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063A -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063A
KR20190083063A KR1020180000579A KR20180000579A KR20190083063A KR 20190083063 A KR20190083063 A KR 20190083063A KR 1020180000579 A KR1020180000579 A KR 1020180000579A KR 20180000579 A KR20180000579 A KR 20180000579A KR 20190083063 A KR20190083063 A KR 2019008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busway
termin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908B1 (ko
Inventor
조형국
윤덕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윤덕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윤덕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to KR102018000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웨이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배선덕트와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 전원을 등기구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 수직 벽면 사이에 수평 격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공간부로 양분되어 있고, 상기 수평 격판의 제1공간부 측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 격벽의 양측으로 돌기 및 레일홈이 각각 형성되어 통전용 단자가 배열되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몸체의 측면부에 전선 접속공 및 접속용 단자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통전시키기 위한 단자 및 이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구조 개선을 통해 결속력을 종전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부스웨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될 우려없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Multi Connector of Righting Bushway}
본 발명은 통상의 조명용 등기구를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한 라이팅 부스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스웨이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의 주차장이나 지하철 통로 및 기계실 등지의 콘크리트 천정에는 전기 배선이나 혹은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기구물이 배설되어 조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조명 범위가 비교적 넓은 실내의 조명은 대부분 천정에 다수의 형광등을 배열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소비전력이 크고 수명이 짧다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 이르러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의 이용 범위가 상당히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대개 천정에 고정된 앵커볼트 및 앵커볼트 하단부에 장착되는 행거(Hanger)를 포함하여 이 행거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조명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앵커볼트의 하단부에 행거를 장착한 후 행거에 프레임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선을 포설한 후 조명등을 장착하게 된다.
이 때, 전선을 포설하고 회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행거에 설치된 프레임 내에 여러 가닥의 전선을 배열한 후 절연테이핑 처리하여 전력을 분기시킨 다음 이들 분기선을 안정기와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서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는 프레임 내에 전선을 포설한 상태에서 회로를 구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명등이나 스위치 등의 갯수를 추가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 분기선을 별도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프레임 자체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이 한층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형 건축물에 있어서의 지하 조명설비를 위한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2008-0012092호에 개시된 기술은 전선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에 결속되는 중간부재와, 통전이 가능한 도체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접속단자로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레이스웨이에 조명등이 노출 타입으로 설치되는 곳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매입등 타입으로 조명등을 설치해야 하는 곳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레이스웨이가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되어 강전인 전력선에서 약전인 신호선으로 노이즈가 유입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 등록특허 제0920509호 공보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이를 컨트롤 하는 안정기 및 램프를 통하여 조명을 행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고, 부스바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플러그의 단부가 부스바에 결속되는 구조이므로 충격 등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질 수 있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8-0012092호(2008.02.11) - 발명의 명칭: 콤비형 조명용 레이스 웨이 및 레이스웨이 연결구. 등록특허 제0920509호(2009.09.29) - 발명의 명칭: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등록특허 제1657225호(2016.09.07) - 발명의 명칭: 레이스웨이형 엘이디 조명기구. 등록특허 제1756647호(2017.07.05) - 발명의 명칭: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부스웨이 내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부스웨이 내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 및 이 앵커볼터에 체결되는 행거에 결속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행하는 통상의 라이팅 부스웨이에 있어서, 상기 부스웨이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배선덕트와 등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 전원을 등기구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 수직 벽면 사이에 수평 격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공간부로 양분되어 있고, 상기 수평 격판의 제1공간부 측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 격벽의 양측으로 돌기 및 레일홈이 각각 형성되어 통전용 단자가 배열되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몸체의 측면부에 전선 접속공 및 접속용 단자가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전용 단자는 격벽에 형성된 돌기 사이의 레일홈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몸체 및 이 몸체로부터 일체형의 경사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단자는 나사공이 형성된 평판부 및 이 평판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한쌍씩 각각 배열된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접속부의 선단에 경사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통전시키기 위한 단자 및 이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구조 개선을 통해 결속력을 종전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부스웨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될 우려없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 제작된 부스웨이 간의 연결용 커넥터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평 혹은 수직 엘보와의 전원 분기가 가능하고, 라이팅 부스웨이의 전원을 조명기구에 공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676778호에 개시되어 있는 라이팅 부스웨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부스웨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스웨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하우징의 배치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나타낸 부스웨이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스웨이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복합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본 단면 구성도,
도 8은 하우징의 단면 구성도,
도 9a, 도 9b는 커넥터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커넥터의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11은 커넥터 내에 장착되는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로서 본 출원인이 전에 제안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는 등록특허 제1676778호에 개시된 일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팅 부스웨이는 등기구(3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강전 공급용 접속단자(150)가 길게 매설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하우징(100) 및 약전 신호선을 배선하기 위한 비철금속 소재의 배선덕트(200)를 구비한다.
상기 라이팅 부스웨이는 통상의 클램프를 구비한 행거(H)를 이용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천정에 배설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경우, 수평격막(130)에 의해 제1장착부(110) 및 제2장착부(120)로 구분할 수 있다. 배선덕트(200)가 하우징(100)의 제1장착부(110)에 결합될 때 하우징(100)의 제2장착부(120)에 등기구(300)가 장착되며, 배선덕트(200)가 하우징(100)의 제2장착부(120)에 결합될 때 하우징(100)의 제1장착부(110)에 등기구(300)가 장착된다.
즉, 라이팅 부스웨이는 상황에 따라 하우징(100)의 제1장착부(110) 및 제2장착부(120)에 배선덕트(200)와 등기구(300)의 장착되는 위치를 달리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배선덕트(200)가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 소재로 성형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신호선으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좌측벽(140)과 우측벽(150)이 수평격막(130)을 통해 연결되고, 이 수평격막(130)에 의해 구분되어 제2장착부(120)로 노출된 면(131)에 복수개의 접속단자(150)가 설치되는 단자 장착부(160)가 형성되며, 좌측벽(140)과 우측벽(150)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홈(141,151)이 형성되어 행거(H)를 구성하는 클램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장착부(110)에 배치된 좌측벽(140)의 단부와 우측벽(150)의 단부에 제1,2결합돌기(111,112)가 각각 형성되고, 제2장착부(120)에 배치된 좌측벽(140)의 단부와 우측벽(150)의 단부에 제3,4결합돌기(121,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100)의 제1장착부(110)에 배선덕트(200)가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100)의 제1,2결합돌기(111,112)에 배선덕트(200)의 제1,2결합홈(214,215)이 결속되며, 하우징(100)의 제3,4결합돌기(121,122)에 등기구(300)의 제3,4결합홈(311,312)이 각각 결속된다.
이 때, 등기구(300)의 플러그 단자(320)가 하우징(100)의 접속단자(150)에 끼워져 접속됨에 따라 등기구(300)로 전원이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덕트(200)는 신호선을 배선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벽(211)과 우측벽(212)이 하부 수평부(213)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좌측벽(211)의 하단과 우측벽(212)의 하단에 결합홈(214,215)이 형성된다.
또, 좌측벽(211)의 상단부와 우측벽(212)의 상단부에 제1,2장착부(216,217)가 형성되어 커버패널(220)의 좌측 결합부(221)와 우측 결합부(222)가 각각 결합되며, 하부 수평부(213)의 상부면에 제1,2끼움홈(218,21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홈(218)에는 제1내부격판(230)의 하단이 끼워지게 되고, 제2끼움홈(219)에는 제2내부격판(240)의 하단이 끼워짐에 따라 좌측 공간부(SP1)와 중간 공간부(SP2) 및 우측 공간부(SP3)로 구분된다.
상기 좌측 공간부(SP1)는 비상 방송을 위한 신호선, 주차유도 표시를 위한 신호선, 비상구 램프 관련된 신호선과 접지선이 배선되는 약전실로 사용되고, 중간 공간부(SP2)는 소화전 관련 신호선, 화재감지기와 관련된 신호선이 배선되는 소방실로 사용되며, 우측 공간부(SP3)는 인터넷 및 유선 TV와 관련된 신호선, CCTV와 관련된 신호선, 비상벨과 관련된 선이 배선되는 정보 통신실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전, 약전, 소방, 정보통신공사를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여러 신호선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집합적으로 배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제1장착부(110)에 등기구(300)를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제1,2결합돌기(111,112)에 등기구(300)의 제3,4결합홈(311,312)을 결속시킨 후 하우징(100)의 제3,4결합돌기(121,122)에 배선덕트(200)의 제1,2결합홈(214,215)을 각각 결속시킴으로써 하우징(100)에 등기구(300)를 장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등기구(300)의 안정기(330)로 전선(500)의 타단이 연결되고, 전선(500)의 일단이 하우징(100)을 연결하는 커넥터(400)의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등기구(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라이팅 부스웨이에 있어서는, 통전용의 접속단자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격 등에 의해 접속이 끊어져 외부 전력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도시생략) 및 이 앵커볼터에 체결되는 행거(H)에 결속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행하는 라이팅 부스웨이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스웨이는 하우징(100) 및 이 하우징(100)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배선덕트(200)와 등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부에는 등기구(3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이들 등기구(300) 사이의 빈 공간을 폐색할 수 있도록 커버(C)를 장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양 수직 벽면(11A,11B) 사이에 수평 격판(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공간부(13A,13B)로 양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공간부(13A)에는 배선덕트(200)가 조립되어 장착됨과 동시에 제2공간부(13B)에는 등기구(300)가 조립되어 장착된다.
상기 수평 격판(12)의 제2공간부(13B) 측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는 다수의 격벽(14)을 포함하여 이 격벽(14)의 중간부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돌기(15a,15b) 및 레일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격벽(14)들 사이 사이에 통전용 단자(20)가 끼워넣어져 배열됨과 커넥터(30)들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통전용 단자(20)는 몸체(21a)를 포함하여 이 몸체(21a)로부터 경사 돌출면(21b)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격벽(14)에 형성된 돌기(15a,15b) 사이의 레일홈(16)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커넥터(30)를 구성하는 몸체(31)의 일측면 및 저면부에는 다수의 전선 접속공(32A) 및 접속용 단자(3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 접속공(32A)은 몸체(31)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의 간막이(33a)들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배선덕트(200) 내로 포설되는 전기선(33b)들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나사(3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용 단자(32B)는 나사공(35a)이 형성된 평판부(36a) 및 이 평판부(36a)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한쌍씩 각각 배열된 접속부(36b)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접속부(36b)의 선단에 경사 오목홈(37a)이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수평 격판(12)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4)의 돌기(15a,15b) 및 레일홈(16) 사이로 각각의 통전용 단자(20)를 끼운 상태에서 커넥터(30)의 접속용 단자(32B)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통전용 단자(20)에 형성된 경사 돌출면(21b) 측으로 커넥터(30)의 접속용 단자(32B)에 형성된 경사 오목홈(37a)이 견고하게 끼워져 유지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100)의 제1공간부(13A)에 배선덕트(200)를 조립하고 제2공간부(13B)에는 등기구(300)를 조립하여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다.
그 후. 배선덕트(200)를 따라 인입되어 있던 신호선이나 전기선(33b)을 커넥터(30)의 전선 접속공(32A) 내로 끼워 나사(34)로 고정시킴으로써 상호 통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통전시키기 위한 단자 및 이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구조 개선을 통해 결속력을 종전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부스웨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될 우려없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 제작된 부스웨이 간의 연결용 커넥터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평 혹은 수직 엘보와의 전원 분기가 가능하고, 라이팅 부스웨이의 전원을 조명기구에 공급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하우징 200: 배선덕트
300: 등기구 11A,11B: 수직 벽면
12: 수평 격판 13A: 제1공간부
13B: 제2공간부 14: 격벽
15a,15b: 돌기 16: 레일홈
20: 통전용 단자 21a: 몸체
21b: 경사 돌출면 30: 커넥터
31: 몸체 32A: 전선 접속공
32B: 접속용 단자 33a: 간막이
33b: 전기선 34: 나사
35a: 나사공 36a: 평판부
36b: 접속부 37a: 경사 오목홈

Claims (3)

  1.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 및 이 앵커볼터에 체결되는 행거에 결속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을 행하는 통상의 라이팅 부스웨이에 있어서,
    상기 부스웨이는 하우징(100) 및 이 하우징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배선덕트(200)와 등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외부 전원을 등기구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3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양 수직 벽면(11A,11B) 사이에 수평 격판(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공간부(13A,13B)로 양분되어 있고,
    상기 수평 격판(12)의 제1공간부(11A) 측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돌출되는 격벽(14)을 포함하여 이 격벽의 양측으로 돌기(15a,15b) 및 레일홈(16)이 각각 형성되어 통전용 단자(20)가 배열되며,
    상기 커넥터(30)를 구성하는 몸체의 측면부에 전선 접속공(32A) 및 접속용 단자(3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용 단자(20)는 격벽(14)에 형성된 돌기(15a,15b) 사이의 레일홈(16)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몸체(21a) 및 이 몸체로부터 일체형의 경사 돌출면(2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단자(32B)는 나사공이 형성된 평판부(36a) 및 이 평판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한쌍씩 각각 배열된 접속부(36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접속부의 선단에 경사 오목홈(37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1020180000579A 2018-01-03 2018-01-03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10203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79A KR102032908B1 (ko) 2018-01-03 2018-01-03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79A KR102032908B1 (ko) 2018-01-03 2018-01-03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063A true KR20190083063A (ko) 2019-07-11
KR102032908B1 KR102032908B1 (ko) 2019-10-16

Family

ID=6725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579A KR102032908B1 (ko) 2018-01-03 2018-01-03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30B1 (ko) * 2020-05-08 2020-10-21 (주) 네오스라이트 배선덕트용 등기구의 간편 설치 장치 및 방법
KR20230127077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케이알경영자문 이동식 반려동물 탄화처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092A (ko)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메가테크 콤비형 조명용 레이스웨이 및 레이스웨이 연결구
KR100920509B1 (ko) 2007-06-25 2009-10-08 주식회사 아드산업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20160103349A (ko) * 2015-02-24 2016-09-01 (주) 나라기술단 강전 약전 통합 배관재
KR101657225B1 (ko) 2015-03-04 2016-09-20 인텍엘앤이 주식회사 레이스웨이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756647B1 (ko) 2017-03-15 2017-07-26 (주)이노웍스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092A (ko)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메가테크 콤비형 조명용 레이스웨이 및 레이스웨이 연결구
KR100920509B1 (ko) 2007-06-25 2009-10-08 주식회사 아드산업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20160103349A (ko) * 2015-02-24 2016-09-01 (주) 나라기술단 강전 약전 통합 배관재
KR101657225B1 (ko) 2015-03-04 2016-09-20 인텍엘앤이 주식회사 레이스웨이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756647B1 (ko) 2017-03-15 2017-07-26 (주)이노웍스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30B1 (ko) * 2020-05-08 2020-10-21 (주) 네오스라이트 배선덕트용 등기구의 간편 설치 장치 및 방법
KR20230127077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케이알경영자문 이동식 반려동물 탄화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908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7411B2 (en) Multiple-mode integrated track fixture for high efficiency tubular lamps
US7518852B2 (en) Power entry assembly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8841563B2 (en) Split line and low voltage wire conduit and transformer box
US6722918B2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101196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lighting systems
KR100920509B1 (ko)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83063A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20160103349A (ko) 강전 약전 통합 배관재
KR101299171B1 (ko) 직관형 led 램프용 조명 시스템
KR100746235B1 (ko)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용 전원공급장치
KR20050121650A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KR20160077629A (ko) 접지 및 방향표시 기능이 있는 케이블 트레이
CN210621997U (zh) 一种预埋电线的装配式墙体
KR100968115B1 (ko)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101522389B1 (ko)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KR10105368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20200081783A (ko) 지하주차장용 방향안내장치
JP2000166067A (ja) 地中配電用鋼管電柱
JP7464473B2 (ja) ユニットケーブル
KR200407549Y1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JP7491759B2 (ja) ユニットケーブル
JP2018101611A (ja) 照明器具
KR200181773Y1 (ko) 접속함이 불필요한 등기구
KR20210077559A (ko) 급전 이더넷을 이용한 피난 유도등
JP3166323U (ja) 建築天井フレームのバ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