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60Y1 -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60Y1
KR200439560Y1 KR2020070001613U KR20070001613U KR200439560Y1 KR 200439560 Y1 KR200439560 Y1 KR 200439560Y1 KR 2020070001613 U KR2020070001613 U KR 2020070001613U KR 20070001613 U KR20070001613 U KR 20070001613U KR 200439560 Y1 KR200439560 Y1 KR 200439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connector
wire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1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커넥터장착공(22)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I)에 위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50)에서 와이어(52)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30)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50)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터미널(50)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I)에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40)와,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사이에 구비되는 시일(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서는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제2와이어커넥터(40)가 하우징(20)의 내부에서 결합되므로 별도의 이너시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방수가 이루어져 헤드램프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2020070001613
헤드램프조립체, 와이어커넥터, 방수

Description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Wire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헤드램프하우징 22: 커넥터장착공
24: 삽입요홈 30: 제1와이어커넥터
32: 제1커넥터몸체 34: 플랜지
36: 결합대 39: 체결공
40: 제2와이어커넥터 42: 제2커넥터몸체
47: 체결레버 48: 체결돌기
본 고안은 와이어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조립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를 헤드램프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에서 연결하는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제조되는 헤드램프조립체는 엔진룸내로 노출되는 헤드램프하우징의 외관에 복잡하게 와이어가 배치되지 않도록 와이어 커넥터를 사용하여 헤드램프조립체의 내부와 외부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와이어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채용되는 헤드램프조립체의 요부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드램프하우징(1)은 전면이 오목하게 요입되고 배면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배면은 엔진룸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전면에는 램프에서 나오는 광이 통과되는 램프렌즈(도시되지 않음)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1)을 요입되게 형성된 전면방향에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는 헤드램프, 포지션램프, 턴시그널램프 등 다수개의 램프가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각각 헤드램프설치부(3), 포지션램프설치부(5), 턴시그널램프설치부(7)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설치부(3,5,7)들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포지션램프설치부(5)와 턴시그널램프설치부(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램프브라켓(5',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램프브라켓(5',7')에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로 전달된 와이어(18)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램프설치부(5,7)에 설치되는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내부 와이어커넥터(9)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와이어커넥터와 협력하여 헤드램프하우징(1)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쪽으로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공급을 위한 모든 와이어는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를 통해서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의 외관을 몰드물인 내부커넥터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측 외주면을 둘러서는 장착플랜지(11)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플랜지(11)를 기준으로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측은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일단부에는 커넥터연결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연결부(12)는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들의 선단에 구비되는 별도의 상기 외부 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타단부는 와이어안내부(13)이다. 상기 와이어안내부(13)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18)들이 내부 와이어커넥터(9)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과 연결되기 위해 인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커넥터몸체(10)의 와이어안내부(13)를 통해 안내되어 내부커넥터몸체(10)의 내부에서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18)들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에 구 비되는 각각의 브라켓(5',7')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5',7')에 램프가 장착됨에 의해 와이어(18)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와이어(18)중 일부에는 별도의 연결커넥터(19)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커넥터(19)는 헤드램프에 연결되어 헤드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바깥쪽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측, 즉 엔진룸을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 사이의 결합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의 외측에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외부 와이어커넥터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1)과 램프렌즈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아니라, 차량의 엔진룸을 향해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와 상기 외부 와이어커넥터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 역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두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이너시일을 상기 내부 와이어커넥터(9) 또는 외부 와이어커넥터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는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늘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헤드램프조립체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커넥터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장착공에는 가장자리를 둘러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는 상기 삽입요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삭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몸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는 시일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는 상기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이를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에는 각각 와이어시일이 구비된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는 수커넥터이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커넥터이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체결공과 체결돌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서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의 내부에서 결합되므로 별도의 이너시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방수가 이루어져 헤드램프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에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Ⅲ-Ⅲ'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드램프하우징(2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커넥터장착공(22)이 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삽입요 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요홈(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결합대(36)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은 램프렌즈(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여 내부공간(I)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I)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여, 램프에서 나오는 광은 상기 램프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된다. 상기 내부공간(I)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과 램프렌즈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I)의 타측, 즉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의해 구획되는 헤드램프하우징(20)의 외측은 엔진룸에 해당되는 부분이다(이하 '외부공간(O)'이라 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와이어커넥터(30)의 외관을 제1커넥터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터미널(50)이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50)과 연결되는 와이어(52)가 외부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수커넥터이고 후술할 제2와이어커넥터(40)가 암커넥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에 후술할 제2커넥터몸체(42)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상인데, 그 일측에는 외면을 둘러 플랜지(34)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4)는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의 일면에 커넥터시일(38)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된다. 이는 방수를 위함이다.
상기 플랜지(34)를 기준으로 상기 제1커넥터몸체(32)는 관통부(35a)와 와이 어가이드부(35b)로 나누어진다. 상기 관통부(35a)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I)에 위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5b)는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공간(O)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관통부(35a)의 외면 선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결합대(3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36)는 상기 관통부(35a)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요홈(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36)에는 각각 일방향으로 결합안내면(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36')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장착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통부(35a)의 외면에는 체결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9)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돌기(48)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제2와이어커넥터(4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커넥터(40)의 외관은 제2커넥터몸체(4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는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의 선단은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관통부(35a)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에는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체결공(39)에 결합되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제2와이어커넥터(40)와 결합되게 하는 체결레버(4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47)는 상기 제2커넥터몸체(42)에 일체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체결레버(47)의 상면에는 체결돌기(48)가 돌출되게 형성된 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48)가 상기 체결공(39)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레버(47)는 탄성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47)의 후단에는 누름부(49)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49)는 상기 체결돌기(48)가 체결공(39)에 결합된 상태에서, 둘 사이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상기 체결레버(47)를 탄성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공(39)이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47)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및 제2와이어커넥터(30,40)에는 각각 다수개의 터미널(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50')에는 와이어(52')가 결합되어, 외부의 부품과 전기적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기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2')에는 와이어시일(55')이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50)이 상기 커넥터(30, 40)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먼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결합대(36)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의 삽입요홈(24)을 통과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대(36)는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5b)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있 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의 상기 관통부(35a)가 상기 외부공간(O)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I)으로,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통과하도록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통부(35a)는 상기 내부공간(I)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부(35b)는 상기 외부공간(O)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대(36)의 결합안내면(36')이 상기 삽입요홈(24)의 일측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커넥터몸체(32)의 플랜지(34)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커넥터시일(38)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I)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를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에 결합한다. 즉,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통해 내부공간(I)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관통부(35a)의 내부에,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를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공(39)에 체결돌기(48)가 끼워진다. 즉, 상기 제2커넥터몸체(42)가 상기 관통부(35a)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돌기(48)가 상기 관통부(35a)의 천장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체결레버(47)는 하방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48)가 상기 체결공(39)에 삽입되는 순간, 상기 체결레버(47)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체결공(39)과 체 결돌기(48)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제2와이어커넥터(40)가 결합되고, 또한 두 커넥터조립체가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관통부(35a) 및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2커넥터몸체(42)는 상기 내부공간(I)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30,40)사이의 결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그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립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를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고정하기에 앞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30)와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를 먼저 체결하고, 다음으로 두 커넥터조립체를 상기 커넥터장착공(22)을 통해 이동시켜, 상기 헤드램프하우징(20)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의 크기가 상기 커넥터장착공(22)에 비해 작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헤드램프하우징(20)에 와이어커넥터(30,40)가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어떤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전원과 신호연결을 위해 본 고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커넥터(30,40)는 각각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제1와이어커넥터(30)가 암커넥터가 되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40)가 수커넥터가 될 수도 있 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커넥터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의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커넥터와 제2와이어커넥터 사이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두 커넥터결합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헤드램프조립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두 커넥터가 헤드램프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결합되므로, 별도의 이너시일 없이도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커넥터장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커넥터와;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와이어커넥터와;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장착공에는 가장자리를 둘러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에는 상기 삽입요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몸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의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몸체는
    상기 플랜지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장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이를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에는 각각 와이어시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는 수커넥터이고,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커넥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커넥터와 상기 제2와이어커넥터에는 체결공과 체결돌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KR2020070001613U 2007-01-29 2007-01-29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KR200439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13U KR200439560Y1 (ko) 2007-01-29 2007-01-29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613U KR200439560Y1 (ko) 2007-01-29 2007-01-29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60Y1 true KR200439560Y1 (ko) 2008-04-29

Family

ID=4164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613U KR200439560Y1 (ko) 2007-01-29 2007-01-29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907B1 (ko) 2014-07-23 2015-11-17 주식회사 넥센테크 고전압 대전류용 와이어링 하네스와 이의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907B1 (ko) 2014-07-23 2015-11-17 주식회사 넥센테크 고전압 대전류용 와이어링 하네스와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US10309634B2 (en) LED strip connector system
KR101421397B1 (ko) 전선 유지 및 방수 구조와 led 유닛
CN104617436B (zh) 容座形壳体、连接器、以及具有线缆支撑件的连接器布置
JP5876903B2 (ja) ハウジング壁へ取付けるグロメット
US9614317B2 (en) Connector support structure and adaptor
US9570898B2 (en) Wire protection structure
KR101389053B1 (ko) 라인 타입의 엘이디 조명등
US9478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KR10086609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30802Y1 (ko)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US917216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US9190768B2 (en) Connector having a first seal and a second seal and a pressing rib
KR200439560Y1 (ko) 와이어커넥터의 장착구조
JP2019046605A (ja) 照明器具、照明装置並びに照明システム
US20200169026A1 (en) Connector
US20140036514A1 (en) Led lighting unit
JP2017084831A (ja) コネクタ装置
JP6096599B2 (ja) コネクタ装置
CN111864454A (zh) 一种防水穿墙连接器
KR200366471Y1 (ko) 헤드램프커넥터와 와이어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090009919U (ko) 방수시일
JP5010231B2 (ja) ブッシ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240133560A (ko) Led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