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85A -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 Google Patents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85A
KR20210046385A KR1020190130028A KR20190130028A KR20210046385A KR 20210046385 A KR20210046385 A KR 20210046385A KR 1020190130028 A KR1020190130028 A KR 1020190130028A KR 20190130028 A KR20190130028 A KR 20190130028A KR 20210046385 A KR20210046385 A KR 2021004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hole
connector
sl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994B1 (ko
Inventor
오훈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블럭몸체(1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에는 커넥터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통공(1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블럭몸체(10)의 일측 표면에는 접지벽(14)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벽(14)의 내면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접지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구(30)의 결합편(36)에는 접지를 위한 링터미널(40)이 체결볼트(40')에 의해 체결된다.

Description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Earthing apparatus for connector block and earth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전성이 없는 재질로 만들어진 커버에서 접지를 수행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에 대한 것이다.
접지는 일반 전기시설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전자기기에서도 전자기기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전격에 대한 방지의 목적으로 접지를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되면서 자동차에서도 고전압이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접지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중량을 줄이는 것은 전기자동차의 구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는 것과 직결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중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부품의 재질을 금속에서 합성수지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금속의 경우 통전이 가능하여 접지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쉽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교체하게 되면 접지를 해결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게 된다.
일본 등록특허 JP326979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블럭의 블럭몸체를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면서도 접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블럭몸체를 통한 접지에 사용되는 접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블럭몸체를 통한 접지에 사용되는 접지구를 블럭몸체의 커넥터부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넥터통공을 둘러 일측 표면으로 돌출되게 접지벽이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접지벽의 내면에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접지구와, 상기 커넥터통공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접지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쉴드쉘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접지구의 결합편에 체결되고 접지를 수행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벽에는 분할슬릿이 접지벽의 선단에서 상기 커버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지벽에는 상기 접지구와 터미널의 동시체결을 위한 체결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결합편의 제1체결공과 상기 접지구의 접지구몸체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통공이 형성된 접지벽의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위치되고 상기 접지벽의 내면에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접지구몸체가 위치된다.
상기 접지구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접지구몸체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단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접지벽의 외면에 걸어지는 걸이편과,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외면과 마주보게 접지구몸체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구몸체는 금속판을 통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상기 접지벽에 형성된 분할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대응부에서 마주보는 접지구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분할슬릿에 위치되는 제1슬릿삽입부와 제2슬릿삽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얇은 금속판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슬릿대응부를 형성하게 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접지구몸체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접지구몸체의 외면과 일측이 마주보는 걸이편과, 상기 슬릿대응부에 있는 접지구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슬릿삽입부 및 제2슬릿삽입부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외면과 마주보게 접지구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에는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과 중심이 일치하게 상기 접지구몸체에는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2슬릿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절곡된다.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접지구몸체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등에서 커넥터블럭의 블럭몸체를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중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블럭몸체를 사이에 둔 양측에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통한 접지가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지구는 접지구몸체가 블럭몸체에 형성된 접지벽의 내면에 위치되어 커넥터의 접촉편과 접촉됨과 동시에 링터미널과 체결되어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면 상대커넥터로부터 링터미널까지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구몸체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접지벽의 내면에 위치되어 커넥터의 쉴드쉘과의 접지연결을 수행하므로 최소한의 구성으로 합성수지재질의 블럭몸체에서 접지연결을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지구에서는 다수개의 걸이편이 접지벽의 내면에 위치된 접지구몸체를 둘러 구비되어 접지벽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접지벽에 대해 접지구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지구의 제1 및 제2슬릿삽입부가 접지벽의 분할슬릿에 위치되어야 접지구가 접지벽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어서, 접지구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지벽의 체결통공을 사이에 두고 접지벽의 양측표면에 접지구와 접지구의 결합편이 있으므로, 링터미널이 결합편에 결합되면서 동시에 접지구가 접지벽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몸체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접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접지가 이루어지는 경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블럭은 일측에 커넥터가 설치되어 커넥터를 통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커넥터블럭은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관통하는 통공에 설치되어 통공을 차폐하면서 커넥터를 통한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도 3을 살펴보면, 커넥터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블럭몸체(10)에는 커넥터(20)가 위치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모양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차폐해야할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럭몸체(10)가 합성수지재질로 되는 것은 금속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이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에는 커넥터통공(12)이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통공(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접지벽(14)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벽(14)은 상기 커넥터통공(12)의 가장자리 중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 표면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3에서 상기 접지벽(14)의 구성을 잘 알 수 있다. 상기 커넥터통공(12)은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에 가깝게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통공(12)의 형상은 커넥터(20)의 대응되는 부분이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상기 접지벽(14)의 일측에는 분할슬릿(16)이 있다. 상기 분할슬릿(16)은 상기 접지벽(14)의 상단에서부터 블럭몸체(10)의 표면까지 형성된다. 상기 분할슬릿(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접지구(30)의 제1 및 제2슬릿삽입부(35,35')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분할슬릿(16)은 접지구(30)의 삽입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지벽(14)의 일측에는 체결통공(18)이 있다. 상기 체결통공(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볼트(40')가 체결되어 링터미널(40)이 접지구(30)와 체결됨과 동시에 접지구(30)가 접지벽(14)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통공(12)에는 커넥터(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20)는 본 실시례에서는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블럭몸체(10)에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2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20)의 후단을 둘러서는 장착플랜지(22)가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22)는 커넥터(2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20)가 상기 블럭몸체(10)에 일체로 만들어진다면 상기 장착플랜지(22)는 필요없다.
상기 커넥터(20)의 후단에는 통공삽입부(24)가 있다. 상기 통공삽입부(24)는 상기 커넥터통공(12)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통공삽입부(24)의 형상은 상기 커넥터통공(12)의 형상과 대응된다. 방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통공삽입부(24)의 외면을 둘러서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된다.
상기 커넥터(20)의 내부에는 쉴드쉘(25)이 있다. 상기 쉴드쉘(25)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었을 때에 접지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쉴드쉘(25)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접지구(3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쉴드쉘(25)에는 접촉편(26)이 있다. 상기 접촉편(26)은 상기 통공삽입부(24)의 외면을 둘러서 외부로 다수개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접촉편(26)의 구성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지구(30)에 탄성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편(26)은 연장방향이 2차례에 거쳐 반대방향으로 바뀌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로 접지구(30)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커넥터(20)의 후방으로는 다수개의 와이어(28)가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와 자동차의 블럭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와이어(28)는 고전압의 연결을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신호의 연결을 위한 것도 있다.
접지구(30)는 상기 접지벽(14)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20)의 쉴드쉘(25)에 있는 접촉편(26)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접지경로가 된다. 상기 접지구(30)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접지구(30)의 골격을 접지구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접지구몸체(32)는 얇은 금속판을 말아서 만든 것이다. 상기 접지구몸체(32)는 상기 접지벽(14)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접지구몸체(32)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편(3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걸이편(33)은 상기 접지구몸체(32)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되고 다시 한번 90도 절곡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걸이편(33)과 상기 접지구몸체(32)의 외면 사이에 상기 접지벽(14)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걸이편(33)은 본 실시례에서는 5개가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접지구몸체(32)에는 슬릿대응부(34)가 있다. 상기 슬릿대응부(34)는 상기 접지구몸체(32)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양측 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부분이다. 상기 슬릿대응부(34)는 상기 접지벽(14)의 분할슬릿(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슬릿대응부(34)도 일종의 슬릿이다.
상기 슬릿대응부(34)가 되는 접지구몸체(32)의 양단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1슬릿삽입부(35)와 제2슬릿삽입부(35')가 있다. 상기 제1슬릿삽입부(35)와 제2슬릿삽입부(35')는 상기 접지벽(14)의 분할슬릿(16)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릿삽입부(35,35')는 접지구(30)가 접지벽(14)에 설치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지구몸체(32)에는 또한 결합편(36)이 있다. 상기 결합편(36)은 상기 접지구몸체(32)의 일측이 연장되어 절곡되어 접지구몸체(32)의 일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된다. 상기 접지구몸체(32)와 결합편(36)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지벽(14)의 두께와 같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편(36)이 상기 제2슬릿삽입부(35')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결합편(36)이 상기 걸이편(33)과 같이 접지구몸체(3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편(36)에는 제1결합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공(37)에는 버링가공과 탭핑가공에 의해 소정 구간에 걸쳐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공(3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볼트(40')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편(36)의 제1결합공(37)과 대응되는 접지구몸체(32)의 위치에는 제2결합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공(37')에도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공(37')과 상기 제1결합공(37)에는 체결볼트(40')가 동시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접지벽(14)이 상기 제1결합공(37)과 제2결합공(37') 사이에 위치되고, 이 위치의 상기 접지벽(14)에는 체결통공(18)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공(37), 체결통공(18) 그리고 제2결합공(37')은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이에 체결볼트(40')가 위치하면서 나사부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편(36)에는 도 2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터미널(40)이 결합된다. 상기 링터미널(40)에는 접지를 위한 연결전선(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터미널(40)은 체결볼트(40')에 의해 상기 결합편(36)에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지구(30)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종래에 블럭몸체(10) 자체가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던 것을 대체해서 블럭몸체(10)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것에서 통전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지구(30)는 상기 접지벽(14)의 내면에 접지구몸체(32)의 외면이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구몸체(32)를 접지벽(14)의 내면을 따라 커넥터통공(12)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슬릿삽입부(35,35')가 상기 접지벽(14)의 분할슬릿(16)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이편(33)은 상기 접지벽(14)의 선단에 걸어지면서 접지벽(14)의 외면에 밀착되어 접지구(30)가 접지벽(14) 내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결합편(36)은 상기 접지벽(14)의 체결통공(18)과 제1결합공(37)이 일치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편(36)의 제1결합공(37), 접지벽(14)의 체결통공(18) 그리고 접지구몸체(32)의 제2결합공(37')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된다. 특히 상기 결합편(36)과 이에 대응되는 접지구몸체(32)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통공(18)이 접지벽(14)의 부분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36)에 링터미널(40)이 체결볼트(4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40')는 상기 링터미널(40), 결합편(36), 접지벽(14) 그리고 접지구몸체(32)에 동시에 체결된다. 특히, 상기 접지벽(14)을 사이에 두고 제1결합공(37)과 제2결합공(37')의 나사부에 체결볼트(40')가 체결되므로 체결력이 매우 강하게 되어 링터미널(40)의 고정 그리고 접지구(30)의 고정에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구(30)의 경우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짐에도 불구하고 체결볼트(40')와의 체결이 매우 견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20)는 상기 통공삽입부(24)가 상기 커넥터통공(12)에 삽입되고 상기 장착플랜지(22)가 블럭몸체(10)에 체결되어 블럭몸체(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에 있는 쉴드쉘(25)의 접촉편(26)은 상기 접지구(30)의 내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접촉되어 쉴드쉘(25)과 접지구(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20)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28)를 통해 전기연결과 신호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대커넥터와 커넥터(20) 그리고 블럭몸체(10)를 통해서 접지가 이루어지는 것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20)에 결합되면 쉴드쉘(25)을 통해 접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쉴드쉘(25)은 또한, 상기 접촉편(26)이 상기 접지구(30)의 내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어 상기 쉴드쉘(25)과 접지구(30)는 서로 접지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구(30)의 결합편(36)에 상기 링터미널(40)이 결합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접지구(30)와 링터미널(40)이 서로 접지연결되어 최종적으로는 상대커넥터, 커넥터(20)이 쉴드쉘(25), 블럭몸체(10)의 접지구(30) 그리고 링터미널(40)을 통한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럭몸체 12: 커넥터통공
14: 접지벽 16: 분할슬릿
18: 체결통공 20: 커넥터
22: 장착플랜지 24: 통공삽입부
25: 쉴드쉘 26: 접촉편
28: 와이어 30: 접지구
32: 접지구몸체 33: 걸이편
34: 슬릿대응부 35: 제1슬릿삽입부
35': 제2슬릿삽입부 36: 결합편
37: 제1결합공 37': 제2결합공
40: 링터미널 40': 체결볼트

Claims (11)

  1.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에 커넥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통공을 둘러 일측 표면으로 돌출되게 접지벽이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접지벽의 내면에 접지구몸체가 위치되고 일측에 있는 결합편이 상기 접지벽의 외면에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접지구와,
    상기 커넥터통공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접지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쉴드쉘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접지구의 결합편에 체결되고 접지를 수행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벽에는 분할슬릿이 접지벽의 선단에서 상기 블럭몸체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벽에는 상기 접지구와 터미널의 동시체결을 위한 체결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결합편의 제1체결공과 상기 접지구의 접지구몸체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통공이 형성된 접지벽의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위치되고 상기 접지벽의 내면에는 상기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접지구몸체가 위치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구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접지구몸체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단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접지벽의 외면에 걸어지는 걸이편과,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외면과 마주보게 접지구몸체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구몸체는 금속판을 통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상기 접지벽에 형성된 분할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대응부에서 마주보는 접지구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분할슬릿에 위치되는 제1슬릿삽입부와 제2슬릿삽입부가 형성되는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8.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얇은 금속판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슬릿대응부를 형성하게 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접지구몸체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접지구몸체의 외면과 일측이 마주보는 걸이편과,
    상기 슬릿대응부에 있는 접지구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슬릿삽입부 및 제2슬릿삽입부와,
    상기 접지구몸체의 일측 외면과 마주보게 접지구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접지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에는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과 중심이 일치하게 상기 접지구몸체에는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접지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2슬릿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접지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접지구몸체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지구.

KR1020190130028A 2019-10-18 2019-10-18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KR10226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8A KR102264994B1 (ko) 2019-10-18 2019-10-18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8A KR102264994B1 (ko) 2019-10-18 2019-10-18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85A true KR20210046385A (ko) 2021-04-28
KR102264994B1 KR102264994B1 (ko) 2021-06-16

Family

ID=7572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28A KR102264994B1 (ko) 2019-10-18 2019-10-18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794B2 (ja) 1997-08-08 2002-04-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回路基板相互間の接続装置
KR200422426Y1 (ko) * 2006-04-27 2006-07-26 시진성 오존발생기용 전극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KR20070062758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JP2011165383A (ja) * 2010-02-05 2011-08-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30002432U (ko) * 2011-10-14 2013-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879867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794B2 (ja) 1997-08-08 2002-04-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回路基板相互間の接続装置
KR20070062758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KR200422426Y1 (ko) * 2006-04-27 2006-07-26 시진성 오존발생기용 전극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JP2011165383A (ja) * 2010-02-05 2011-08-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30002432U (ko) * 2011-10-14 2013-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879867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994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728B2 (en) Equipment-mounting wire harness
EP2456018B1 (en) Waterproof structure
US7575476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KR101860224B1 (ko) 전자기 차폐형 커넥터 시스템
JP596776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US9966704B2 (en) Fixing structure of shield connector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US9147508B2 (en) Wire ho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US8096834B2 (en)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conduction mechanism
US11081817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bent portions
US11245218B2 (en) Method for improving clearance and creepage in a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ing a ma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US8932071B2 (en) Attachable plug-type connector
US9887479B2 (en) Connector
US2020015317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64994B1 (ko)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KR20210060819A (ko) 일괄차폐 커넥터
KR101862154B1 (ko) 고전압 커넥터
JP6984492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955751B2 (en) Connector
JPH11301379A (ja) アース線の接続構造
CN110168816B (zh) 用于安装在设备壳体中的插接连接器面板
KR20170064224A (ko) 고전압 커넥터
KR20210078321A (ko) 커넥터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