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381B1 -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381B1
KR102383381B1 KR1020200079720A KR20200079720A KR102383381B1 KR 102383381 B1 KR102383381 B1 KR 102383381B1 KR 1020200079720 A KR1020200079720 A KR 1020200079720A KR 20200079720 A KR20200079720 A KR 20200079720A KR 102383381 B1 KR102383381 B1 KR 10238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witch
connection terminals
pow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71A (ko
Inventor
조경제
Original Assignee
조경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제 filed Critical 조경제
Priority to KR102020007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3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에 (+)(-) 전극핀측과 (+)(-) 출력 전원선측을 동시에 모두 연결 또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스위치 조작으로 전기에너지 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한쌍의 전극핀(111)이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전극고정플레이트(110) 상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전극핀(111)들 상단부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와;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가 배치된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면 후단부에는 전원선(200)과 연결된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가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되는 구획부재(130)와; 상부가 개방되어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구획부재(130)가 수용되며, 바닥면에는 한쌍의 전극핀(111) 하단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한쌍의 핀홀(151)이 천공되고, 상부 후방에는 전원선(200)이 배치되는 전선가이드(152)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50)와;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부는 하부케이스(15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60)와; 상부케이스(160)에 수용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부케이스(160)의 바닥을 관통하여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입력 스위치단자(171) 및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가 마련되고, 버튼(173) 조작을 통해 상기 한쌍의 입력스위치단자(171)와 상기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를 동시에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양극 전원스위치(1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ELECTRIC POWER PLUG}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접속시키는 전원플러그에 (+),(-) 전극핀측과 출력 전원선측을 동시에 연결 또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스위치 조작으로 대기전력 소모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나 TV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꽂아 사용하지만,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지 전기제품에 마련된 전원스위치만 오프하고 전원플러그는 대부분 콘센트에 꽂아진 상태로 유지된다.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기제품의 전원스위치만 오프하면, 전기제품내의 회로상에 미세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전기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꽂아두면 전기에너지가 낭비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둔 상태로 두는 것은 전원플러그를 빼는 행위 자체가 번거롭고 매번 허리를 굽혀 강하게 꽂혀있는 전워플러그를 빼거나 사용시 다시 꼽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27503(공개일자 2003년 4월 07일)에는 스위치 조작으로 전기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특2003-0027503호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접속단자부(1)와, 개폐장치를 가진 스위치부(2)와, 접속단자부(1)와 스위치부(2)를 내장하는 몸체부(3)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난 후 전기제품의 자체 전원을 끄고 스위치부(2)를 폐쇄(오프)하면 전기제품측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선들 중에서 (+) 또는 (-) 중 어느 하나만을 스위치부(2)를 통해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단되지 않은 전원선을 통해 미세하게 흐르는 대기전력까지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접속되는 전원플러그에 (+)(-) 전극핀측과 (+)(-) 출력 전원선측을 동시에 모두 연결 또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스위치 조작으로 전기에너지 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한쌍의 전극핀이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전극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한쌍의 전극핀들 상단부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입력연결단자와;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가 배치된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면 후단부에는 전원선과 연결된 한쌍의 출력연결단자가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되는 구획부재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와 구획부재가 수용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한쌍의 전극핀 하단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한쌍의 핀홀이 천공되고, 상부 후방에는 상기 전원선이 배치되는 전선가이드가 마련된 하부케이스와;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수용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입력 스위치단자 및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가 마련되고, 버튼 조작을 통해 상기 한쌍의 입력스위치단자와 상기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를 동시에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양극 전원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 하단부는 상기 전극핀의 상부 끝단에 볼트 체결되어 접속되고;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 상단부는 상기 양극 전원스위치의 입력 스위치단자가 상부에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가 상기 구획부재의 후단부 좌우에 오목하게 형성된 단자 안착부에 각각 안착 배치되며;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양극 전원스위치의 출력 스위치단자가 상부에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외곽을 합성수지 사출 성형을 통해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측면에 파지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콘센트에 직접 접속되는 (+)(-) 전극핀측(입력연결단자)과 (+)(-) 출력 전원선측(입력출력단자)을 양극 전원스위치를 통해 동시에 모두 연결 또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에 전원플러그가 꽂아 있는 상태에서도 양극 전원스위치를 통해 미세하게 흐를 수 있는 대기전력까지도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전기에너지 낭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에서는 구획부재와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통해 양극 전원스위치를 모듈화할 수 있어 이들의 조립, 생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U형태의 접속단부를 통해 한쌍의 입력연결단자와 양극 전원스위치의 입력스위치단자가 용이하면서 견실하게 접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한쌍의 출력연결단자가 구획부재에 견실하게 안착 배치되며 U형태의 접속단부를 통해 양극 전원스위치의 출력스위치단자가 용이하면서 견실하게 접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에 의하면;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외곽이 파지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통해 감싸여지기 때문에, 전원플러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부를 통해 콘센트에 손쉽게 꽂거나 빼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27503호에 개시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에서 전극핀과 입력연결단자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에서 구획부재와 출력연결단자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에서 전극고정플레이트 및 구획부재가 수용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조립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 전극핀측과 (+)(-) 출력 전원선측을 모두 연결 또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있는 상태에서도 간편한 스위치 조작으로 전기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100)는 한쌍의 전극핀(111)이 세워져 배치되는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전극핀(111)들 상단부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와,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가 배치된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가 배치되는 구획부재(130)와,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구획부재(130)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150)와, 하부케이스(15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60)와, 상부케이스(160)에 수용 배치되는 양극 전원스위치(170)와,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측면에 파지부(181)가 마련된 하우징(180)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전극고정플레이트(110)는 (+)(-) 한쌍의 전극핀(111)을 좌우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사출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한쌍의 전극핀(111)은 콘센트(미도시)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외부전원과 실질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이의 상단은 전극고정플레트(110)의 좌우 양측에 관통하여 고정 배치된다. 또한,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전후방부에는 접지단(112)이 세워져 배치된다.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는 전극고정플레이트(110) 상측으로 연장된 전극핀(111)들 상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이러한 입력연결단자(120)들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하단부(121)는 전극핀(111)의 상부 끝단에 볼트(123) 체결되어 접속되고, 이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입력 스위치단자(171)가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는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좌우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구획부재(13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된 것으로,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가 배치된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면 후단부에는 전원선(200)과 연결된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가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되어 있다. 구획부재(130)의 상면 후단부 좌우에는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가 각각 구획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자 안착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의 단부에도 후술하는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출력 스위치단자(172)가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141)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50)는 상부가 개방되어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구획부재(130)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의 바닥면에는 한쌍의 전극핀(111) 하단부가 관통하여 아래로 노출되도록 한쌍의 핀홀(151)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5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케이스(16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홀(153)들이 마련되며, 상부 후방에는 전원선(2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전선가이드(1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60)는 양극 전원스위치(17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부 가장자리는 하부케이스(15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크 결합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부케이스(16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결합홀(153)들과 대향되게 후크 결합편(161)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전원스위치(170)는 상부케이스(160)에 수용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상부케이스(160)의 바닥을 관통하여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입력 스위치단자(171)와,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양극 전원스위치(170)는 상부에 마련된 버튼(173)을 조작하여 한쌍의 입력 스위치단자(171)측과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측을 동시에 연결 또는 차단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양극 전원스위치(170)는 상부의 버튼(173) 조작을 통해 (+)(-) 입력 스위치단자(171)측과 (+)(-) 출력 스위치단자(172)측을 모두 연결 또는 모두 차단시킬 수 있는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로 적용하였으며, 내부에 배치된 엘이디램프(미도시)의 점등에 따라 온/오프 여부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8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의 외곽을 합성수지 사출 금형을 통해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측면에 파지부(181)가 대향되게 마련된 것으로,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100)의 조립 생산과정을 통해 상술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조립 생산과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한쌍의 전극핀(111)과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가 조립된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중앙에 구획부재(130)를 배치한다. 그리고 구획부재(130)의 단자 안착부(131;도 7 참조)에 각각 전원선(200)과 연계된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를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한다. 이러한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구획부재(130)를 하부케이스(150)에 수용 배치하면, 한쌍의 전극핀(111)은 핀홀(151;도 8 참조)을 통해 하단부가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60)에는 양극 전원스위치(170)를 수용 배치한다. 이때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입력 스위치단자(171)와 출력 스위치단자(172)는 상부케이스(170)의 바닥을 통해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다. 이때,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버튼(173)은 상부케이스(16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양극 전원스위치(170)가 수용 배치된 상부케이스(160)를 후크 결합편(161)과 결합홀(153;도 5 참조)을 통해 후크 결합방식으로 하부케이스(150)와 결합하면(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입력 스위치단자(171)들은 입력연결단자(120)들의 접속단부(122)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출력 스위치단자(172)들은 출력연결단자(140)들의 접속단부(141)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국, 하부케이스(150) 상부에 상부케이스(160)를 결합함과 동시에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입력 스위치단자(171)들과 출력 스위치단자(172)들 역시 대향되는 입력연결단자(120)들 및 출력연결단자(140)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가조립된다.
계속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조립된 상태의 전원플러그(100)를 합성수지 사출 금형에 인서트한 후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의 외곽을 감싸도록 하우징(180)을 성형하면,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는 완전히 일체화되어 분해조립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80)의 측면에 파지부(181;도 3 참조)를 대향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것은 콘센트에 용이하게 꽂거나 잡아 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사용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기제품을 사용하고자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플러그(100)를 콘센트에 꽂은 후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버튼(173) 조작을 통해 이를 온(ON) 시킨다. 이에 따라 입력연결단자(120)들과 출력연결단자(140)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 (-) 양극이 모두 접속되어 전기제품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사용자는 전기제품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 전원스위치(170)가 온(ON) 된 경우에는 내장된 엘이디램프가 점등되어 온 상태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이 적용된 전원플러그(100)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버튼(173) 조작을 통해 이를 오프(OFF) 시키면, 입력연결단자(120)들과 출력연결단자(140)들이 모두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된다. 즉, (+) (-) 양극이 모두 차단되어 전기제품 측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전원플러그(100)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버튼(173) 조작을 통해 (+)(-)양극을 모두 차단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미세하게 흐를 수 있는 대기전력까지도 완전하게 차단되어 전기에너지 낭비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양극 전원스위치(170)가 오프(OFF) 된 경우에는 내장된 엘이디램프 역시 오프되어 오프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00..전원플러그 110..전극고정플레이트 111..전극핀
112..접지단 120..입력연결단자 121..하단부
122..상단부(접속단부) 123..볼트 130..구획부재
131..단자 안착부 140..출력연결단자 141..접속단부
150..하부케이스 151..핀홀 152..전선가이드
153..결합홀 160..상부케이스 161..후크 결합편
170..양극 전원스위치 171..입력 스위치단자 172..출력 스위치단자
173..버튼 180..하우징 181..파지부

Claims (4)

  1. 삭제
  2.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100)는;
    한쌍의 전극핀(111)이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는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며, 하단부는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110)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한쌍의 전극핀(111)들 상부 끝단에 볼트(123) 체결되어 접속되고, 상단부는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122)로 이루어진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와;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가 배치된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면 후단부에는 전원선(200)과 연결된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가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되는 구획부재(130)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극고정플레이트(110)와 구획부재(130)가 수용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한쌍의 전극핀(111) 하단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한쌍의 핀홀(151)이 천공되고, 상부 후방에는 상기 전원선(200)이 배치되는 전선가이드(152)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50)와;
    상부가 개방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케이스(15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후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상부케이스(160)와;
    상기 상부케이스(160)에 수용 배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60)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입력연결단자(120) 접속단부(122)에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한쌍의 입력 스위치단자(171) 및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와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가 마련되고, 버튼(173) 조작을 통해 상기 한쌍의 입력스위치단자(171)와 상기 한쌍의 출력 스위치단자(172)를 동시에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양극 전원스위치(1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는 상기 구획부재(130)의 후단부 좌우에 오목하게 형성된 단자 안착부(131)에 각각 안착 배치되며;
    상기 한쌍의 출력연결단자(140)의 단부에는 상기 양극 전원스위치(170)의 출력 스위치단자(172)가 상부에서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U형태로 절곡된 접속단부(14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100)는;
    상기 하부케이스(150)와 상부케이스(160)의 외곽을 합성수지 사출 성형을 통해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측면에 파지부(181)가 마련된 하우징(18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차단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KR1020200079720A 2020-06-30 2020-06-30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KR10238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20A KR102383381B1 (ko) 2020-06-30 2020-06-30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20A KR102383381B1 (ko) 2020-06-30 2020-06-30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71A KR20220001571A (ko) 2022-01-06
KR102383381B1 true KR102383381B1 (ko) 2022-04-05

Family

ID=7934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20A KR102383381B1 (ko) 2020-06-30 2020-06-30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43B1 (ko) * 2022-03-07 2023-12-19 조경제 콘센트용 스위치의 단자 접속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397Y1 (ko) * 2004-08-06 2004-11-03 민대근 2극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기구 플러그
US20150214719A1 (en) * 2014-01-24 2015-07-30 Victor V Aromin Mini appliance leakage current inerrupter circuit and housing embodi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741B1 (en) * 2002-08-22 2004-10-12 Tower Manufacturing Corporation Electric plug for a power co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397Y1 (ko) * 2004-08-06 2004-11-03 민대근 2극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기구 플러그
US20150214719A1 (en) * 2014-01-24 2015-07-30 Victor V Aromin Mini appliance leakage current inerrupter circuit and housing embodi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71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385B2 (en) Extension cord lock and in line tap
US20100022106A1 (en) Extension Cord Lock and In Line Tap
CA1278837C (en) Fused electrical plug
KR102383381B1 (ko)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KR20070120219A (ko)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KR100727554B1 (ko) 절전형 콘센트
KR200461300Y1 (ko) 접지형 매입콘센트
KR101164431B1 (ko)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KR200263495Y1 (ko) 전선 수용 공간이 구비된 멀티 콘센트
KR100477529B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US5836778A (en) Lamp connector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KR200270405Y1 (ko) 콘센트
KR200240771Y1 (ko) 배선의 정리가 용이한 멀티 탭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0197417Y1 (ko) 회전식 콘센트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JPH0334499A (ja) 電気器具
KR100299300B1 (ko) 전기배선의분기결선을위한컨넥터
KR920005454B1 (ko) 전기콘센트
KR940004435Y1 (ko) 전압전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