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600A -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600A
KR20180106600A KR1020170035179A KR20170035179A KR20180106600A KR 20180106600 A KR20180106600 A KR 20180106600A KR 1020170035179 A KR1020170035179 A KR 1020170035179A KR 20170035179 A KR20170035179 A KR 20170035179A KR 20180106600 A KR20180106600 A KR 20180106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hole
guide
co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859B1 (ko
Inventor
유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no en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걸림편과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내면에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Terminal for mo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조향축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복수 개의 슬롯을 형성하는 티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티스에는 코일이 감긴다. 스테이터의 코일은 버스바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버스바는 파워 터미널을 통해 와이어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와 파워 터미널은 일체화될 수 있으나, 제조 과정 중에 다량의 스크랩(scrap)이 발생하여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버스바와 파워 터미널을 별물로 구성하는 경우, 퓨징(fus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이 발생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스테이터의 코일의 연결단을 모아 파워 터미널에 직접 연결하는 구성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절연을 위한 별도의 부품들이 추가되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터의 코일에 전원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는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걸림편과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내면에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의 상단은 상기 연장부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걸림편과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내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은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포함하는 제1 홀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포함하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홀에 포함된 복수 개의 상기 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위로 노출된 코일을 터미널에 끼운 상태에서 커버의 홀에 터미널이 장착되도록 구성하여, 스테이터의 코일에 전원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커버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커버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터미널의 단면도,
도 7은 커버 위로 인출된 코일과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커버의 홀에 결합하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터미널이 장착된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회전축(10)과, 로터(20)와, 스테이터(30)와,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0)은 로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와 스테이터(3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축(10)이 회전한다. 회전축(10)은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조향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는 스테이터(3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중심에는 회전축(10)이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는 마그넷을 가이드 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는 마그넷을 둘러싸서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마그넷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는 로터(2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코일(31)이감길 수 있다. 코일(31)을 감기 위한 스테이터(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터(3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31)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40)은 내부에 로터(20)와 스테이터(3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원통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40)은 상부가 개방된다. 하우징(40)의 내측에는 스테이터(30)가 위치하며, 스테이터(30)의 내측에 로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 위에 버스바(50)가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50)는 환형의 몰드와 몰드 내부에 배치되어 스테이터(30)의 코일(31)과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하우징(4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우징(40)을 덮는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커버(100)는 커버(1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110)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10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도 1의 100)이 관통하는 중심홀(12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100)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하우징(40)과 결합을 위한 곳이다. 체결부재가 체결부(130)를 관통하여 하우징(4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100)의 중심부에는 베어링 포켓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포켓부(150)에는 베어링(60)이 수용된다. 베어링(6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60)이 베어링 포켓부(150)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3의 A와 같이, 베어링 포켓부(150)의 하부가 코킹(caulking)되어 베어링(6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복수 개의 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의 코일(100)의 연결단이 홀(110)을 관통한다. 스테이터(30)의 코일(100)의 연결단이라 함은, U, V, W 상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스테이터(30)에 권선되고 남은 코일(31)의 연장 부분을 나타낸다.
홀(110)은 제1 홀(111)과 제2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1)은 3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홀(111)의 3개의 홀에는 U, V, W 상의 전원이 연결되는 코일(31)의 연결단이 각각 관통된다. 제1 홀(111)을 관통한 코일(31)의 연결단은 커버(100)의 상부로 노출된다.
제2 홀(112)도 3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홀(112)의 3개의 홀에는 다른 U, V, W 상의 전원이 연결되는 코일(31)의 연결단이 각각 관통된다. 제2 홀(112)을 관통한 코일(31)의 연결단은 커버(100)의 상부로 노출된다.
듀얼 와인딩 방식으로, 2개 코일이 구분되어 스테이터(30)에 코일(31)이 감긴 경우, 어느 하나의 코일은 제1 홀(111)을 통해 U, V, W 상의 전원이 연결되는 코일(31)의 연결단이 커버(1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다른 코일(31)은 제2 홀(112)을 통해 U, V, W 상의 전원이 연결되는 코일(31)의 연결단이 커버(1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커버(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제1 홀(111)은 제2 홀(112)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홀(112)의 3개의 홀은 커버(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터미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200)은 몸체(210)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몸체(210)의 중심부에는 관통홀(211)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11)은 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11)의 입구(211a)는 몸체(2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11)의 출구(211b)는 몸체(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11)의 내부에는 코일(31)의 연결단이 배치된다. 몸체(210)는 커버(100)의 홀(1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몸체(210)의 외경은 홀(100)의 직경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된다.
몸체(2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12)는 몸체(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12)는 몸체(210)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12)의 외경은 홀(110)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몸체(210)가 홀(110)에 삽입될 때, 연장부(212)는 홀(110)에 삽입되지 않고 커버(100)의 상면과 접촉한다.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220)는 몸체(210)의 하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이드(220)는 관통홀(211)의 입구(211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220)가 관통홀(211)의 입구(211a)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22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몸체(210)의 하단에 결합한다. 가이드(220)는 외면은, 커버(100)의 홀(1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220)의 내면은 코일(31)의 형상을 고려하여 곡면일 수 있다.
가이드(220)는 걸림편(221)과 가압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편(221)은 가이드(22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편(221)은 가이드(220)의 상측으로 벌어진 상태이다. 걸림편(221)의 상단은 연장부(212)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걸림편(221)은 가이드(22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220)가 커버(100)의 홀(110)에 삽입될 때, 걸림편(221)은 변형되어 홀(110)을 관통한다. 가압돌기(222)는 가이드(220)의 내면에 배치된다. 가압돌기(222)는 가이드(220)의 내면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가압돌기(222)는 가이드(220)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220)의 내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222)는 가이드(2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20)의 하단에는 테이퍼부(223)가 배치될 수 있다. 테이퍼부(223)는 가이드(220)의 하단에서 경사면을 형성하여, 커버(100)의 홀(110)에 가이드(22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도 7은 커버 위로 인출된 코일과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31)이 홀(110)을 관통하여 커버(100) 위로 노?된다. 커버(100) 위로 노?된 코일(31)은 직립된 상태이다. 터미널(200)은 코일(31)을 삽입한 상태에서 홀(110)에 삽입된다.
도 8 및 도 9는 커버의 홀에 결합하는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200)의 관통홀(211)의 입구(211a)를 통해 코일(31)이 삽입된다. 코일(31)이 관통홀(211)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미널(200)는 코일(31)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작업자는 연장부(212)를 눌러 터미널(200)를 가압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220)는 벌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가이드(220)의 내면과 코일(31)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도 8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200)의 테이퍼부(223)가 홀(110)에 접촉하여, 가이드(220)가 홀(110)에 삽입된다. 가이드(220)가 홀(110)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벌어진 한 쌍의 가이드(220)가 좁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 가압돌기(222)부터 코일(31)을 가압하기 시작한다.
도 9 및 도 8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220)가 홀(110)에 삽입되어, 가이드(220)가 홀(110)을 관통하면, 걸림편(221)이 변형되면서, 걸림편(221)이 홀(110)의 내벽을 따라 삽입된다. 또한, 벌어졌던 한 쌍의 가이드(220)가 좁아지면서, 가압돌기(222)가 코일(31)을 가압한다.
도 9 및 도 8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221)이 홀(110)을 관통하면, 걸림편(221)이 벌어지면서 걸림편(221)의 끝단이 커버(100)의 하면(100A)과 접촉한다. 따라서, 터미널(200)은 걸림편(221)에 의해 커버(100)의 위쪽으로 빠지지 않는다. 한편, 연장부(212)의 하면은 커버(100)의 상면(100B)과 접촉한다. 따라서, 터미널(200)은 연장부(212)에 의해 커버(100)의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는다. 가압돌기(222)는 코일(31)에 압입되며 가이드(220)는 코일(31)에 고정된다.
도 10은 터미널이 장착된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100)에 터미널(200)이 장착되고, 코일(31)은 터미널(200)의 상단에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코일(31)은 목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노출된 코일(31)은 터미널(20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코일(31)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다. 또한, 터미널(200)이 코일(31)의 위치를 잡아준 상태에서 커버(1000에 클립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터미널 구성을 배제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회전축
20: 로터
30: 스테이터
31: 코일
40: 하우징
100: 커버
110: 홀
111: 제1 홀
112: 제2 홀
120: 중심홀
130: 체결부
200: 터미널
210: 몸체
211: 관통홀
211a: 입구
211b: 출구
212: 연장부
220: 가이드
221: 걸림편
222: 가압돌기

Claims (10)

  1.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걸림편과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내면에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상단은 상기 연장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관통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모터의 터미널.
  7.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및
    상기 커버에 결합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홀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통홀의 입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걸림편과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내면에 배치되는 모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포함하는 제1 홀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포함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모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모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홀에 포함된 복수 개의 상기 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각각 상이한 모터.
KR1020170035179A 2017-03-21 2017-03-21 인슐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7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79A KR102374859B1 (ko) 2017-03-21 2017-03-21 인슐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79A KR102374859B1 (ko) 2017-03-21 2017-03-21 인슐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00A true KR20180106600A (ko) 2018-10-01
KR102374859B1 KR102374859B1 (ko) 2022-03-17

Family

ID=6387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179A KR102374859B1 (ko) 2017-03-21 2017-03-21 인슐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926A (ja) * 2005-04-14 2006-10-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2015006815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1926A (ja) * 2005-04-14 2006-10-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2015006815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모터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859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8685B (zh) 用于电动机的定子结构组件
US8466590B2 (en) Plug-in sensor board f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KR102589673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589672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43086B1 (ko) 모터
JP5138489B2 (ja) レゾルバロータの固定構造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7060595B2 (ja) カバー組立体、モ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電動式操向装置
WO2020054095A1 (ja)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2284446A (ja) 電気機器の巻線ボビン
JP2010025900A (ja) レゾルバロータの固定構造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80106600A (ko) 모터의 터미널,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125683B1 (ja) 液体供給装置
JP2009124927A (ja) バスバー装置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CN111670529B (zh) 转子和包括转子的马达
CN111602325B (zh) 电机
KR20190077844A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26459B1 (ko) 모터
CN210927340U (zh) 电动机和排水阀驱动装置
WO2024029273A1 (ja) レゾルバのステータ
JP5363042B2 (ja) 磁石発電機
KR102262758B1 (ko) 모터
KR20210081018A (ko) 모터
JP2002010550A (ja) 3相ブラシレスdcモータ
KR20210095381A (ko) 모터
JP2023104065A (ja) バスバ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