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549Y1 -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549Y1
KR200407549Y1 KR2020050032602U KR20050032602U KR200407549Y1 KR 200407549 Y1 KR200407549 Y1 KR 200407549Y1 KR 2020050032602 U KR2020050032602 U KR 2020050032602U KR 20050032602 U KR20050032602 U KR 20050032602U KR 200407549 Y1 KR200407549 Y1 KR 200407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nnector unit
busway
powe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춘석
Original Assignee
원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춘석 filed Critical 원춘석
Priority to KR2020050032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장이나 건물의 천장에 조명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라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팅 하우징내에 버스웨이 본체부를 구비하고, 그 버스웨이 본체부에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여 전력을 분기시키고, 그 분기된 전력을 암수 커넥터의 상호 접속에 의해 상기 라이팅 하우징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가능한 라이팅 본체부에 제공할 수 있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 상기 양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측벽, 상기 상측벽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된 체결부재, 및 상기 상측벽의 중앙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1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라이팅 하우징,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에는 상기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2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1절연체 걸림 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 및 체결 부재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1절연체 걸림 부재의 돌출 방향과 서로 마주보도록 굴절된 제2절연체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및 제2절연체 걸림부재와 상단벽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절연체와 그 절연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게 각각2선로 이상 구비되는 버스바로 이루어진 버스웨이 본체부, 상기 버스웨이 본체부의 하측 개방부에 플러그인 장착되어 상기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고, 분기된 전력을 출력시키는 전원 출력용 커넥 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및 상기 커넥터 유닛의 전원 출력용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용 커넥터 및 안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에 끼움 결합가능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라이팅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라이팅 시스템, 버스웨이, 반사갓, 착탈

Description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THE LIGHTING SYSTEM APPLING A BUSWAY SYSTEM}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에 장착되는 램프 홀더의 구조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라이팅 하우징 110a, 110b:양측벽
112a, 112b:제1절연체 걸림부재 114a, 114b:돌출부
116a, 116b:체결부재 118a, 118b:천장 지지 부재
120: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3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 122:제2절연체 걸림부재
200:절연체 210:버스바
300:커넥터 유닛 310:동도체
320:고정볼트 2100:라이팅 본체부
2200:안정기 2300:반사갓
2400:램프 홀더 2500:램프
2600:보호튜브
본 고안은 특히 클린룸, 반도체 설비, 병원 등 높은 청정도를 요하는 장소에 조명등을 간단한 설치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라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팅 하우징내에 전원공급라인을 구비하여 일종의 버스웨이를 구축하고, 그 전원공급라인에 커넥터 유닛을 체결하여 전력을 분기시키고, 그 분기된 전력을 상기 라이팅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라이팅 본체부에 제공할 수 있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장이나 건물의 천장에 조명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레이스웨이(Race Way) 시스템의 튜브(2)에 내장된 전원케이블(3)의 전선도체와 별도의 케이블전선의 도체를 상호 연결시킨 후 절연 테이핑 처리하여 전력을 분기시킨 다음, 그 전력 분기된 케이블전선을 조명등용 전원(7)에 연결하고, 조명등을 천장(1)에 직접 연결 및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기에,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고 조명등 설치 공사에 상당 시간이 소요되어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원케이블(3)이 포설된 튜브(2)가 천장(1) 상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등에게 노출되어 미관상 불쾌감을 유발하고, 돌출된 튜브(2) 등으로 인하여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안전 사고의 위험까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특히 고도의 청정도를 요하는 클린룸 등에서 종래와 같이 복잡한 방식으로 조명등 설치 작업을 할 경우, 작업시 발생하는 미세한 파티클, 먼지 등에 의해 청정 공간이 오염될 염려가 있었는 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명등 설치가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본 출원인은 전원 공급 및 배전 측면에서 종래의 레이스웨이 시스템이 가진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종래의 버스웨이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버스웨이 시스템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110463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새롭게 개발된 버스웨이 시스템을 전원공급 및 통신 단자 공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하는 과정에서, 라이팅 하우징내에 메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이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는 커넥터 유닛 을 내장 및 체결시키고, 그 라이팅 하우징의 하측면에 안정기, 램프 홀더 등이 일체로 구비된 라이팅 본체부를 체결시키는 구조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이 경우, 종래의 라이팅 시스템에서 문제시되었던 설치 작업의 번거러움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조명등 설치 장소 변경 및 해체시에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동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라이팅 본체부를 라이팅 하우징에 장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조명등 설치 작업이 완료되므로, 종래의 번거러운 조명등 설치 작업에 기인하여 발생하였던 인건비 상승 및 공사기간 연장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손상시키고 작업 능률 및 안전을 저해하였던 튜브 등과 같은 부대설비 없이도 보다 간편하게 라이팅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램프 홀더에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갓 수용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램프 홀더의 보호갓 수용부에 보호갓을 장착함으로써 램프 등이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등 설치 이후에도 조명등의 위치 변경 및 확장 등 라이팅 시스템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고, 해체 및 이동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라이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 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 상기 양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측벽으로 이루어져,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라이팅 하우징, 상기 라이팅 하우징내에 적어도2선로 이상 구비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공급라인, 상기 전력공급라인으로부터 전력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분기시키는 커넥터 유닛, 및 안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에 끼움 결합가능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라이팅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상측벽 상면에는 체결부재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벽의 중앙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수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4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가 일체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공급라인은 절연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버스바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체는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절연체 걸림 부재 및 제2절연체 걸림 부재에 지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유닛은 버스바가 구비된 절연체에 플러그인 장착되어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고, 분기된 전력을 출력시키는 전원 출력용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커넥터 유닛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유닛을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커넥터 유닛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분기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라이팅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전원 출력용 커넥터와 상호 접속가능한 전원 입력용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팅 본체부의 하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 게 적어도 한 쌍의 램프 홀더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홀더에는 중앙에 램프를 장착시킬 수 있는 램프 장착부와, 램프 장착시 그 램프 외경을 따라 소정 간극을 두고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갓을 장착시킬 수 있는 보호갓 수용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라이팅 본체부의 하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사갓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이상의 라이팅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연장시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라이팅 하우징의 요홈부에 제1연결부재를 끼움결합하고, 라이팅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연결부재를 거치시키고, 상기 제1및 제2연결부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라이팅 하우징의 단부에 커넥터 유닛을 플러그인 장착하고, 그 각각의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절연체에 감싸진 버스바를 전력공급라인의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력공급라인이 상기 버스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력공급라인의 개념은 전기전도체로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력전달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은 전원공급라인과 커넥터 유닛이 내장된 라이팅 하우징 본체부(1000)의 개방부측에 램프홀더(2400)가 구비된 라이팅 본체부(2000)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라이팅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절연체 및 커넥터 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2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라이팅 시스템은 절연체(200)내에 구비된 버스바(210)(이하, 전력공급라인이라 함)와 커넥터 유닛(300)이 라이팅 하우징(100)의 내측 수용 공간에 장착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라이팅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라이팅 본체부(20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이팅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10a, 110b), 상기 양측벽(110a, 110b)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측벽으로 이루어져, 그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상측벽의 상면에는 체결부재(116a, 116b)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벽의 중앙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5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12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116a, 116b)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을 천장에 장착할 경우, 볼트 및 보조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천장에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16a, 116b)와 상측벽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및 체결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팅 하우징(100)은 견고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함로써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접지(ground)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하우징(100)의 양측벽(110a, 110b)에는 상기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6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120)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제1절연체 걸림부재(112a, 112b)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7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120)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1절연체 걸림부재(112a, 112b)의 돌출 방향과 서로 마주보도록 굴절된 제2절연체 걸림부재(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절연체 걸림부재(112a, 112b), 상기 제2절연체 걸림부재(122), 및 상측벽은 그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는 절연체(200)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여기서, 절연체(20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버스바(210)로부터 전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PVC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200) 내측에는 버스바(210)가 일측이 개방되게2선로 이상 구비된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210)를 절연체(200)에 삽입하여 장착함에 있어서, 커넥트 유닛(300)이 하측으로부터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210)에 직접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210)는 전력공급라인으로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동(Cu) 등을 이용하여 각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도2a 및 2b를 참조하면, 커넥터 유닛(300)은 전력공급라인, 즉 버스바(210)로부터 전력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분기시키는 유닛으로서, 버스웨이 본체부(200)의 하측 개방부측에 플러그인 장착된다. 이 경우, 고정볼트(320)를 커넥트 유닛(300)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공에 관통시킨 후, 상기 라이팅 하우징(100)의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8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120)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시킴으로써, 커넥터 유닛(300)을 라이팅 하우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커넥트 유닛(300)은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31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30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302)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300)의 삽입공(320)에 삽입되는 동도체(310)는 삽입시 상기 커넥터 유닛(30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0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314)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유닛(300)를 버스바(210)가 삽입된 절연체(200)에 체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306)는 커넥터 유닛(300)의 삽입공(320)에 삽입된 동도체(310)와 절연체(200)에 감싸여 있는 버스바(210)를 상호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나사(306)는 동도체(310)에 형성된 관통공(314)을 관통한 후, 절연체(200)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버스바(210)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그 결과 동도체(310)와 버스바(210)는 전기도체인 고정나사(306)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상호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2a 및 도2b의 부재번호 400은 평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장착되는 천장이 라이팅 하우징에 가하는 하중을 내 측으로부터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2c를 참조하여 커넥터 유닛(300)이 버스바(210)를 흐르는 전력을 어떻게 분기시키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분기선(610)은 볼트 등에 의해 접지판에 체결되는 접지 공급라인과 다수의 전원 분기라인(6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원 공급라인(612)은 그 말단에 바형 연결부재(614)가 구비된다. 바형 연결부재(614)는 상기 체결공(302)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통공(304)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동도체(310)에는 삽입공(320) 삽입시 상기 관통공(304)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312)이 형성되고, 동도체(310)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312)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31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04)을 통하여 관통된 바형 연결부재(614)는 동도체(310)의 결합공(312)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316)에 볼트(318)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바형 연결부재(614)를 동도체(310)에 고정시킨다. 고정나사(306)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300)의 체결공(302)으로부터 상기 동도체(310)를 삽입공(320)에 삽입할 경우 상기 체결공(30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314)을 관통한 후, 절연체(200)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게 감싸진 버스바(210)에 직접 체결된다. 따라서, 버스바(2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력은 고정나사(306)를 매체로 하여 커넥터 유닛(300)의 삽입공(320)에 삽입된 동도체(310)로 전달된다. 그 다음, 동도체(310)로 전달된 전력은 그 동도체(310)에 고정되는 바형 연결부재(614)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전원 분기선(610)으로 분기되며, 이 전원 분기선(610)의 말단에는 전원 출력용 커넥터(600)가 구비된 다.
라이팅 본체부(2000)는 전원입력용 커넥터(2250), 안정기(2200), 램프 홀더(2400), 및 반사갓(2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입력용 커넥터(2250)는 상기 커넥터 유닛(300)의 전원출력용 커넥터(600)에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 유닛(300)으로부터 상기 라이팅 본체부(20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라이팅 본체부(2000)의 상측에는 고리형 걸림부재(215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데, 이는 소정의 탄성을 가져, 작업자가 라이팅 본체부(2000)를 라이팅 하우징(100)의 하측 개방부로부터 삽입하여 장착할 경우, 상기 라이팅 하우징(100)의 양측벽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돌출부(114a, 114b)에 걸려 체결되게 된다. 상기 램프 홀더(2400)는 상기 라이팅 본체부(2000)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적어도 한 쌍 구비된다. 도2a 및 도2b는 한 쌍의 램프 홀더(24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는 반면, 도2d는 두 쌍의 램프 홀더(24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다.
도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2a 내지 도2c는 라이팅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천장 지지 부재(118a, 118b)가 구비되어 있어, 이웃하는 천장벽을 라이팅 하우징(100)의 천장 지지 부재(118a, 118b)에 거치시킨 후, 상기 라이팅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된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체결 및 고정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라이팅 하우징(100)을 천장에 장착한다. 이에 반하여, 도3a 내지 도3b는 개방된 천장에 행거 등을 이용하 여 장착하는 구조일 뿐, 그 내부적인 구성은 동일한 바,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라 특정 공간에 라이팅 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라이팅 하우징 및 그 속에 삽입된 버스바를 상호 연결하여 연장해야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하기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라이팅 하우징과 버스바를 연결부재(500, 510) 및 커넥터 유닛(300)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하, 도4및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라이팅 하우징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팅 하우징의T형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제1연결부재(510)를 끼움결합한다. 그 다음, 라이팅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연결부재(500)을 거치시키고, 상기 제1및 제2연결부재(510, 500)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512, 502)을 관통하여 볼트(504)로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 공간에 따라 라이팅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력공급라인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커넥터 유닛(300)을 이용하여 전력공급라인(즉, 버스바(21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넥터 유닛(300)을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라이팅 하우징의 단부에 각각 플러그인 장착하고, 그 각각의 커넥터 유닛(300)으로부터 분기된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전력을 연속적으로 점프시켜 전달할 수 있다.
도6은 램프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참고도로서, 본 고안의 라이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램프 홀더(2400)는 그 중앙에 램프(2500)를 장착시킬 램프 수용부와 램프 장착시 그 램프 외경을 따라 소정 간극을 두고 램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튜브(2600)을 장착시킬 수 있는 보호튜브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보호튜브 수용부에는 탄성을 가진 패킹 부재를 삽입하여 램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램프 파손 시 파손물질의 실내 떨어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홀더의 내측면에 ㄴ자형의 굴절부(2420)를 구비함으로써, 램프(2500)는 그 굴절부(242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보호튜브(2600)는 그 굴절부(24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용홈(2440)에 장착된다. 상기 반사갓(2300)은 광원인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흐름을 반사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함으로써 조도를 높임으로써 전체 라이팅 시스템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라이팅 시스템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라이팅 본체부를 라이팅 하우징에 장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조명등 설치 작업이 완료되므로, 종래의 번거러운 조명등 설치 작업에 기인하여 발생하였던 안전사고의 위험, 인건비 상승 및 공사기간 연장 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둘째, 종래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손상시키고 작업 능률 및 안전을 저해하였던 튜브 등과 같은 부대설비 없이도 보다 간편하게 라이팅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세째, 램프 홀더에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튜브 수용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램프 홀더의 보호튜브 수용부에 보호튜브를 장착함으로써 램프 등이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네째, 조명등 설치 이후에도 조명등의 위치 변경 및 확장 등 라이팅 시스템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고, 해체 및 이동 설치가 간편하고, 보관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라이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 상기 양측벽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측벽으로 이루어져,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라이팅 하우징;
    상기 라이팅 하우징내에 적어도2선로 이상 구비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공급라인;
    상기 전력공급라인으로부터 전력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분기시키는 커넥터 유닛; 및
    안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돌출부에 끼움 결합가능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라이팅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상측벽 상면에는 체결부재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벽의 중앙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수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Figure 112005066289886-utm00009
    형상의 구획 및 체결 부재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 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라인은 절연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버스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라이팅 하우징의 양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절연체 걸림 부재 및 제2절연체 걸림 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버스바가 구비된 절연체에 플러그인 장착되어 버스바로부터 전력을 분기시키고, 분기된 전력을 출력시키는 전원 출력용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난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동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의 일측면에는 적어 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동도체는 삽입시 상기 커넥터 유닛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유닛을 플러그인 장착함에 있어서 고정나사가 상기 커넥터 유닛의 체결공으로부터 상기 동도체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절연체에 구비된 버스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동도체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동도체의 말단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동도체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분기라인의 말단부에 구비된 바형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한 후 상기 동도체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동도체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바형 연결부재를 동도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전원 출력용 커넥터와 상호 접속가능한 전원 입력용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 이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본체부의 하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적어도 한 쌍의 램프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에는 중앙에 램프를 장착시킬 수 있는 램프 장착부와, 램프 장착시 그 램프 외경을 따라 소정 간극을 두고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튜브를 장착시킬 수 있는 보호튜브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튜브 수용부에 탄성을 가진 패킹 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본체부의 하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사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2이상의 라이팅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여 연장시킴에 있 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라이팅 하우징의 요홈부에 제1연결부재를 끼움결합하고, 라이팅 하우징의 상측면에 제2연결부재를 거치시키고, 상기 제1및 제2연결부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라이팅 하우징의 단부에 커넥터 유닛을 플러그인 장착하고, 그 각각의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팅 시스템.
KR2020050032602U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KR200407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02U KR200407549Y1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02U KR200407549Y1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66A Division KR20050121650A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549Y1 true KR200407549Y1 (ko) 2006-01-31

Family

ID=4929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02U KR200407549Y1 (ko) 2005-11-17 2005-11-17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5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75Y1 (ko) 2009-11-30 2010-03-24 김종천 각도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75Y1 (ko) 2009-11-30 2010-03-24 김종천 각도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7411B2 (en) Multiple-mode integrated track fixture for high efficiency tubular lamps
RU2542714C2 (ru) Внутренняя токопроводящая шина и сред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нее
US8079739B2 (en) Interlocking system for hanging decorative lights and fixtures
CA1101114A (en) Lighting and power system and connectors therefor
US6659628B2 (en) Enhancements for a suspension, coupling and alignment system and passage for electrical energy cables for fluorescent luminaires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7883247B2 (en) Truss with lighting track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CA2393014A1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JPS5854478B2 (ja) 照明器具の電気的接続及び切替装置
KR20050121650A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CN107706860B (zh) 母线电缆组合单体双回路母线槽
KR200407549Y1 (ko) 버스웨이를 응용한 라이팅 시스템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ES2121125T3 (es) Sistema de interconexion modular para sistemas de telecomunicaciones.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20050123064A (ko) 버스웨이 시스템
KR100829461B1 (ko) 투광기용 결합장치
CA2753810C (en) Block mounted adjustable end
US20220235923A1 (en) Tool-free light box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KR200412122Y1 (ko) 버스웨이 시스템
KR100968115B1 (ko)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20210094415A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KR200412939Y1 (ko)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