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367B1 - 전원 연결 기구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367B1
KR100965367B1 KR1020090106381A KR20090106381A KR100965367B1 KR 100965367 B1 KR100965367 B1 KR 100965367B1 KR 1020090106381 A KR1020090106381 A KR 1020090106381A KR 20090106381 A KR20090106381 A KR 20090106381A KR 100965367 B1 KR100965367 B1 KR 10096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power connector
conn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이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진 filed Critical 이재진
Priority to KR102009010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367B1/ko
Priority to PCT/KR2010/007330 priority patent/WO201105592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연결 기구에 대한 것으로, 이 기구는 주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 단자와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공을 포함하고, 안쪽면으로 상기 접속공을 덮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콘센트, 그리고 상기 접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 단자와 통전하는 복수의 접속봉을 포함하며, 전기 기구로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접속봉은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와 상기 안전핀의 걸림 연결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를 분리하지 않고 절연한다. 따라서, 쉽고 편리하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절연시켜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고, 플러그를 콘센트와 결합된 상태로 절연함으로써 플러그의 보관이 용이하다.
콘센트, 플러그, 단자, 전원, 안전핀, 차단, 절연, 분리

Description

전원 연결 기구{THE POWER CONNECTOR}
본 발명은 전원 연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절연할 수 있는 전원 연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연결 기구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설치장소에 따라 매입형과 노출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용전압에 따라서는 100V용과 220V용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봉을 삽입하는 접속공을 포함하며, 접속공을통과한 접속봉이 콘센트 하부의 전원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접속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콘센트의 접속공으로부터 플러그의 접속봉을 탈착함으로써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콘센트로부터 탈착된 플러그는 콘센트 하부의 바닥에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지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고, 플러그가 탈착된 콘센트는 접속공이 외부에 노출되어 감전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전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지 않 는 경우, 콘센트의 전원 단자와 계속적으로 접속하고 있어 대기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고, 절연할 수 있는 전원 연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는 주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 단자와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공을 포함하고, 안쪽면으로 상기 접속공을 덮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콘센트, 그리고 상기 접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 단자와 통전하는 복수의 접속봉을 포함하며, 전기 기구로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접속봉은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와 상기 안전핀의 걸림 연결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를 분리하지 않고 절연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전기 기구의 전선과 연결되어 있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접속봉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봉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형의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밑으로 원뿔형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의 본체 표면 위에는 통전 상태와 절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 표면 위에 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의 상기 상부 본체는 안쪽 면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며 구획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가 구획하는 상기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공, 상기 소정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 끝부분에 상기 접속공을 덮는 날개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안전핀, 그리고 상기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안전핀을 회전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의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핀의 날개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전핀의 날개는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과 닿는 표면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콘센트의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과 접촉하는 두 개의 금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금속판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봉과 접촉하는 두 개의 접합면이 상기 접속봉의 상기 경사부와 밀착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쉽고 편리하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절연시켜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고, 플러그를 콘센트와 결합된 상태로 절연함으로써 플러그의 보관 이 용이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는 전기 기구의 플러그와 플러그에 전원을 인가하는 콘센트로 구성되며, 콘센트와 플러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절연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는 전기 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 및 플러그와 연결되어 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원 연결 기구에 따른 플러그는 본체(100) 및 접속봉(11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전기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150)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완만한 굴곡의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10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절연체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전선(150) 반대쪽은 평평한 평면의 접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면 상으로 2개의 접속봉(11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접속봉(110)은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속봉(1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전기가 통하는 금속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접속봉(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접속봉(110)의 끝부분이 콘센트의 접속 단자(320)와 접촉하는 영역이며, 이러한 접촉 영역에 오목부(120) 및 경사부(130)를 포함한다. 즉, 각각의 접속봉(110)은 접합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뻗어나가다가 안쪽으로 함몰된 오목부(120)가 형성되며, 오목부(120)를 지나서 단면의 지름이 감소되어 원뿔의 형상을 가지는 경사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130)는 오목부(120)의 약 2배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오목부(120) 위로 원기둥 형상의 소정 깊이까지 콘센트의 접속 단자(320)와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 면적은 오목부(120)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의 접속 단자(320)의 높이가 8mm인 경우, 경사부(130)가 4mm, 오목부(120)가 2mm이고, 남은 2mm는 원기둥 형상의 끝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경사부(130)는 콘센트의 접속 단자(320)와 접촉하는 깊이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오목부(120)의 위아래로 경사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오목부(120) 아래로 경사부(130) 4mm, 오목부(120) 2mm, 및 오목부(120) 위로 2mm의 경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20)의 위아래로 경사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통전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의 전환이 빨리 진행될 수 있어 대기 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의 본체(100) 표면에는 통전 상태와 절연 상태를 외부에서 판별가능하게 하는 표시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부(160)는 도 1과 같이 선으로 표시되어 통전 상태일 때에는 외부에서 관측될 수 없고, 절연 상태일 때에는 외부에서 관측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접합면 쪽과 전선(150) 쪽에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구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된 형상을 콘센트의 상부 본체(200) 안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콘센트는 상부 본체(200)와 하부 본체(300)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본체(200)의 안쪽면에는 고정 부재(210), 접속공(205) 및 지지 부재(215)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2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부 본체(200) 안쪽면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며 형성되어 본체(200)의 안쪽면을 구획한다.
이때, 접속공(205) 및 지지 부재(215)는 고정 부재(210)의 소정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210) 내의 양 끝에 두 개의 접속공(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플러그의 2개의 접속봉(110)이 각각의 접속공(205)을 통과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때, 지지 부재(215)는 접속공(205)을 통과한 접속봉(1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고정 부재(2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지지 부재(215)는 통과한 두 개의 접속봉(1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접속봉(110)의 위아래를 지지하며 형성된다.
한편, 고정 부재(210) 내의 소정 영역을 가로 지르며 안전핀(2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핀(250)은 소정 영역의 중심(255)을 지나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양쪽 끝으로 날개(257)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영역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2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핀(250)의 돌기(253) 끝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260)는 고정 부재(210)와 지지 부재(215)로 둘러쌓인 영역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핀(250)은 플러그와 콘센트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안전핀(250)의 날개(257)가 접속공(205)을 덮으며 형성되어 콘센트 외부에서 콘센트 하부 본체(300)의 접속 단자(320)의 노출을 차단한다.
이때, 외부에서 접속봉(110)에 압력을 가하여 접속봉(110)을 접속공(205)으 로 통과시키면, 탄성 부재(260)에 의해 안전핀(2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속공(205)을 노출시켜 접속봉(110)을 통과시킨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하부 기판(300)은 상부 기판(200)과 조립되어 있으며, 내부에 접속 단자(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 단자(320)는 상부 기판(200)의 접속공(205)의 위치와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주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전달한다. 접속 단자(320)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인청동과 같은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단자(320)는 접속봉(110)의 양 측면과 닿는 수직형의 금속판일 수 있으며, 두 개의 접속 단자(320)가 하부 본체(30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부재(310)에 의해 지지된다.
도 3은 플러그를 콘센트와 결합하여 통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플러그의 접속봉(110)이 콘센트의 결합공(205)을 통과하도록 밀어넣어 안전핀(2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콘센트의 하부 기판(300)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 단자(320)와 접촉하여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전기 기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원 연결 기구의 대기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의 대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기구의 안전핀의 상세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원 연결 기구가 대기 상태일 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바깥쪽으로 뽑아내면, 플러그의 접속봉(110)이 콘센트의 접 속 단자(320)로부터 분리되어 절연 상태가 된다.
이때, 접속봉(110)의 오목부(120)가 안전핀(250)의 날개(257)와 걸림 연결되어 플러그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절연함으로써 분리된 플러그로 인한 미관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절연 상태를 유지하므로 대기 전력이 감소한다.
이때, 안전핀(250)은 플러그의 접속봉(110)이 닿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안전핀(250)의 날개(257)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단면이 삼각형,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고, 접속봉(110)의 측면이 닿는 지름 표면이 원형으로 함몰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봉(110)이 경사면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결합공(205)을 통과할 수 있으며, 대기 상태에서 외부로 접속봉(110)을 끌어낼 때, 안전핀(250)의 얇은 바닥면이 접속봉(110)의 오목부(120)에 걸림 연결되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를 설명한다.
도 6의 전원 연결 기구는 도 3의 전원 연결 기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구체적으로는 플러그의 접속봉(110)이 오목부(120) 및 경사부(130)를 포함하며, 콘센트의 안전핀(250)은 도 5와 같이 경사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 연결 기구는 콘센트의 하부 본체(300)에서 접속 단자(320)가 접 속봉(110)의 경사부(130)와 밀착되도록 경사면을 포함한다.
도 6과 같이 접속 단자(320)가 접속봉(110)의 경사부(130)를 따라 경사지는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우, 전원 연결 시, 접속봉(110)의 경사부(130)와 밀착되어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플러그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의 대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기구의 안전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기구의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주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 단자와 정렬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공을 포함하고, 안쪽면으로 상기 접속공을 덮는 반원형의 날개를 가지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는 콘센트, 그리고
    상기 접속공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 단자와 통전하는 복수의 접속봉을 포함하며, 전기 기구로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핀의 반원형의 날개는 반원형의 지름 표면이 원형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접속봉은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와 상기 안전핀의 날개의 함몰된 지름 표면과의 걸림 연결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와 상기 콘센트를 절연하는 전원 연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전기 기구의 전선과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본체, 그리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접속봉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봉은 상기 플러그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형의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밑으로 원뿔형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원 연결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 표면 위에는
    통전 상태와 절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원 연결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 표면 위에 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전원 연결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상기 상부 본체는
    안쪽 면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며 구획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가 구획하는 상기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공,
    상기 소정 영역을 가로지르며 양 끝부분에 상기 접속공을 덮는 상기 날개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안전핀, 그리고
    상기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안전핀을 회전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전원 연결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원 연결 기구.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의 날개는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과 닿는 표면이 경사지는
    전원 연결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공을 통과한 상기 접속봉과 접촉하는 두 개의 금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금속판은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원 연결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봉과 접촉하는 두 개의 금속판이 상기 접속봉의 상기 경사부와 밀착되도록 경사져 있는
    전원 연결 기구.
KR1020090106381A 2009-11-05 2009-11-05 전원 연결 기구 KR10096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81A KR100965367B1 (ko) 2009-11-05 2009-11-05 전원 연결 기구
PCT/KR2010/007330 WO2011055924A2 (ko) 2009-11-05 2010-10-25 전원 연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81A KR100965367B1 (ko) 2009-11-05 2009-11-05 전원 연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367B1 true KR100965367B1 (ko) 2010-06-22

Family

ID=4237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381A KR100965367B1 (ko) 2009-11-05 2009-11-05 전원 연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3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50Y1 (ko)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1249792B1 (ko) 2012-03-27 2013-04-03 (주)한미일렉트릭 대기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CN103872488A (zh) * 2014-03-31 2014-06-18 上海采科实业有限公司 利用多个倾斜金属薄片作为导电触点的插座和插排
KR101457115B1 (ko) 2013-01-25 2014-10-31 이정민 플러그용 어댑터 조립체
KR20160150218A (ko) 2015-06-19 2016-12-29 한국토지주택공사 전원 연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0136B1 (ko) 2017-08-21 2017-12-19 현대건설 주식회사 직류전원 접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43U (ko) * 1998-12-28 2000-07-15 강태삼 안전 콘센트
KR100319215B1 (ko) * 1999-11-23 2002-01-05 노희권 전원 연결기구
KR100649621B1 (ko) * 2005-06-24 2006-11-27 김한준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43U (ko) * 1998-12-28 2000-07-15 강태삼 안전 콘센트
KR100319215B1 (ko) * 1999-11-23 2002-01-05 노희권 전원 연결기구
KR100649621B1 (ko) * 2005-06-24 2006-11-27 김한준 전기제품의 플러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50Y1 (ko)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1249792B1 (ko) 2012-03-27 2013-04-03 (주)한미일렉트릭 대기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KR101457115B1 (ko) 2013-01-25 2014-10-31 이정민 플러그용 어댑터 조립체
CN103872488A (zh) * 2014-03-31 2014-06-18 上海采科实业有限公司 利用多个倾斜金属薄片作为导电触点的插座和插排
KR20160150218A (ko) 2015-06-19 2016-12-29 한국토지주택공사 전원 연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0136B1 (ko) 2017-08-21 2017-12-19 현대건설 주식회사 직류전원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367B1 (ko) 전원 연결 기구
KR20170010711A (ko) 이동식 소켓들을 위한 가압 레일의 배열
US20100093206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ommunication between a power cable and an electrical device
CN105637711A (zh) 插拔连接器模块
CN203536684U (zh) 一种多位插座
KR200488465Y1 (ko)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US2239846A (en) Electrical connection plug
KR101585111B1 (ko)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101569023B1 (ko)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JP2011174807A (ja) 電力量計用の無停電取替工具
RU2010142262A (ru) Розеточный блок
KR101850145B1 (ko)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ES2623716T3 (es) Zócalo de aparato para una toma de corriente eléctrica
EP3118944A1 (en) Socket with improved contact assembly
US20240213708A1 (en) Connection devices, cable plugs, and cable assemblies
CN215008830U (zh) 一种导电能力强的轨道插座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CN219760172U (zh) 插座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