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379B1 -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379B1
KR100721379B1 KR1020060111104A KR20060111104A KR100721379B1 KR 100721379 B1 KR100721379 B1 KR 100721379B1 KR 1020060111104 A KR1020060111104 A KR 1020060111104A KR 20060111104 A KR20060111104 A KR 20060111104A KR 100721379 B1 KR100721379 B1 KR 10072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ceiling
fluorescent light
ligh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케이라이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라이팅(주) filed Critical 케이라이팅(주)
Priority to KR102006011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을 구성하는 경량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고정구조에서 혼용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어느 고정구조에서나 적용가능하게끔 설치되고 설치시에는 천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 조명이 가능하도록 함을 물론 간단한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형광등기구를 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천정 매립형의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하단에서 측방(側方)으로 절곡 형성된 기저판과, 그리고 상기 기저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로 인하여 형성되는 수용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를 고정구조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판으로 형성되는 본체 가로길이는 텍스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본체 세로길이는 상기 본체 가로길이의 정수배에 해당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형광등기구, 앵글, 티바, 엠바, 오메가바, 텍스

Description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FLUORESCENT LAMP APPLIAN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CEILING USING IT}
도 1은 엠바(M-bar)에 결합된 기존 형광등기구의 결합 측면도.
도 2는 티바(T-bar)에 결합된 기존 형광등기구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엠바(M-bar)에 결합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오메가바(Ω-bar)에 결합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8은 티바(T-bar)에 결합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200: 수용부 300: 체결수단 400: 공간부
110: 상부판 120: 측면판 130: 기저판 140: 연결판
310: 상부활주판 320: 하부활주판 330: 지지판 340: 체결수단
311, 321: 기저면 312, 322: 측면
311a: 제1 활주로 321a: 제 2활주로
331: 상부판 332: 측면 333: 안치부
341: 제1 걸림부 342: 제2 걸림부 343: 지지핀
M: 엠바 T: 티바 Ω: 오메가바
본 발명은 천정을 구성하는 경량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고정구조에서 혼용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어느 고정구조에서나 적용가능하게끔 설치되고 설치시에는 천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 조명이 가능하도록 함을 물론 간단한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형광등기구를 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천정 매립형의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에는 환기덕트 및 기타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앵글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설치된 앵글의 하부에는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기기인 형광등기구 및 텍스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형광등기구는 일반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형광등 몸체의 내부에 복수 개의 반사갓이 결합되고, 상기 반사갓의 양측에는 형광전구를 고정함과 동시에 안정기로부터 안정된 전원이 형광전구로 인가되도록 하는 접속단자가 내장된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형광등기구는 앵글의 하부에 형광등 몸체 양측을 직접 고정하는 방식과 형광등 몸체 양측이 앵글의 상부에 얹혀지는 등 앵글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형광등기구가 앵글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되는 방식은 상기 앵글의 형태에 따라 각기 상이한 방법으로 설치되고 여기에 이용되는 형광등기구 또한 각기 상이한 형태의 형광등기구를 이용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앵글을 그 형태에 따라 분류해보면 통상적으로 영문자 "M"를 거꾸로 세운 형상과 비슷한 형상이라 하여 불리는 엠바(M-bar)형 앵글, 영문자 "T"를 거꾸로 세운 형상과 비슷한 형상이라 하여 불리는 티바(T-bar)형 앵글, 그리고 특수문자 "Ω"를 거꾸로 세운 형상과 비슷한 형상이라 하여 불리는 오메가바(Ω-bar)형 앵글이 있고,
상기 앵글 종류에 따른 형광등기구 설치법을 살펴보면, 먼저 형광등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일측으로 앵글에 결합된 텍스를 분리시킨 후 텍스가 분리된 공간 양측의 앵글 사이로 형광등 본체를 삽입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바(M)형 앵글에 있어서는 형광등기구의 상부에 형광등기구의 가로 폭보다 긴 별도의 가로바(300)를 구비하여 상기 가로바가 각각 형광등기구 양측에 있는 엠바의 상단에 걸쳐지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형광등기구를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별도로 구비된 가로바와의 결합방식과, 엠바와의 체결방식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엠바형 형광등기구는 결국 천정 텍스면(C)보다 돌출형성되어 실내 외관을 헤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티바형 앵글에서는 상기와 같이 텍스 분리 후 분리된 공간 양측의 앵글 사이로 형광등 본체를 삽입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사이로 삽입된 형광등 본체를 그 일측의 앵글(T)이 위치된 것으로 이동시켜 앵글의 윗면으로부터 하부로 안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형광등기구의 설치가 마무리된다. 이 경우 티바 형상의 특징상 형광등기구가 티바의 돌출면에 바로 얹혀지는 것이기에 상기 엠바형 앵글에서와는 달리 천정 텍스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형성하게 되어 실내 외관이 좋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요자는 천정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엠바형보다는 티바형을 많이 찾게 되고 티바형에 맞는 형광등기구를 선호하게 되지만, 바형에 따라 형광등기구가 맞추어져 기존에 엠바로 시공된 천정에서는 티바형으로 생산된 형광등기구는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천정마감시 가운데 부분은 티바와 텍스로 마감하고 가장자리 부분을 엠바로 마감하는 통상적인 시공법에서는 각 형에 맞는 형광등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어 결국 다양한 앵글 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오메가바형 앵글 또한 독특한 체결 방식을 요구하기에 이에 맞는 형광등기구가 별도로 필요함을 물론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에 소개된 형광등기구들은 우선 사용될 바형을 정하고 여기에 맞는 형광등기구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야 하기에, 티바형의 형광등기구는 엠바형의 앵글에 사용하지 못하고 동일하게 엠바형의 형광등기구는 티바형의 앵글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특허청에 출원되고 공개된 자료들을 보더라도 천정과 각 앵글과의 결합 및 체결 방식을 별론으로 하더라도 각각의 앵글 형태에 기초한 형광등기구가 소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1684호의 『형광등기구』(2004.09.01자 등록)는 티바 앵글에 맞추어지도록 설계된 형광등기구이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6235호의 『원터치에 의하여 천정에 매립되는 형광등기구』(2004.07.05자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98741호의 『형광등갓』(2006.09.19자 공개)는 엠바 앵글에 맞추어지도록 설계된 형광등기구이다.
다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8531호의 『슬림형 헹거식 조명등기구 』(2001.12.11자 등록)에서는 상기와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엠바와 티바에 모두 적용가능한 형광등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앵글 구조에 적용가능하게 하였다는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엠바 앵글에 설치시 천정면에 돌출되어 외관상 수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또한 각 바와의 결합 및 체결방식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나아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04호『형광등의 고정장치』(2003.02.06자 등록)에는 간결한 슬라이딩 방법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형광등기구를 앵글에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04호에 개시된 형광등기구는 엠바형에 맞추어진 형광등기구로써, 최종 마감시 결국 천정 텍스면보다 돌출 형성될 수밖에 없고 나아가 티바 또는 오메가바형에는 혼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엠바나 티바,그리고 오메 가바에 관계없이 형광등기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다양한 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의 구현을 복잡한 구조 또는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바에서 형광등기구를 시공하더라도 천정면에서 돌출형성되지 않아 수려한 실내 외관을 보장할 수 있는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체결수단과 별도의 공간부를 구비하여 쉽고 용이하게 다양한 구조에서 설치 및 분리 가능하고 보다 안정된 구조의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제3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하단에서 측방(側方)으로 절곡 형성된 기저판과, 그리고 상기 기저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로 인하여 형성되는 수용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를 고정구조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판으로 형성되는 본체 가로길이는 텍스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본 체 세로길이는 상기 본체 가로길이의 정수배에 해당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정수배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가로가 300mm이고 세로가 1200mm로 한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정마감 시공방법은, 천정에 형성된 텍스를 분리하여 형광등기구 설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텍스분리단계와; 상기 형성된 공간에 형광등기구를 천정에 삽입하여 고정구조에 안치하는 형광등기구 매립단계와; 상기 매립된 형광등기구의 수용부에 반사갓과 램프를 설치하는 반사갓 및 램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를 사용하여 고정구조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 가능하고 주변 천정 마감재와 동일한 평면상으로 형성되도록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각 도면에서 숫자 또는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기술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향기준을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형광등기구 설치시 천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부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부로 정한다. 나아가 형광등기구와 체결되는 엠바, 티바, 그리고 오메가바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하에서는 고정구조로 통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로 인해 형성되어 램프 및 반사갓 등의 다양한 구조가 안치되는 수용부(200)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고정구조에 체결되는 체결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판(120)과, 상기 측면판의 하단에서 측방(側方)으로 절곡 형성된 기저판(130)과, 그리고 상기 기저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판(1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판 중 길이 방향의 마주보는 두 측면판(120a)은 상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뉘어져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110)과 연결된다.
이는 후술하는 다양한 고정구조에 대한 용이한 결합을 위하고, 텍스가 분리된 공간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티바 또는 오메가바형의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에 연결판(140)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이와 인접하여 설치된 텍스와 안정되 게 연결 설치된다. 물론, 티바형의 고정구조에서도 연결판이 있음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되게 고정구조에 형광등기구를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의 본체(100) 크기는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의 정수 배에 해당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기저판(130)으로 형성되는 본체 세로길이(100b)가 기저판으로 형성되는 본체 가로 길이(100a)의 정수배에 해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가 일정한 형태의 고정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티바(T-bar)형태의 고정구조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정구조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상기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저판(130)으로 형성되는 본체 가로 길이(100a)는 천정 마무리에 사용되는 텍스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여야 하며, 본체의 세로 길이(100b)는 하나 이상의 텍스가 연결되어 형성된 텍스의 세로 길이와 동일하여야 한다. 따라서 천정에 형광등기구 설치시, 삽입설치될 형광등기구의 세로 길이에 맞추어 텍스를 천정으로부터 하나 이상 분리하게 되고 이후 텍스를 분리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고정구조 종류에 상관없이 형광등기구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정 마무리에 사용되는 텍스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가로 300mm, 세로 600mm으로 통일되어 있기에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는 상기 텍스의 2개 해당하는 크기인 가로 300mm, 세로 120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상부판(110)에는 고정구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3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수단은 상부활주판(310)과, 하부활주판(320), 지지판(330), 그리고 제한수단(340)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활주판(310)은 그 단면이 "┏┓" 형상으로 기저면(311)과 그 양측에 길이 방향의 측면(312)을 가지고, 상기 기저면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활주(311a)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 활주판(310)과 하부 활주판(320)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진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활주로(311a)에는 제 1활주로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 제 1걸림부(3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1걸림부(341)는 상부 활주판(310)의 이동시 이하 후술하는 지지핀(343)에 걸려 상부 활주판(310)의 이동 변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부 활주판을 이동시 필요한 파지부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 활주판(320)을 보면, 하부 활주판의 형상 또한 상기 상부활주판과 동일하게 단면이 "┏┓" 형상으로 기저면(321)과 그 양측에 길이 방향의 측 면(322)으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상부 활주판(310)이 상기 하부 활주판(320) 기저면(321) 위에서 일부가 포개어져 겹쳐지는 상태가 되어야 하기에 상부 활주판의 기저면(311) 폭이 하부 활주판 기저면(321)의 폭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하부 활주판(320)의 기저면(321)에도 상부 활주판과 같이 제 2활주로(321a)의 역할을 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활주판(320)에도 상기 상부 활주판의 제 1 걸림부와 같이 상기 제 2활주로(321a)에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 제 2 걸림부(3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활주판이 상부 활주판의 아래 위치에서 겹쳐지기에 상기 제 1 걸림부(341)는 하부 활주판에 형성된 장공인 제 2 활주로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상부 활주판의 이동 변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하부 활주판의 우측방향 이동 변위를 제한하게 되고 또한 상부 활주판을 이동시 필요한 파지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부 활주판(310)과 하부 활주판(320) 각각에 형성된 활주로(311a, 321a)를 서로 맞추어 상부 활주판과 하부 활주판을 겹치게 되고, 이들은 상부면(331), 그 상부면(331)에 절곡 형성되는 측면(332), 그리고 상기 측면의 단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안치부(333)로 이루어진 지지판(330)에 슬라이딩 되면서 수용되고, 이를 형광등기구의 본체(100)의 후면에 위치시킨 후 볼트형상의 지지핀(343)을 상기 지지판(330)에서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활주로(311a, 321a), 그리고 형광등기구의 본체(100)를 통과시킨 후 이를 너트(344)로 고정시키면 체결수단(300)이 형광등기구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지지판(330)에 안치부(333)를 구비하는 이유는 지지판에 수용되는 상부 및 하부 활주판(310, 320)을 안정하게 수용하고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형광등기구 본체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걸림부(341, 342)를 잡고서 이를 횡측방향으로 각각 밀어내면 상부 활주판(310)과 하부 활주판(320)이 횡측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밀리고, 상기 밀린 각각의 활주판 엠바 등의 고정구조에 결합되어 결국 형광등기구가 고정구조에 손쉽게 체결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에서 언급된바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04호의 고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있어서는 유사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4804호에 개시된 고정장치보다 부품수를 최대한 줄이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구조에 형광등기구를 안치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는 것이며,
체결수단의 구현방식에 따라서는 더욱 간편하게는 형광등기구 기저판(130) 하부에서 고정구조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볼트 체결 등으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천정 텍스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 록 되어 있고, 티바, 엠바 또는 오메가바 형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에 복잡한 구조의 체결방식이 필요 없고 각각의 고정구조에 본체가 쉽게 얹혀지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방식이라면 족하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바와 오메가바가 아닌 티바(T)의 고정구조에서는 티바의 일부분(Ta)에 형광등기구의 기저판(130)이 자연스럽게 안치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기에 도 8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 고정구조와의 체결방식은 티바의 일부분(Ta)와 포개어지는 본체의 기저판(130) 하부에서 상부 방향인 고정구조를 향하여 볼트로 직접적으로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을 통하면 결국, 상부 및 하부 활주판의 이동길이를 제한하는 제한수단(340)은 제 1 걸림부(341)와, 제 2 걸림부(342)와, 그리고 지지핀(3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200) 즉, 본체의 상부판(110) 일면에는 형광등 램프에 사용되는 안정기 수용을 위한 별도의 공간부(400)가 마련된다. 특히, 상기 공간부(400)는 본체의 상부판(110)의 일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천정 구조물과 형광등기구 사이에 는 별도의 여유 공간이 남아 있기마련이어서 이 공간을 활용하고자 함이다.
상기 공간부(400) 또한 그 단면이 "┏┓" 형상으로, 상부면(401)과 길이방향의 측면(402)만이 있고 전방과 후방은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공간부(400)를 형성하는 상부면(401)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40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안정기 수용과 전선 연결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간부(400)를 전방과 후방을 개방된 형태로 둠으로 인하여, 이후 설치된 안정기 등의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손쉽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전선이나 코드 연결을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등기구는 다양한 고정구조에도 적용가능하고 또한 설치 이후에 천정면(C)(좀 더 정확하게는 텍스면이 된다)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되어 실내의 천정면 외관이 수려해 보이게 되는데,
즉, 도 6은 엠바형(M)의 고정구조에 결합된 형광등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7는 오메가바(Ω)의 고정구조에 결합된 형광등기구의 측면도, 그리고 도 8은 티바(T)의 고정구조에 결합된 형광등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텍스(C)와 대응되는 가로와 세로의 정수 길이비를 가진 형광등기구의 크기와 간단한 체결수단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라면 어느 고정구조에도 적용하여 설치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티바나 오메가바형의 고정구조에서만이 아니라 엠바형의 고정구조에서 설치 이후에도 주변의 천정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형광등기구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하는 단계로 천정마감을 하게 된다.
즉, 천정에 형성된 텍스를 분리하여 형광등기구 설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텍스분리단계와, 상기 형성된 공간에 형광등기구를 천정에 삽입하여 고정구조에 안치하는 형광등기구 매립단계와, 상기 매립된 형광등기구의 수용부에 반사갓과 램프를 설치하는 반사갓 및 램프 설치단계 순으로 천정시공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천정시공에 사용되는 형광등기구는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를 이용하여야만 고정구조의 형태를 개별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손쉽게 형광등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형광등기구를 설치하더라도 주변 천정 마감재와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시공을 할 수 있게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반사갓 및 램프 설치단계에 있어서, 램프 설치에 필요한 안정기를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기구의 공간부(400)에 위치시키고, 안정기에 연결된 전선이나 코드를 공간부의 상부면(401)에 다양하게 형성된 천공(401a) 또는 공간부의 개방된 전방 또는 후방을 통하여 외부로 간단하게 노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 구조, 그리고 배열을 갖는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첫째, 엠바나 티바,그리고 오메가바에 관계없이 형광등기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이러한 다양한 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의 구현을 복잡한 구조 또는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는데 그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엠바에서 형광등기구를 시공하더라도 형광등기구가 천정면에서 돌출형성되지 않아 수려한 실내 외관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간편한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쉽고 용이하게 다양한 구조에서 설치 및 분리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을 얻게되었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형광등기구 본체 상부에는 개방된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는 공간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열 방출을 용이하게하고, 전선이나 코드 등의 복잡한 선 연결을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천공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하단에서 측방(側方)으로 절곡 형성된 기저판; 및
    상기 기저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로 인하여 형성되는 수용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를 고정구조에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저판으로 형성되는 본체 가로길이는 텍스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본체 세로길이는 상기 본체 가로길이의 정수 배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정수 배를 이루는 본체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가로가 300mm이고 세로가 1200mm로 특정되고,
    상기 수용부 상부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별도의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면에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안정기 수용과 전선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외부와의 연결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측면과 상부면만으로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은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제1할주로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의 측면을 가진 상부활주판;
    제2활주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활주판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일부가 상기 상부활주판에 포개어져 결합되는 하부활주판;
    상기 상부활주판과 하부활주판을 수용하는 지지판;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활주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1활주로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활주로에 형성된 제 2걸림부와, 및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활주로를 관통하는 지지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와 지지핀에 의하여 상기 활주판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천정에 형성된 텍스를 분리하여 형광등기구 설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텍스분리단계;
    상기 형성된 공간에 형광등기구를 천정에 삽입하여 고정구조에 안치하는 형광등기구 매립단계와;
    상기 매립된 형광등기구의 수용부에 반사갓과 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수용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된 공간부에 램프 설치에 필요한 안정기를 설치하는 반사갓과 램프와 안정기 설치단계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천정마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기구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형광등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형광등기구의 공간부에 형성된 천공 또는 공간부의 개방된 전방 및 후방을 통하여 안정기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쉽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정구조인 엠바, 티바, 오메가바에 관계없이 형광등기구의 설치가 가능하고 주변 천정 마감재와 동일한 평면상으로 형성되도록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의 시공방법.
  8. 삭제
KR1020060111104A 2006-11-10 2006-11-10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KR10072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104A KR100721379B1 (ko) 2006-11-10 2006-11-10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104A KR100721379B1 (ko) 2006-11-10 2006-11-10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379B1 true KR100721379B1 (ko) 2007-05-23

Family

ID=3827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104A KR100721379B1 (ko) 2006-11-10 2006-11-10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86B1 (ko) 2007-03-19 2007-10-23 주식회사현진라이팅 천정 매입형 등기구 갓
KR101311961B1 (ko) 2013-08-06 2013-09-26 한림조명 주식회사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20160106885A (ko) * 2015-03-03 2016-09-13 양경호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04Y1 (ko) * 2002-11-11 2003-02-19 태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형광등기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04Y1 (ko) * 2002-11-11 2003-02-19 태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형광등기구의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86B1 (ko) 2007-03-19 2007-10-23 주식회사현진라이팅 천정 매입형 등기구 갓
KR101311961B1 (ko) 2013-08-06 2013-09-26 한림조명 주식회사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20160106885A (ko) * 2015-03-03 2016-09-13 양경호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KR101681072B1 (ko) * 2015-03-03 2016-12-01 양경호 천장설치용 라인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1300C (en) Lighting assembly with light fixture mounted in electrical box
EP2453165B1 (en) Lighting device
US6364511B1 (en) Universal adapter bracket and ornamental trim assembly using same for in-ceiling recessed light fixtures
EP3045798A1 (en) Lighting device
US9989225B2 (en) System configured for mounting with a ceiling support grid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90002456U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102404581B1 (ko) 개장 led 조명 패널
KR100721379B1 (ko)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2094122B1 (ko)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KR100600534B1 (ko) 형광등기구
KR200494820Y1 (ko) 조명등 고정클립
KR101835284B1 (ko) 엘이디 천장등
JP3642066B2 (ja) 天井バーの構造
KR20090104954A (ko) 고조도 조명기구용 반사판구조 및 그를 가지는 고조도조명기구
JP4051809B2 (ja) 照明器具
KR101014827B1 (ko)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KR20080004082U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100641816B1 (ko)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200220028Y1 (ko) 천장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KR100584245B1 (ko) 형광등기구
KR200214816Y1 (ko)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반사판장치
KR101033704B1 (ko) 경사 반사갓과 에프피엘을 구비한 천정 비매립 슬림형 조명기구
KR200289490Y1 (ko) '티'바를 이용한 천정매입형 형광등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