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431B1 -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 Google Patents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431B1
KR101164431B1 KR1020120008108A KR20120008108A KR101164431B1 KR 101164431 B1 KR101164431 B1 KR 101164431B1 KR 1020120008108 A KR1020120008108 A KR 1020120008108A KR 20120008108 A KR20120008108 A KR 20120008108A KR 101164431 B1 KR101164431 B1 KR 10116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ing member
switch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창용
Original Assignee
곽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창용 filed Critical 곽창용
Priority to KR102012000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를 별도의 일체형 개별스위치 및 납땜 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본 발명은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별도의 납땜 작업 없이도 각 접점에 단자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한 개의 콘센트에서 다수 개의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한 개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몸체에 2개 이상의 콘센트가 분기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전원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멀티탭은 입력선과 출력선 및 접지선이 내장된 전원코드와, 두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입출력단자와 이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접점이 2극으로 형성된 메인스위치 및 보조스위치를 상호 접속하여, 상기 메인스위치 및 보조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2극의 입출력단자가 동시에 온.오프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접점에 연결되는 경우, 그리고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접점에 연결되는 경우 모두 납땜작업 및 일체형 개별스위치를 통해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멀티탭의 제조 시에는 일체형 개별스위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각 스위치 마다 4번씩의 납땜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며, 또한 일체형 개별 2극스위치의 고장 및 불량 시에는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므로, 그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에 따라 유해 물질인 납이 멀티탭 제품 내에 포함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이나 제품폐기 과정에서 유해 물질이 발생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를 별도의 일체형 개별스위치 및 납땜 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는,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1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천공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4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며 한 쌍 중 일측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상판 하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의 각 접점을 격리시키는 "+" 형상의 격벽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격벽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끼움부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는,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각 분기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2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정부재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상면에는 상기 분기스위치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 및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관통되도록 각각 3개씩의 단자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면에는 각 접점에 결합되는 단자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탄성돌기를 갖는 한 쌍의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가 하단에 걸턱이 구비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분기스위치에 배열된 각 접점 사이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 측과, 각 분기스위치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 측에 특정 구조의 제 1 및 제 2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가 접점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납땜 작업 및 일체형 개별스위치의 사용 없이도 견고하게 단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각 단자를 일체형 스위치 및 납땜작업으로 해당 접점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없앰에 따라, 생산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멀티탭 제품에서 유해물질인 납을 제거하므로서, 보다 친환경적인 고품질의 멀티탭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된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되는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된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되는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는 2극 스위치 멀티탭(100)에서 메인스위치(200) 및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210,310)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220,230,320)들을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장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적용된 2극 스위치 멀티탭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 제 1고정부재(10)가 장착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분기스위치(300) 접점(310) 측에 각각 제 2고정부재(3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콘센트에서 다수 개의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멀티탭(100)은 한 개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몸체에 다수 개의 콘센트가 분기되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탭(100)은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멀티탭 몸체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한 쌍의 입출력선(112) 및 접지선(114)을 포함한 전원케이블(110)이 연결된다.
또, 상기 멀티탭(100)에는 상기 전원케이블(11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 개의 전기기구 측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콘센트가 배열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케이블(110)의 연결지점에는 멀티탭(100)으로 공급되는 전체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메인스위치(200)가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콘센트 각각에는 해당 콘센트의 전원만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분기스위치(3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00) 측에는 대략 "+" 형상을 갖는 격벽(240)을 중심으로 4개의 접점(210)이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점에는 연결단자(230)를 매개로 입력선 및 출력선(112)이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한 쌍의 접점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분기스위치(300) 측에는 4개의 접점(310)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점에는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한 쌍의 접점에는 해당 플러그와 연결된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00) 및 분기스위치(300)에 구비되는 각 접점(210,310)은 대략 바(bar) 형상의 전도체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연결단자(230)와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 측에는 각 접점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접점끼움홀(220a,23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200) 및 분기스위치(300)의 해당 접점(210,310)에 해당 단자의 접점끼움홀이 끼워진 상태에서, 소정 형상의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30)가 장착되므로서, 상기 접점끼움홀을 매개로 접점에 결합된 상술한 단자들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먼저,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도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의 입출력선(112)이 연결된 연결단자(230) 및 메인스위치(200)와 분기스위치(300)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220)를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상판(1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12)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형성된 4개의 접점(210)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14)이 천공되어 4개의 관통홀(14)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12)의 각 관통홀(14)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서는 결합부(16)가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6)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형성된 4개의 접점(210)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4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어 구성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결합부(16)에서 일측 부재의 하단에는 가압돌기(18)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부재에는 상기 가압돌기(18)와 엇갈이는 높이에 가압돌부(19)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6)의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는 상기 접점(210) 및 해당 단자 측에 결합부(16)가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상판(12) 하면에는 그 몸체를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끼움부(20) 및 보조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는 각 접점(210)을 분리시키기 위한 "+" 형상의 격벽(2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끼움부(20)는 상기 격벽(24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한 쌍의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조끼움부(22)는 상기 끼움부(20)의 90°방향에 그 평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엇갈린 상태로 다수 개가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대응되는 지점의 격벽(240) 상단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도체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분기스위치(300)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220) 및 해당 콘센트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를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접점(3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32)를 갖으며, 그 상면에는 상기 분기스위치(300)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310)과 대응되도록 관통홀(33)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되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 및 해당 플러그 측과 연결된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 3개씩의 단자관통홈(3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32)의 내부에 해당하는 하면에는 한 쌍의 가압부(36)가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각 가압부(36)의 양측에는 각 접점(310)에 결합되는 해당 단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탄성돌기(38)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전면 양측에는 장착 시 해당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32)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부(40)가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된 입출력단자(220)와 해당 분기스위치(300) 외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하단에 형성된 걸턱(42)이 상기 분기스위치(300)의 외면 일정 지점에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내부에 해당하는 하면에는 해당 분기스위치(300)에 배열된 각 접점(310) 사이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44)가 돌출 형성되어, 각 접점(310)의 상단부분이 맞닿은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를 매개로 멀티탭(100) 내부의 각 단자(220,230,320)들을 메인스위치(200) 및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210,3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메인스위치(200)에 수직으로 배열 형성된 접점(210) 중 일측 한 쌍의 접점에 입력선 및 출력선(112)이 단부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연결단자(230)를 각각 끼워 결합시킴과 아울러, 타측 한 쌍의 접점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를 각각 끼워 결합시켜 다수 개의 분기스위치(300) 측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각 분기스위치(300)의 해당 접점(310)에 한 개씩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다.
또, 멀티탭(100)의 각 콘센트와 연결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는 각각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한 쌍의 접점(310)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에 끼워진 연결단자(230) 및 입출력단자(220) 측에는 제 1고정부재(10)를 상측에서 장착하는 한편,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310)에 끼워진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 측에는 제 2고정부재(30)를 상측에서 장착하여 해당 단자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고정부재(10)를 상측에서 장착함에 따라, 상판(12) 하면 양측에 구비된 끼움부(20)가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구비된 격벽(24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20)의 90°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보조끼움부(22)는 격벽(240)의 대응되는 지점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구비된 4개의 접점(210)은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상판(12)에 천공된 4개의 관통홀(14) 측에 각각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제 1고정부재(10)에 구비된 4쌍의 결합부(16)는 각각의 접점(210)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게 된다.
또,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 결합부(16)에는 일측 부재 및 타측 부재에 각각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가 엇갈리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를 통해 해당 단자가 접점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30)를 각 분기스위치(300)의 상측에서 장착함에 따라, 상기 분기스위치(300)에 배열된 4개의 접점(310)은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상면에 천공된 관통홀(33) 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전면에 구비된 각 단자관통홈(34) 측에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되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 및 해당 플러그 측과 연결된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후면에 구비된 한 개의 단자관통홈(34) 측에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재(30)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부(36)는 4개의 접점(310) 중 대응되는 접점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면서 탄성돌기(38)를 매개로 해당 단자가 견고하게 접점에 지지되도록 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몸체(32) 내부에 해당하는 하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44)는 해당 분기스위치(300)에 배열된 각 접점(310) 사이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각 접점(310)을 상단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전면 양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40)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된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와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외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하단에 형성된 걸턱(32)이 상기 분기스위치(300) 외면의 대응부분에 단속되어, 제 2고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따르면,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30)를 통해 메인스위치(200) 및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210,310)에 끼워지는 연결단자(230)와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 등을 추가적인 납땜작업이 없이도 매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제 1고정부재, 12: 상판,
14: 관통홀, 16: 결합부,
18: 가압돌기, 19: 가압돌부,
20: 끼움부, 22: 보조끼움부,
30: 제 2고정부재, 32: 몸체,
33: 관통홀, 34: 단자관통홈,
36: 가압부, 38: 탄성돌기,
40: 지지부, 42: 걸턱,
44: 가이드돌기, 100: 멀티탭,
110: 전원케이블, 112: 입출력선(입력선 및 출력선),
114: 접지선, 200: 메인스위치,
210: 접점, 220: 입출력단자(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220a,230a: 접점끼움홀, 230: 연결단자,
240: 격벽, 300: 분기스위치,
310: 접점, 320: 플러그핀 삽입단자.

Claims (4)

  1.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1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천공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4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며 한 쌍 중 일측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상판 하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의 각 접점을 격리시키는 "+" 형상의 격벽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격벽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끼움부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
  2. 삭제
  3.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각 분기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2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정부재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상면에는 상기 분기스위치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 및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관통되도록 각각 3개씩의 단자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면에는 각 접점에 결합되는 단자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탄성돌기를 갖는 한 쌍의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가 하단에 걸턱이 구비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분기스위치에 배열된 각 접점 사이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
KR1020120008108A 2012-01-27 2012-01-27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10116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108A KR101164431B1 (ko) 2012-01-27 2012-01-27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108A KR101164431B1 (ko) 2012-01-27 2012-01-27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431B1 true KR101164431B1 (ko) 2012-07-12

Family

ID=4671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108A KR101164431B1 (ko) 2012-01-27 2012-01-27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56A1 (ko) * 2014-03-19 2015-09-24 곽창용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CN109494061A (zh) * 2018-12-27 2019-03-19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KR20190050166A (ko) 2017-11-02 2019-05-10 최인철 스위치 및 플러그 접속용 금속단자가 실장된 기판을 구비한 멀티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088A (ja)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用差込接続器
JP2005287203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088A (ja)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用差込接続器
JP2005287203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056A1 (ko) * 2014-03-19 2015-09-24 곽창용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101585111B1 (ko) 2014-03-19 2016-01-13 곽창용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20190050166A (ko) 2017-11-02 2019-05-10 최인철 스위치 및 플러그 접속용 금속단자가 실장된 기판을 구비한 멀티탭
CN109494061A (zh) * 2018-12-27 2019-03-19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CN109494061B (zh) * 2018-12-27 2023-09-08 深圳市联泰兴电子科技有限公司 大容量插针变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96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9608392B1 (en) Arrangement for energized rail for movable sockets
US3038141A (en) Plug-in wall receptacles
KR900003571B1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US10381754B1 (en) Terminal block having fastening handle
CN103384942A (zh) 电气串联端子和串联端子块
KR101164431B1 (ko)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100965367B1 (ko) 전원 연결 기구
KR101585111B1 (ko)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US10468843B2 (en) Loop bridge for looping through a number of electrical signals
US5452175A (en) Construction of a panel
KR102383381B1 (ko)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KR100287535B1 (ko) 전선 접속구
KR20170114836A (ko)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101931260B1 (ko) 수직형 멀티콘센트
KR200416259Y1 (ko) 배전용 분할 접속구
KR102479632B1 (ko) 전원 공급 어댑터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KR200189080Y1 (ko) 전원연결용 콘센트를 일체로 형성한 전기제품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328963Y1 (ko) 전선연결용 소형단자
US5529516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20180003581U (ko) 소켓전극조립체로 된 3구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