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12U -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12U
KR20200002612U KR2020190002119U KR20190002119U KR20200002612U KR 20200002612 U KR20200002612 U KR 20200002612U KR 2020190002119 U KR2020190002119 U KR 2020190002119U KR 20190002119 U KR20190002119 U KR 20190002119U KR 20200002612 U KR20200002612 U KR 20200002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ap
cable
molding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아트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트사인 filed Critical (주)아트사인
Priority to KR2020190002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612U/ko
Publication of KR20200002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정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을 통과시키는 몰딩본체와, 상기 몰딩본체에 결합되는 마감캡, 연장캡, 절곡캡, T자형 분기캡을 포함하는 캡세트를 구성하여, 전선이 지나가는 설치환경에 따라 직선이 아닌 각도로 연결되는 부분 또는 분기가 필요한 부분에서도 전선의 노출을 방지하여 전선을 보호하고, 외관을 단정하게 할 수 있으며, 몰딩본체 측방향에서 전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인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CABLE MOULDING ASSEMBLY}
본 고안은 케이블 정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을 통과시키는 몰딩본체와, 상기 몰딩본체에 결합되는 마감캡, 연장캡, 절곡캡, T자형 분기캡을 포함하는 캡세트를 구성하여, 전선이 지나가는 설치환경에 따라 직선이 아닌 각도로 연결되는 부분 또는 분기가 필요한 부분에서도 전선의 노출을 방지하여 전선을 보호하고, 외관을 단정하게 할 수 있으며, 몰딩본체 측방향에서 전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인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선, 전화선 또는 랜선 등의 케이블을 가설할 때, 케이블을 보호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내장시켜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부착하는 몰딩(쫄대라고도 지칭하기도 한다.)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88410호 "전선용 몰딩"이 있는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1은 케이블을 수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를 덮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뚜껑과, 상기 본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본체에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전선이 무게에 의해 늘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이나 벽에 용이하게 몰딩을 설치할 수 있는 전선용 몰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직선형의 몰딩으로서, 벽의 코너부분이나 분기가 필요한 부분에서는 두 개의 몰딩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야 하며, 이 경우 코너나 분기가 필요한 부분에서는 케이블이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14235호 "선별 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이 있는데,(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2는 내부 양측면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각각 구비하는 고정몰딩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1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부에 복수개의 핀부를 구비하는 선별정리핀과 하부에 상기 고정몰딩의 제2걸림부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인테리어 몰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별정리가 용이한 인테리어 전선몰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 또한 앞서 종래기술1과 마찬가지로, 절곡되는 부분에서는 케이블의 노출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 케이블을 완벽하게 보호 및 정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38760호 "전선보호용 몰딩부재"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3은 베이스(2)를 직각되게 형성하고 여기에 평판형상의 카바(4)를 분리가능케 결합구성하므로서, 건물의 모러시부에 틈없이 긴밀히 부착할 수가 있어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고 또 벽과 천정사이의 모서리부에 부착시 장식재로서의 기능을 겸할수 있는 몰딩부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앞선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절곡되는 부분에서는 케이블의 노출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종래기술1 내지 3의 경우, 본체와, 이 본체를 덮는 커버(덮개, 뚜껑) 방식으로 케이블을 본체 내부에 가지런하게 정리한 후에 커버를 덮어야 하며, 실제로, 케이블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이를 본체 내부에 가지런하게 정리하기가 어려워 시공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케이블을 더 투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커버 전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특히 천장 부분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늘어져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측방향에 절개부가 형성된 몰딩본체와, 이 몰딩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캡, 연장캡, 절곡캡 및 분기캡을 포함하는 캡세트를 구비함에 따라, 시공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캡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몰딩본체를 연장함에 따라 절곡된 부분이나 분기가 필요한 부분에도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딩본체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캡세트의 수용부에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수용부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됨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캡세트를 몰딩본체의 상부방향에서 끼워넣는 방식으로 손쉽게 작업이 가능한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몰딩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케이블 삽입 시 작업자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측방향에서 케이블을 집어넣으면 자연스럽게 몰딩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을 투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몰딩본체;
일단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몰딩본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시키기 위하여, 양단부에 각각 수용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몰딩본체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장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설치면에 따라 절곡 배치시키기 위하여, 절곡부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몰딩본체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절곡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이들 사이에 또 다른 몰딩본체를 연결하여 케이블이 통과하는 중공부를 분기하는 것으로, 셋 이상의 각 단부에 몰딩본체가 결합되도록 각각 수용부를 형성하는 분기캡을 포함하는 캡세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장캡과 절곡캡 및 분기캡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맞게 선택하여 결합시켜 복수의 몰딩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몰딩본체와, 상기 몰딩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감캡, 연장캡, 절곡캡 및 분기캡을 포함하는 캡세트를 통하여 연장캡을 통해 둘 이상의 몰딩본체를 직선형으로 연장하고, 절곡캡을 통해 꺽여있는 설치면에 맞게 케이블을 절곡시켜 보호하며, 분기캡을 통해 셋 이상의 케이블 라인을 분기시켜 정리하여 케이블의 노출을 완벽하게 차단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몰딩본체의 측방향에서 케이블을 삽입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혼자서도 작업이 용이하고, 별도로 케이블을 몰딩 내부에서 정리할 필요가 없어 시공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시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몰딩본체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캡세트 중 마감캡의 상세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캡세트 중 연장캡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캡세트 중 절곡캡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의 캡세트 중 분기캡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케이블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A)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본체(10)와, 마감캡(20A), 연장캡(20B), 절곡캡(20C), 분기캡(20D)을 포함하는 캡세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몰딩본체(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캡세트(20)의 구성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연장 및 절곡, 분기시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캡세트(20) 중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명칭으로 표기하였으며, 상기 몰딩본체(10)의 직경, 크기, 길이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캡세트(20)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우선 상기 몰딩본체(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몰딩본체(10)는 내부에 중공부(11)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바 형상으로, 상기 몰딩본체(10)의 배면은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하고자 하는 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및 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설치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테이브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본체와 커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몰딩을 단일의 구성으로 개선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으며, 케이블의 삽입을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몰딩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측방향에 절개부(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케이블을 작업자가 상기 절개부(13)를 벌려 측방향에서 삽입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수용시키고 있는데, 상기 절개부(13)가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이 상기 중공부(11) 내에서 절개부(13)를 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절개부(13)는 절개돌기(131)와 절개홈(133)이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몰딩본체(10)의 일단에는 절개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몰딩본체(10)의 타단에는 절개홈(133)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돌기(131)가 상기 절개홈(133)에 내삽됨으로서 절개부(13)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작업자가 상기 절개부(13)를 벌려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몰딩본체(10)는 탄성이 있어 쉽게 원래 형태로 돌아올 수 있으나, 작업자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몰딩본체(10)의 양측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끼움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캡세트(20)의 각 구성요소에 구비되는 끼움돌기(25)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캡세트(20)를 개별적으로 설명함에 있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3a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캡세트(20)를구성하는 마감캡(20A), 연장캡(20B), 절곡캡(20C) 및 분기캡(20D)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3a 및 도3b는 마감캡(20A)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마감캡(20A)은 바디(21)와, 상기 바디(21)에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몰딩본체(10)가 인입되는 수용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감캡(20A)은 케이블이 관통되는 통공(상기 통공은 상기 몰딩본체(10)의 중공부(11)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이하 다른 구성요소에서도 통공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로서, 상세한 설명 및 도면표기는 생략하도록 한다.)이 형성되는 바디(21)로서, 상기 바디(21) 일단에는 상기 몰딩본체(10)가 인입될 수 있는 수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21) 타단에는 상기 수용부(23)에 인입된 몰딩본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몰딩본체(1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마감플랜지(20A-1)가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마감플랜지(20A-1)의 하부에 직경이 커지는 진입안내부(20A-11)를 더 구비하여 몰딩본체(10)에 상기 마감캡(20A)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캡(20A)은 복수의 몰딩본체(10)를 서로 설치 한 후, 가장 마지막 양측 단부에 끼워져 상기 몰딩본체(10)의 절개부(1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장 내구성이 저하되는 몰딩본체(10)의 단부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21) 하부에는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21) 내측에는 상기 끼움홈(15)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끼움돌기(25)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캡(20A)을 상기 몰딩본체(10) 단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끼움돌기(25)와 끼움홈(15)은 서로 대응하는 곡선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개방부(213)는 몰딩본체(10)를 설치면에 고정한 후, 상기 몰딩본체(10) 단부에 끼워넣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상기 마감캡(20A) 및 이하 캡세트(20)의 구성요소가 하부에 개방부(213)가 형성되지 않으면, 몰딩본체(10)의 하부면에 턱이 생겨 설치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20A)의 수용부(23) 내측에는 반원형의 형상유지돌기(20A-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몰딩본체(10)의 중공부(11) 내에 삽입되어, 몰딩본체(10)의 내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몰딩본체(10)가 원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수용부(23) 전단, 즉 상기 지지프랜지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돌기(20A-3)를 더 구비하여, 몰딩본체(10) 단부의 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높이고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손쉽게 마감캡(20A)을 몰딩본체(10)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21) 하단부 후단에는 손잡이홈(211)을 더 구비하여 손가락을 이 손잡이홈(211)에 걸어 결합 및 분리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도4a 및 도 4b는 연장캡(20B)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장캡(20B)은 양측에 수용부(23)를 갖는 바디(21)로 구성되는 것으로, 두 개의 몰딩본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때 사용하는 캡세트(20)의 구성요소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캡(20B)은 바디(21)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단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디(21) 양측에는 수용부(23)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몰딩본체(10)를 양측 수용부(23)에 각각 결합하여 중공부(11)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장캡(20B)의 하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방된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몰딩본체(10)의 상부방향에서 개방부(213)를 통하여 끼움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캡(20B)의 하부에는 손잡이홈(211)이 더 구비되어, 편의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장캡(20B)의 양 측 수용부(23)에 결합되는 몰딩본체(10)가 서로의 구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두 개의 몰딩본체(10)를 연장할 때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본 고안에서 상기 연장캡(20B)의 중앙, 즉 양측의 수용부(23) 사이에는 앞서 마감캡(20A)의 마감플랜지(20A-1)와 유사한 지지플랜지(20B-1)를 더 구비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20B-1)의 양측이 각각 몰딩본체(10)의 단부에 밀착됨에 따라 수용부(23)에 구비되는 몰딩본체(10)가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지지플랜지(20B-1) 하부에도 직경이 넓어지는 진입안내부(20B-1)를 더 구비하여 몰딩본체(10)의 상부방향에서 끼움결합 할 때 보다 수월하게 결합을 가능하게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3)의 하부에는 상기 끼움홈(1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25)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캡(20B)이 몰딩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캡세트(20)의 구성요소 중 절곡캡(20C)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절곡캡(20C)은 설치하고자 하는 면이 꺾여 있는 경우, 상기 몰딩본체(10)를 인접 배열하고, 배열된 몰딩본체(10)를 서로 연결하여 절곡된 부분에서도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개방부(213)가 형성된 바디(21)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21) 양단부에 각각 수용부(23)가 형성되되, 상기 바디(21)가 절곡부(20C-1)에 의해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수용부(23)의 위치 또한 상기 연장캡(20B)과는 달리 나란하지 않고 절곡된 위치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용부(23) 하부에는 앞서 다른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개방부(213)가 구비되고, 수용부(23)에는 끼움돌기(25)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손잡이홈(211) 또한 구비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20C-1)의 절곡 각도는 일반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곡 방향 및 각도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도 6은 캡세트(20)의 구성요소중 분기캡(20D)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리하고자 하는 케이블이 다양한 방향에서 유입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21)는 총 세 개의 수용부(23)를 형성하도록 중앙에 통공이 연통되는 분기부(20D-1)가 형성된 T자형 바디(21)로서, 각각의 수용부(23)에는 끼움돌기(25)가 구비되어 각 단부에 몰딩본체(10)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하부에 개방부(213)가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분기캡(20D)은 총 네 개의 수용부(23)를 형성하는 +자형 바디(21)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몰딩 어셈블리 10 : 몰딩본체
11 : 중공부 13 : 절개부
131 : 절개돌기 133 : 절개홈
15 : 끼움홈 20 : 캡세트
21 : 바디 211 : 손잡이홈
213 : 개방부 23 : 수용부
25 : 끼움돌기 20A : 마감캡
20A-1 : 마감플랜지 20A-11 : 진입안내부
20A-2 : 형상유지돌기 20A-3 : 보강돌기
20B : 연장캡 20B-1 : 지지플랜지
20B-2 : 진입안내부 20C : 절곡캡
20C-1 : 절곡부 20D : 분기캡
20D-1 : 분기부

Claims (4)

  1. 케이블이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케이블을 투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몰딩본체;
    일단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몰딩본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시키기 위하여, 양단부에 각각 수용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몰딩본체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장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설치면에 따라 절곡 배치시키기 위하여, 절곡부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몰딩본체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절곡캡과,
    두 개의 몰딩본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이들 사이에 또 다른 몰딩본체를 연결하여 케이블이 통과하는 중공부를 분기하는 것으로, 셋 이상의 각 단부에 몰딩본체가 결합되도록 각각 수용부를 형성하는 분기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캡세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연장캡과 절곡캡 및 분기캡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맞게 선택하여 몰딩본체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의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세트의 수용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세트의 연장캡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부들 사이에는
    양측에서 결합되는 몰딩본체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랜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의 절개부는
    상기 몰딩본체 일단에 구비되는 절개돌기와 상기 몰딩본체 타단에 구비되는 절개홈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KR2020190002119U 2019-05-24 2019-05-24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KR202000026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19U KR20200002612U (ko) 2019-05-24 2019-05-24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19U KR20200002612U (ko) 2019-05-24 2019-05-24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12U true KR20200002612U (ko) 2020-12-02

Family

ID=7378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19U KR20200002612U (ko) 2019-05-24 2019-05-24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6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83A (ko) * 2021-07-27 2023-02-03 김언호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83A (ko) * 2021-07-27 2023-02-03 김언호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6731B2 (ja) 複数本のワイヤハーネスのクランプ
JP560970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US8845209B2 (en) Optical connector with vertical opening prevention ribs
JP6857338B2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ハーネスアセンブリ
KR20200002612U (ko)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US10461515B2 (en) Protector and wiring structure
JP201711865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101597012B1 (ko) 경로 유지 부재 구비 코르게이트 튜브 및 와이어 하네스
US20070066125A1 (en) Flat flexible cable clip with locating feature
JP2013090527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線保護具
US20130236141A1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JP6691670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2019161965A5 (ko)
KR20180000743U (ko) 전선용 몰딩
KR101110205B1 (ko) 광케이블용 자동정리장치용 행거
US11802679B2 (en) Lamp mounting and suspending parts
JP4849342B2 (ja) プロテクタ
CN213627195U (zh) 双层门框和门扇
KR102365985B1 (ko) 케이블 몰드
CN211089001U (zh) 一种用于覆盖和布置桌面上缆线的模块和模块集
KR200424047Y1 (ko) 케이블 안내편을 갖는 통신 분전반의 접속기
GB2227611A (en) Corner pleas for cable ducting
JP4571073B2 (ja) 一条化部材
CN219035812U (zh) 内拐角固定卡件以及布线组件
JP7391191B2 (ja) ケーブルモ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