅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팅부(116)는 끝 단면(112a)과 양 측면(112b)이 이루는 모서리가 잘려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후단부(112)에 형성된 제2 커팅부(116)는 웨지형으로 형성되어, 터미널(100)이 터미널홀(210)에 삽입되는 초기에 터미널(100)이 정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선단부(113)는 터미널홀(210)에 걸려 브라켓(2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평 단면의 크기가 터미널홀(21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몸체(110)의 후단부(112)는 터미널홀(210) 안에서 터미널(100)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수평 단면의 크기가 터미널홀(210)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100)에 ECU 등의 다른 부품의 터미널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터미널홀(210)의 범위 내에서 터미널(100)은 자유롭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파트(110A)와 제2 파트(100B)로 구분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1 파트(110A)와 제2 파트(100B)에는 각각 후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110A)의 정면 및 배면에는 결합돌기(110A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110B)의 정면 및 배면에는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홀(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트(110A)의 정면 및 배면이라 함은 몸체(110)의 길이 방향(도 3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몸체(110)의 앞면과 뒷면을 의미한다.
후크부(120)는 터미널(100)이 터미널홀(210)에 삽입될 때, 터미널홀(210)에 대한 터미널(100)의 정렬을 유도함과 동시에 터미널(100)이 브라켓(200)의 외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120)는 기준선(C)을 중심으로 몸체(110)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단부(112)에서 선단부(113)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터미널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홀(210)에 터미널(100)이 삽입되면, 후크부(120)는 복원력을 갖은 상태로 상호 모아지도록 변형된다. 이때, 터미널홀(210)의 두께가 설계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터미널(100)의 삽입 후반에 후크부(120)의 끝단부가 터미널홀(210)의 내벽에 걸려 후크부(120)가 벌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후크부(120)의 단부에는 제3 커팅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커팅부(117)는 후크부(120)의 끝단면(도 4의 121)과 외측면(도 4의 122)이 이루는 모서리가 각각 잘려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커팅부(117)는 터미널홀(210)과의 두께 공차가 발생하여도 터미널(100)의 삽입 후반에 후크부(120)의 끝단부가 터미널홀(210)의 내벽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고정리브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홀(210)에 삽입된 터미널(100)은 브라켓(200)의 내측면에 걸리는 후크부(120)에 의해 터미널홀(2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홀(210) 주위의 브라켓(20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후크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리브(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부(120)를 각각 지지하는 고정리브(220)들의 간격은 부가된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한 쌍의 후크부(120)가 최대한 벌어져 이루는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어느 한 측으로 움직이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100)은 터미널홀(210) 안에서 어느 한 측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터미널(100)이 어느 한 측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후크부(120) 중 어느 하나는 고정리브(22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터미널(100)이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반반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터미널홀(210)안에서 터미널(100)이 보다 부드럽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고정리브(220)는 터미널홀(210)에 터미널(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터미널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터미널(100)이 정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고정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120)에는 브라켓(200)에 형성된 고정리브(220)를 대신하여 후크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고정단부(123)와 제2 고정단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단부(123)는 후크부(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후크부(12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브라켓(200)을 내측면(23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단부(124)는 후크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후크부(12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홀(210)의 내벽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어느 한 측으로 움직이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100)이 어느 한 측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후크부(120) 중 어느 하나는 제1 고정단부(123) 및 제2 고정단부(124)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터미널(100)이 움직는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반반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터미널홀(210)안에서 터미널(100)이 보다 부드럽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제1 고정단부(123) 및 제2 고정단부(124)는 터미널홀(210)에 터미널(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터미널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터미널(100)이 정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모터의 조립방법에 의한 모터의 조립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병행 참조하여, 상술한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를 사용하는 모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6)이 연결된 접속단자(111)를 터미널홀(210)에 관통시키고 브라켓(200)을 모터하우징(1)에 조립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접속단자(111)에 제1 파트(110A)와 제2 파트(100B)가 결합되도록 상호 조립할 수 있다.(S200) 몸체(110)가 제1 파트(110A)와 제2 파트(100B)로 분리되어 접속단자(111)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립된 터미널(100)을 터미널홀(210)에 눌러 삽입할 수 있다.(S300) 후크부(120)가 터미널홀(210)을 따라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터미널(100)을 터미널홀(2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미널
110: 몸체
110A: 제1 파트
110B: 제2 파트
111: 접속단자
112: 후단부
113: 선단부
114: 센터정렬리브
114a: 선단면
114b: 측면
115: 제1 커팅부
116: 제2 커팅부
117: 제3 커팅부
120: 후크부
121: 끝단면
122: 외측면
123: 제1 고정단부
124: 제2 고정단부
200: 브라켓
210: 터미널홀
220: 고정리브
230: 내측면

Claims (15)

  1.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버스바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와, 상기 접속단자와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
    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센터정렬리브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정렬리브는, 선단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잘려 형성되는 제1 커팅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후단부의 끝단면과 양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각각 잘려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커팅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5. 제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후크부의 끝단면과 외측면이 이루는 모서리가 각각 잘려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커팅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 파트와,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홀 주위의 브라켓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홀의 내벽을 지지하는 제2 고정단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모터의 터미널.
  10. 터미널홀이 형성된 브라켓;및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버스바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후단부와 상기 접속단자와 타 부품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후단부를 향할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터미널홀에 걸리도록 수평단면의 크기가 상기 터미널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터미널홀 안에서 움직이도록 수평단면의 크기가 상기 터미널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터미널홀 주위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후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홀 주위의 브라켓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홀의 내벽을 지지하는 제2 고정단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부는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중심으로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14. 제10 항의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를 사용하는 모터의 조립방법으로서,
    a)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터미널홀에 관통시키고 상기 브라켓을 모터하우징에 조립하는 단계;
    b)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몸체를 결합시켜 터미널을 조립하는 단계;및
    c) 조립된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홀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터의 조립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제1 파트와, 한 쌍의 상기 후크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결합하는 모터의 조립방법.
KR1020130154012A 2013-12-11 2013-12-11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KR102095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12A KR102095393B1 (ko) 2013-12-11 2013-12-11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CN201410766491.0A CN104716771B (zh) 2013-12-11 2014-12-11 马达端子、马达端子组件以及组装马达的方法
US14/567,087 US9755376B2 (en) 2013-12-11 2014-12-11 Motor terminal, motor termina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EP14197355.2A EP2892114B1 (en) 2013-12-11 2014-12-11 Motor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motor using the same
US15/403,470 US9905977B2 (en) 2013-12-11 2017-01-11 Motor terminal, motor termina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12A KR102095393B1 (ko) 2013-12-11 2013-12-11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50A true KR20150068150A (ko) 2015-06-19
KR102095393B1 KR102095393B1 (ko) 2020-04-01

Family

ID=5351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12A KR102095393B1 (ko) 2013-12-11 2013-12-11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013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20180042686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106600A (ko) * 2017-03-21 2018-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20009559A (ko) * 2020-07-16 2022-01-25 윌로펌프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KR200432355Y1 (ko) * 2006-07-24 2006-12-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JP2007227354A (ja) * 2006-01-30 2007-09-06 Smc Corp 電磁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7354A (ja) * 2006-01-30 2007-09-06 Smc Corp 電磁弁
KR200432355Y1 (ko) * 2006-07-24 2006-12-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013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20180042686A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80106600A (ko) * 2017-03-21 2018-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20009559A (ko) * 2020-07-16 2022-01-25 윌로펌프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93B1 (ko)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5977B2 (en) Motor terminal, motor termina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KR20150068150A (ko)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US20070087620A1 (en) Flat cable bending holder
US10122103B2 (en) Board connector
EP2848815B1 (en) Housing of fan motor
JP2011101502A (ja) 電気接続箱
JP201215093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441278B2 (ja) 係止機構、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0129507A (ja) コネクタ
JP2014035981A (ja) 端子取付構造及び該端子取付構造に用いられる端子
JP2013247046A (ja) 端子保護カバーおよび電気接続箱
JP4990635B2 (ja) 電気接続箱
JP2013115164A (ja) ケーブル整線部材
JP6262579B2 (ja) 電流センサーと導電部材との組み付け構造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CN203404493U (zh) 固线夹及其应用的电机
JP5995196B2 (ja) 電気接続箱
EP303730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US10944197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JP2003338346A (ja) コネクタ
EP4178045A1 (en)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111601B1 (ko)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 방법
CN109428413B (zh) 磁钢固定装置、斜极转子及其装配方法
KR200418225Y1 (ko) 브라켓과 커넥터의 결합구조
JP2019110026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