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456U -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456U
KR20090002456U KR2020070014920U KR20070014920U KR20090002456U KR 20090002456 U KR20090002456 U KR 20090002456U KR 2020070014920 U KR2020070014920 U KR 2020070014920U KR 20070014920 U KR20070014920 U KR 20070014920U KR 20090002456 U KR20090002456 U KR 20090002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raceway
fastening
elastic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343Y1 (ko
Inventor
고재완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2020070014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별도의 체결클립을 통해 레이스웨이와 등기구를 결합함에 따라 등기구의 분리 결합이 손쉬워져 설치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치과정 중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볼트체결방식을 사용하지 않거나 병행할 수 있어 체결구조가 간소해지며 체결력의 증강효과를 얻을 수 있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클립은 상부가 레이스웨이와 결합되고 양측에는 탄성체결편이 구비되며 각 탄성체결편이 등기구본체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기구, 레이스웨이, 결합, 탄성, 클립

Description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lamp balloon fixing structure of race way}
도 1 은 종래 레이스웨이와 등기구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
도 2 는 전체 분해사시도
도 3 은 체결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전체 결합사시도
도 5 는 체결클립에 등기구를 결합하는 과정 중 체결클립의 걸림편이 등기구에 의해 젖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체결클립과 레이스웨이간 결합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체결클립과 등기구간 결합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레이스웨이 120 : 행거핀
200 : 등기구 210 : 등기구본체
212 : 배선공간부 213 : 연결레일
213a : 돌출부 220 : 덮개
300 : 체결관 400 : 체결클립
410 : 고정판 412 : 함몰부
414 : 체결공 420 : 탄성체결편
422 : 걸림편
본 고안은 레이스웨이와 등기구 간의 결합구조에 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이스웨이에 등기구를 보다 편리사고 용이하게 고정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의 천장에는 건물 내 전기배선을 배설함과 동시에 형광등과 같은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용 레이스웨이(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이스웨이(100)는 헹거(110)를 통해 천장에 설치된 후 내부에 전선이 배설되고 하부에는 등기구(200)가 설치되어 레이스웨이(100)내 전선(W)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200)간의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형 체결관(300)이 등기구(200)의 상부캡(220)과 레이스웨이(100)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한 후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때 상기 체결관(300)은 중앙에 관통로(310)가 형성된 형태로 제작하여 레이스웨이(100)내부의 전선이 체결관(300)의 관통로(310)를 통해 등기구(200) 상부캡(220)내의 안정기(미도시)에 연결되는 형태로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단순 체결관(300)만을 이용한 결합방식은 등기구(200)의 분리나 결합 시 일일이 결합볼트와 너트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밖에 없고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더구나 등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통해 천장근처까지 올라가야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번거로운 체결방식을 이용할 경우 작업 중 작업자가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크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 즉 기존 레이스웨이와 등기구 간의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탄성 체결클립을 통해 레이스웨이와 등기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기술과 같이 체결관을 사용은 하되, 체결클립을 통해 체결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체결력을 증가시킴은 물론 단순한 조작만으로 등기구의 분해.결합이 가능한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는,
내부에 배선공간이 형성되는 레이스웨이와,
상기 레이스웨이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선공간이 형성된 등기구본체, 상기 등기구본체에 결합되는 램프 및 램프홀더를 포함한 등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구성 중 상부가 상기 레이스웨이와 결합되되 양측에는 탄성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각 탄성체결편이 등기구본체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클립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200), 체결클립(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레이스웨이(100)는 각관 형태로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선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공간(102)의 상부에는 덮개(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바닥에는 후술하는 체결관(300)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1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레이스웨이(10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헹거핀(120)이 구비되어 상기 헹거핀(120)을 통해 천장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레이스웨이(100)의 내부에는 전선이 배설된다.
상기와 같은 레이스웨이(100)에는 등기구(200)가 특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덕트형 등기구가 적용된다, 즉 도면과 같이 안정기와 배선이 수용되는 등기구본체(210)와 반사갓(220)이 일체화 된 형태의 등기구가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등기구본체(210)는 사각 관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각종 배선케이블을 비롯한 안정기(S) 등이 수용되는 배선공간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은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띠되, 호(弧)형태의 반사면(220)이 형성된다. 이렇게 반사면(220)이 일체화된 본 발명의 등기구본체(210)는 자체 반사면(202)만을 이용하여 램프(L)로부터 방출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반사면(202)상에 별도의 반사갓을 더 부가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등기구본체(210)의 폭과 레이스웨이(100)의 폭은 상호 거의 동일하게 제작하여 후술하는 체결클립(400)의 체결탄성편(42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등기구본체(210)의 양측벽에는 두 개의 등기구본체(210)를 연결하고자 할 때 별도의 연결편(500)을 삽입시키기 위한 연결레일(213)이 전체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레일(213)은 [도 5]와 같이 등기구본체(210) 양측벽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배선공간부(212) 내의 측벽 상에는 자연스럽게 돌출부(21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등기구본체(210)의 상부에는 덮개(22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덮개(220)상에는 레이스웨이(100)내의 전선을 등기구본체(210)의 배선공간부(212)내로 인입시켜 안정기(S)에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2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2)에는 덮개(220)를 비롯한 등기구본체(210)와 레이스웨이(100) 간의 결합 및 전선통과를 위한 체결관(300)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관(300)은 외형은 일반 볼트형태이나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형태로, 볼트머리부분이 아래에 위치되도록 덮개(220)의 관통공(222)과 레이스웨이(100)바닥의 관통공(1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이때 체결관(300)의 일단부에는 너트(N)가 결합되어 체결관(300)이 레이스웨이(100)와 덮개(22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기구본체(210)의 덮개(220)에 체결관(300)이 설치됨에 따라, 일단 상기 체결관(300)만을 통해 등기구본체(210)가 레이스웨이(1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더불어 별도의 체결클립(400)을 더 부가하여 등기구본체(210)와 레이스웨이(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체결클립(4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에는 고정판(4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10)의 양측에는 탄성체결편(420)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410)은 중앙이 함몰된 형태로 제작되어 함몰부(412)의 바 닥과 양측벽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함몰부(412)의 중앙에는 레이스웨이(100)의 행거핀(120)이 끼워지는 결합공(4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클립(400)의 고정판(410)에는 등기구본체(210)와의 결합을 위한 탄성체결편(4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체결편(420)은 상단부가 고정판(410)의 양단에 연결된 형태로 위치되고 각 탄성체결편(420)의 하단부에는 등기구본체(210)에 체결되는 걸림편(422)편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때 상기 각 걸림편(422)은 탄성체결편(410)과 수직으로 위치되지 않고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부러진 상태가 되어 등기구본체(210)의 체결 시 각 걸림편(422)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걸림편(422)의 길이는 등기구본체(210)에 형성된 연결레일(213)의 함몰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등기구본체(210)가 결합되었을 때 좌우로 흔들거리거나 양 탄성체결부(4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체결클립(400)은 고정판(410)과 탄성체결편(420) 및 걸림편(422)이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철판을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함에 따라, 고정판(410)과 탄성체결편(420)간에 형성된 절곡부위와 고정판(410)의 함몰부(412)에 형성된 절곡부위에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탄성체결편(420)의 높이는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본체(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레이스웨이(100)의 최상단에서부터 등기구본체(210)의 연결레일(213)까지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제작된다.
더불어 각 탄성체결편(420)간의 간격은 레이스웨이(100) 및 등기구본체(21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하되, 등기구본체(210)와 레이스웨이(100)간의 폭 차이가 있을 경우 이에 맞게 탄성체결편(420) 특정부위를 절곡하여 체결클립(400)의 고정판(410)과 각 탄성체결편(420)이 레이스웨이(100) 및 등기구본체(210)를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된 체결클립(400)은 [도 4]와 같이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레이스웨이(100)를 천장에 설치하기 이전에 각 체결클립(400)을 레이스웨이(100) 상에 먼저 설치하는데, [도 2]와 같이 체결클립(400)을 레이스웨이(100)의 각 행거핀(120)상에 위치시킨 후 헹거핀(120)이 체결클립(400)의 체결공(414)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행거핀(120)을 통해 레이스웨이(100)에 체결클립(400)이 결합되면 [도 5]와 같이 체결클립(400)의 고정판(410)이 레이스웨이(100)상에 위치되고 양측 탄성체결편(420)이 레이스웨이(100) 양측벽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행거핀(120)과의 체결에 의해 전후 이동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레이스웨이(100)를 천장에 설치한 후 내부에 전선을 배설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탄성체결편(420)의 높이가 레이스웨이(100)의 높이보다 길게 제작되기 때문에 탄성체결편(420)의 하단부는 레이스웨이(100)의 바닥면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그 후 도면과 같이 먼저 등기구본체(210)의 덮개(220)를 체결클립(400)의 아래로 밀어 넣어 양단의 바닥이 체결클립(400)의 걸림편(422)에 걸리도록 체결시키는데,
이때 걸림편(422)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220)를 밀어 넣는 과정에서 최초 걸림편(422)의 경사면이 덮개(220)의 상부면에 걸리게 된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덮개(220)를 더 밀어 올리면 각 걸림편(422)은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상부로 구부러져 덮개(220)가 걸림편(422)을 통과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편(422)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덮개(220)를 밑에서 받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덮개(220)가 먼저 체결클립(4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덮개(220)를 들어올려 레이스웨이(100)바닥에 밀착시킨 후, 덮개(220)의 관통공(222)에 체결관(300)을 끼워 넣어 레이스웨이(100)바닥을 관통시키고 레이스웨이(100) 바닥상에 돌출된 체결관(300)에 너트(N)를 결합시켜 체결관(30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덮개(220)와 레이스웨이(100)간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레이스웨이(100)내의 전선을 체결관(300)으로 삽입시켜 덮개(220) 아래로 인출하고, 그 후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등기구본체(210)를 체결클립(400) 아래에서 밀어 올려 앞에서 설명한 덮개(220)의 체결구조와 마찬가지로 체결클립(400)에 체결되는데,
이때에도 등기구본체(210)가 올라가면서 각 걸림편(422)을 밀어 올리게 되고 등기구본체(210)의 연결레일(213)이 걸림편(422)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면 각 걸림 편(422)은 연결레일(213)내에서 위치가 복귀되어 연결레일(213)에 걸리게 된다.
이때 복수의 등기구본체(210)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레일(213)내에 삽입되는 연결편(500)은 각 등기구본체(210) 간의 연결부위상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클립(400)의 걸림편(422)과 접촉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등기구본체(210)를 약간만 더 밀어올려 레이스웨이(100)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220)와 결합시킴으로써 모든 결합이 완료되며, [도 6]과 같이 체결클립(400)이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본체(21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등기구본체(210)는 체결관(300)과 더불어 체결클립(400)을 통해 레이스웨이(100)에 결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해 등기구본체(21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체결클립(400)의 양 탄성체결편(420)을 양쪽으로 벌려 걸림편(422)들이 등기구본체(210)의 연결레일(213)로부터 빠지도록 한 후 등기구본체(210)를 아래로 내리면 레이스웨이(100)에 덮개(220)는 고정된 상태에서 등기구본체(210)만 쉽게 분리된다.
또한 이렇게 탄성체결편(420)을 양쪽으로 벌리더라도 탄성체결편(420)과 고정판(410)간의 절곡부위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체결클립(400)을 이용함에 따라 등기구본체(210)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만일 등기구본체(210)에 덮개(220)를 구비시키지 않더라도 체결클 립(400)의 탄성체결편(420) 높이를 덮개(220)의 두께만큼 줄여서 제작한다면 등기구본체(210)의 상단면이 레이스웨이(100)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므로 먼지나 빗물등이 등기구본체(210) 내로 유입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체결관(300)도 구비할 필요가 없는데, 이 경우 레이스웨이(100)내 전선은 레이스웨이(210)바닥의 관통공(112)을 통해 등기구본체(210)내로 인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체결클립(400)을 통해 레이스웨이(100)와 등기구본체(210)를 체결시키는 기본구성은 동일하나 체결클립(400)의 형상을 변형시켜 레이스웨이(10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레이스웨이(100)바닥에 결합된 상태로 등기구본체(210)와 체결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클립(400) 형상은 앞의 1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되, 고정판(410)이 레이스웨이(100)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고정판(410)상의 결합공(414)과 레이스웨이(100)의 관통공(112)이 상호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관(300)을 체결클립(400)의 결합공(414)과 레이스웨이(100)의 관통공(112)에 관통시킴으로써 레이스웨이(100)와 체결클립(400)이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체결클립(400)에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등기구본 체(210)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체결클립(400)이 레이스웨이(100)바닥에 위치됨에 따라 등기구본체(210)와 레이스웨이(100)간에 간극이 형성되어 먼지나 빗물 등이 상기 간극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등기구본체(210)의 좌우폭을 레이스웨이(100)의 폭보다 작게 제작하여, 폭 차이에 의해 레이스웨이(100)가 덮개 역할을 하도록 한다면 먼지나 빗물등의 유입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체결클립(400)의 탄성체결편(420) 높이를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해 짧게 형성시킬 수 있어 자재절약효과와 더불어 단가하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외에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2실시예와 기본 구성은 동일하되, 체결클립(400)이 등기구본체(210)의 외부에서 체결되는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등기구본체(210)의 배선공간부(212)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즉 도면과 같이 체결클립(400)의 좌우폭은 등기구본체(210)의 배선공간부(212)폭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고 양 걸림편(422)은 탄성체결편(420)의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상기 제2실시예처럼 레이스웨이(100)바닥에 체결관(300)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클립(400)의 폭과 걸림편(422)의 절곡방향을 변형함에 따라 등기구본체(210)의 결합 시 체결클립(400)이 등기구본체(210)의 배선공간부(212)내로 삽입되고 각 걸림편(422)은 연결레일(213)에 의해 배선공간부(212) 양 내측벽에 형성된 돌출부(213a)에 걸림으로써 체결클립(400)과 등기구본체(210)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체결클립(400)도 레이스웨이(100)바닥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클립(400)의 탄성체결편(420)높이를 낮출 수 있어 자재절감 및 단가하락 효과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클립(400)이 등기구본체(210)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등기구본체(210) 상단면이 레이스웨이(100)바닥에 밀착될 수 있어 제2실시예처럼 간극 형성에 의한 먼지등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여러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레이스웨이와 등기구본체간의 결합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별도의 체결클립을 통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결합 및 분리가 손쉬워지고 체결력 또한 증가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는,
체결관과 더불어 탄성을 갖는 별도의 체결클립을 통해 등기구를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체결력이 증가됨은 물론, 등기구본체를 단순히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와 유지보수가 손쉬워지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천정에 설치되는 레이스웨이와,
    상기 레이스웨이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배선공간부가 형성된 등기구본체, 상기 등기구 본체에 결합되는 램프 및 램프홀더를 포함한 등기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되 양측에는 탄성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각 탄성체결편이 등기구본체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클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본체의 체결부는 등기구본체의 양측외벽에 홈 또는 돌출부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클립이 등기구본체의 양측벽을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며,
    각 탄성체결편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본체의 체결부는 등기구본체의 양측내벽에 돌출 또는 홈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결클립이 등기구본체의 배선공간부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되되, 각 탄성체결편의 일단부가 등기구본체의 각 체결부 하단에 걸림으로써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의 각 탄성체결편 끝부분에는 등기구본체의 체결부를 향하도록 구부려진 걸림편이 형성되되,
    상기 각 걸림편은 일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부려져, 등기구본체와의 결합 과정에서 등기구본체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됨에 따라 각 걸림편이 외측이나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2020070014920U 2007-09-06 2007-09-06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200448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920U KR200448343Y1 (ko) 2007-09-06 2007-09-06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920U KR200448343Y1 (ko) 2007-09-06 2007-09-06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56U true KR20090002456U (ko) 2009-03-11
KR200448343Y1 KR200448343Y1 (ko) 2010-04-05

Family

ID=4128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920U KR200448343Y1 (ko) 2007-09-06 2007-09-06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4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85B1 (ko) * 2012-12-28 2013-06-07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조명장치용 마운팅 브라켓
KR101339301B1 (ko) * 2012-06-11 2013-12-09 김희원 직간접 결합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JP2015002058A (ja) * 2013-06-14 201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0477578Y1 (ko) * 2013-12-16 2015-06-30 윤성기 천정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20150099110A (ko) * 2014-02-21 2015-08-31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 장치
KR20160002803U (ko) * 2015-02-03 2016-08-12 주식회사 세홍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KR20200028084A (ko) * 2018-09-06 2020-03-16 박병기 조명등
KR102249450B1 (ko) * 2020-11-30 2021-05-07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각도가변식 경관등
KR20210002605U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조명등 고정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25Y1 (ko) * 2011-08-08 2013-06-24 (주)솔라루체 지하주차장 led 램프 구조
KR101811261B1 (ko) 2016-11-14 2017-12-20 (주)카스트엔지니어링 식물류 및 버섯류 재배용 led 전등의 광량 조절장치
KR101941816B1 (ko) * 2018-04-17 2019-01-24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무볼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235017B1 (ko) * 2019-09-11 2021-04-01 (주)영공조명 바타입 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527A (ko) * 2004-04-14 2005-10-1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조명용 등기구의 클립형 취부구조
KR100619136B1 (ko) 2005-04-20 2006-08-3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덕트 지지장치
KR200405952Y1 (ko) 2005-10-13 2006-01-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100746235B1 (ko) * 2006-02-21 2007-08-03 조현준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용 전원공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01B1 (ko) * 2012-06-11 2013-12-09 김희원 직간접 결합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270585B1 (ko) * 2012-12-28 2013-06-07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조명장치용 마운팅 브라켓
JP2015002058A (ja) * 2013-06-14 201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200477578Y1 (ko) * 2013-12-16 2015-06-30 윤성기 천정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20150099110A (ko) * 2014-02-21 2015-08-31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 장치
KR20160002803U (ko) * 2015-02-03 2016-08-12 주식회사 세홍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KR20200028084A (ko) * 2018-09-06 2020-03-16 박병기 조명등
KR20210002605U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조명등 고정클립
KR102249450B1 (ko) * 2020-11-30 2021-05-07 주식회사 새늘빛엘이디 각도가변식 경관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343Y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343Y1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101257816B1 (ko) 개선된 구조의 엘이디 주차장 등기구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KR20160110696A (ko) 평판조명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CN202868609U (zh) Led条形灯具的安装结构
KR101339301B1 (ko) 직간접 결합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089270B1 (ko) 조립형 조명기구
KR200471988Y1 (ko) 스포트라이트가 장착되는 레일의 고정구
KR101909975B1 (ko) 사이드프레임용 코너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경량 등기구
KR200460318Y1 (ko) 조명커버의 결합구조
KR200456726Y1 (ko) 조명용 등 기구
KR200443592Y1 (ko) 조명등 거치대
KR100597709B1 (ko) 지하주차장용 조명기구 고정장치
KR100721379B1 (ko)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KR200448863Y1 (ko) 조명등용 커버 체결구
KR200494820Y1 (ko) 조명등 고정클립
KR200396734Y1 (ko) 몰드레이스웨이
KR200491195Y1 (ko) 조명등용 장착구 어셈블리
JP2013120673A (ja) 直管形ランプ連用ケース
KR200435254Y1 (ko) 마감캡 겸용 등기구 소켓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200493036Y1 (ko) 천장 고정용 조명장치
CN218028415U (zh) 吊顶错层安装的结构
KR100584245B1 (ko) 형광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