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52B1 - 단자위치보증부재 - Google Patents

단자위치보증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952B1
KR100919952B1 KR1020070083367A KR20070083367A KR100919952B1 KR 100919952 B1 KR100919952 B1 KR 100919952B1 KR 1020070083367 A KR1020070083367 A KR 1020070083367A KR 20070083367 A KR20070083367 A KR 20070083367A KR 100919952 B1 KR100919952 B1 KR 10091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ition
connector
waterproof
terminal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148A (ko
Inventor
최문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9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를 수용하며, 단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랜스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위치보증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방수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고정하는 단자위치보증부(10)와,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수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방수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자위치보증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
본 발명은 단자를 수용하며, 단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랜스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위치보증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장치와의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확실한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된다.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는 단자가 커넥터에 수용되어 확실하게 커넥터와 결합되었는지를 검증하고 보증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커넥터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단자가 커넥터에 삽입되면 단자를 고정하는 랜스와 접촉가능하게 하여, 단자가 제자리에 결합되지 않으면 랜스가 TPA와 접촉되도록 하여 더 이상 TPA가 삽입되지 못하게 하여 단자의 결합불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의 경우 누전이나 접속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를 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방수씰(seal)을 장착하게 된다. 방수씰을 사용하고 TPA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결합공간에 방수씰을 넣은 후 TPA를 그 위에 장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TPA는 쉽게 제거가 가능하지만 방수씰은 좁은 공간에 들어가서 잘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장착할 때에도 좁은 공간에 방수씰을 밀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에 방수씰과 TPA의 장탈착이 용이한 단자위치보증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단자를 수용하며, 단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랜스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위치보증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수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고정하는 단자위치보증부(10)와,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수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방수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방수부(20)는 이중 사출성형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는 몸체부(11),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랜스위치고정부(13), 단자관통공(14), 랜스관통공(15), 커넥터관통공(16)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부(20)는 상기 커넥터관통공의 둘레(16a)를 따라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자위치보증부와 방수부가 이중 사출성형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별개로 형성하여 기계적 결합에 의존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성형에 의해 조립공수를 줄이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수씰(seal)을 커넥터에 결합하고 다시 단자위치보증부재를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단자위치보증부재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부재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도 3은 단자위치보증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부재는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자위치보증부 (10)와 방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는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구성으로 상기 방수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되듯이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는 몸체부(11),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랜스위치고정부(13), 단자관통공(14), 랜스관통공(15), 커넥터관통공(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단자위치보증부의 몸체가 되는 구성으로 원통형 구성이다. 내부가 비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랜스위치고정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랜스위치고정부(13)는 상기 커넥터가 단자위치보증부재와 결합되면 커넥터에 제공되는 랜스의 하부로 진입하여 랜스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단자가 결합될때 단자와 랜스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관통공(14)은 단자위치보증부와 커넥터가 결합시에 커넥터의 내부에 장착된 단자로 타 커넥터의 단자가 결합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랜스관통공(15)은 상기 랜스위치고정부(13)가 랜스의 하부로 진입함에 따라 랜스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랜스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관통공(16)은 상기 수용공간(12)으로 커넥터가 진입할 수 있는 입구를 말한다.
상기 방수부(20)는 방수소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구성으로,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방수부(20)는 이중 사출성형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별개로 형성하여 기계적 결합에 의존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성형에 의해 조립공수를 줄이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방수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방수씰(seal)을 커넥터에 결합하고 다시 단자위치보증부재를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방수부(20)는 상기 커넥터관통공의 둘레(16a)를 따라 상기 단자위치보증부(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와 같이 커넥터관통공의 둘레(16a)의 면을 따라 상기 방수부(20)가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단자위치보증부재를 커넥터에 결합한다고 하여도 커넥터는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수부(20)는 방수를 위한 외측산(21)과 내측산(22) 및 간격돌기(23)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방수를 위한 구성으로 가요성이 있는 방수부가 커넥터에 결합시 상기 외측산과 내측산이 변형이 되어 커넥터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돌기는 커넥터에 방수부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단자를 수용하며, 단자의 위치를 고정하는 랜스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위치보증부재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고정하는 단자위치보증부와,
    상기 단자위치보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부와 방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위치보증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랜스위치고정부, 단자관통공, 랜스관통공, 커넥터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커넥터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단자위치보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위치보증부재.
KR1020070083367A 2007-08-20 2007-08-20 단자위치보증부재 KR100919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67A KR100919952B1 (ko) 2007-08-20 2007-08-20 단자위치보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67A KR100919952B1 (ko) 2007-08-20 2007-08-20 단자위치보증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48A KR20090019148A (ko) 2009-02-25
KR100919952B1 true KR100919952B1 (ko) 2009-10-01

Family

ID=4068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367A KR100919952B1 (ko) 2007-08-20 2007-08-20 단자위치보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03B1 (ko) * 2013-11-29 2015-03-20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핀 블록 오토 얼라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019A (ja) * 2000-02-23 2001-08-31 Yazaki Corp ホルダ抜け防止コネクタ
KR20020027239A (ko) * 2000-10-06 2002-04-13 추후제출 방수 글로밋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019A (ja) * 2000-02-23 2001-08-31 Yazaki Corp ホルダ抜け防止コネクタ
KR20020027239A (ko) * 2000-10-06 2002-04-13 추후제출 방수 글로밋
KR200430802Y1 (ko) * 2006-08-23 2006-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48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9984B2 (ja) 防水コネクタ構造、ジャック部品、電子機器及びプラグ部品
CN104937784B (zh) 汽车充电连接器
WO2007040013A1 (ja) コネクタ
JP2003297479A (ja) 防水コネクタ
WO2002097931A3 (en) Connector
JP2006236777A (ja) コネクタ用変換アダプタおよびコネクタ
KR20090046692A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US6638090B2 (en) Waterproof connector used for a flexible flat cable
US20220250548A1 (en)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and/or Electronic Appliance with an Appliance Housing, as well as Appliance Housing Assembly and Sensor Assembly
JP5303348B2 (ja)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KR100919952B1 (ko) 단자위치보증부재
US633478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y attaching circuit board
KR20010092528A (ko) 전자 기기용 커넥터
US20220200193A1 (en)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bicycle
CA2346757C (en) Plug connector
JPH118009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ケーシング並びに防水コネクタ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ケーシングと相手方防水コネクタとの組合せ
KR101151896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JP201307391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107634379B (zh) 连接器
JP7282449B2 (ja) プラグおよびレセプタクル
CN220492347U (zh) 插头及连接器
JPH0247571Y2 (ko)
KR200161440Y1 (ko) 방수형 플러그/커넥터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KR100619950B1 (ko) 잭용 이너캡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