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21Y1 - 등기구형 배선덕트 - Google Patents

등기구형 배선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21Y1
KR200446421Y1 KR2020070013514U KR20070013514U KR200446421Y1 KR 200446421 Y1 KR200446421 Y1 KR 200446421Y1 KR 2020070013514 U KR2020070013514 U KR 2020070013514U KR 20070013514 U KR20070013514 U KR 20070013514U KR 200446421 Y1 KR200446421 Y1 KR 200446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lder
duct
mounting plate
duct body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579U (ko
Inventor
고재완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2020070013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2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기구 형 배선덕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설치판을 매개로 하여 덕트본체와 램프홀더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덕트본체 및 램프홀더와 설치판 간의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기존에 비해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등기구 형 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는 배선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되며, 배선공간부에 위치하는 양측내벽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덕트본체와,
상기 반사면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배선공간부내에 삽입되는 램프홀더 및 상기 배선공간부 내에 설치되되 양측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덕트본체와 결합되고,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램프홀더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체결되는 설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선덕트, 램프홀더, 설치판

Description

등기구형 배선덕트{lamp fixture type Wiring duct }
도 1 과 도 2는 종래 등기구 형 배선덕트 중 설치판과 덕트본체 및 램프홀더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의 전체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 중 설치판이 슬라이딩방식으로 램프홀더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전체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덕트본체 110 : 배선공간부
120 : 반사면 200 : 램프홀더
210 : 걸림턱 400 : 설치판
410 : 삽입공 420 : 절개부
본 고안은 등기구 형 배선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듈화된 구조를 통해 배선과 램프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배선덕트 중 램프홀더와 덕트본체간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설치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각종 전기기구의 전원선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 등을 배선할 경우 각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관상 미려함을 높이기 위한 배선덕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선덕트는 최근들어 다양하게 변형 개발되어 단순히 케이블의 수용기능 뿐만 아니라 배선덕트 자체에 별도의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등기구 기능이 일체화된 형태의 등기구 형 배선덕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등기구형 배선덕트는 본 출원인이 2004년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0086297호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배선공간(110)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호(弧) 형태의 반사면(120)이 형성된 덕트본체(100)와,
상기 덕트본체(100)의 반사면(120) 상부면에 볼트(B)를 통해 결합되며 램프홀더(200)가 일체로 구비된 램프홀더지지구(210) 및 램프홀더지지구(210)의 램프홀더(200)에 결합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덕트본체(100)자체에 반사갓이 형성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구조가 간소해져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볼트(B)를 통해 반사면(120) 상부와 결합되는 램프홀더지지구(210)를 통해 램프홀더(2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서는 반드시 램프홀더(200)가 램프홀더지지구(210)와 일체형인 것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즉 기성제품의 램프홀더는 전혀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단순 볼트체결을 통해 램프홀더(200)를 비롯한 램프홀더지지구(210)가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 후 볼트체결력이 저하되어 램프홀더지지구(210)가 흔들릴 우려가 있으며, 램프교체 시 램프홀더지지구(210)가 회동되어 램프의 결합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우려가 크다.
이러한 종래기술 외에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41816호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배선공간(210)이 형성된 덕트본체(100) 하부에 별도의 램프와 램프홀더(200) 및 반사갓(300)이 설치된 것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이때 상기 램프홀더(200)는 앞의 종래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지지구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적용되되, 별도의 설치판(400)을 통해 덕트본체(100)에 결합된다.
상기 설치판(400)은 양측단부가 덕트본체(100) 내부 양측에 형성된 결합레일(130)에 끼워진 상태로 배선공간(110)내에 위치되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0)을 통해 램프홀더(200) 상부가 삽입되어 배선공간(110)내의 전원선 등과 전기적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램프홀더(200) 자체를 덕트본체(100)에 결합시키기 때문 에 앞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에 비해 적용가능한 램프홀더 종류가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앞에서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판(400)의 고정을 위해 별도로 결합레일(130)을 형성시켜야만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 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설치판(400)과 램프홀더(200) 간의 결합 또한 설치판(400) 중앙의 관통공(410)에 램프홀더(200)의 탄성편(220)이 걸리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편(220)없이 단순히 걸림턱만 구비된 램프홀더의 결합 시에는 삽입이 어려워, 탄성편이 구비된 형태만으로 램프홀더의 종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탄성편이 없을 시에도 램프홀더를 억지로 끼워넣어 결합시킬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 설치판(400)이 휘거나 램프홀더(20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 중 램프홀더의 설치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설치판을 통해 덕트본체에 램프홀더를 결합시키되, 설치판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현하지 않고 기존 덕트본체에 형성된 구조를 이용해 설치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덕트본체의 구조가 간소해지고 설치판의 설치가 용이한 등기구형 배선덕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램프홀더와의 결합이 쉬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램프홀더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적용범위를 넓 힐 수 있는 등기구형 배선덕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등기구형 배선덕트는,
내부에 배선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호 형태의 반사면이 형성된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배선공간 바닥에 안착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덕트본체의 반사면 및 설치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홀더에 결합되는 램프를 포함한 것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구성 중 상기 설치판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램프홀더와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반적인 덕트본체의 양 내측벽에 돌출된 연결레일에 설치판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등기구형 배선덕트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덕트본체(100)와 램프홀더(200), 설치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덕트본체(100)는 본 고안의 모든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관 형태이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각종 배선케이블을 비롯한 안정기 등이 수용되는 배선공간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덕트본체(100)의 양측벽에는 복수개의 덕트본체(100)를 연결하고자 할 때 별도의 연결편(미도시)을 삽입시키기 위한 연결레일(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레일(130)은 덕트본체(100) 양측벽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배선공간부(110) 내의 측벽 상에는 돌출부(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선공간부(110)는 덕트본체(100)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커버(500)를 통해 밀폐되며, 상기 상부커버(500)를 구비시키지 않고 덕트본체(100) 자체를 상부가 막혀 있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덕트본체(100)의 바닥은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띠되, 호(弧)형태의 반사면(12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반사면(120)만을 이용하여 램프(L)로부터 방출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반사면(120) 상에 별도의 반사갓을 더 부가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사면(120)의 상부면, 즉 배선공간부(110)의 바닥면과 돌출부(140)의 바닥면간에는 후술할 설치판(400)의 두께만큼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120)의 양단부 상부면에는 관통공(1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150)에는 램프홀더(20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이렇게 끼워지는 램프홀더(200)는 상단부에 걸림턱(2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0)이 반사면(120)을 관통하여 덕트본체(100)의 배선공간부(110)내에 위치하 게 되며, 상기 걸림턱(210)외에 탄성편이 구비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단부가 덕트본체(100)에 끼워진 램프홀더(200)는 설치판(400)을 통해 고정되는데,
상기 설치판(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판재형태로 좌우양측단부 간의 길이는 덕트본체(100)의 내측폭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고 중앙에는 램프홀더(200)가 끼워지는 삽입공(410)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410)의 좌우폭은 램프홀더(200)의 걸림턱(210)간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덕트본체(100)에 끼워진 램프홀더(200) 부위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410)의 일측에 절개부(420)가 형성되어 삽입공(410) 일측면이 외부로 개방된 형태를 갖으며, 상기 절개부(420)의 폭은 적어도 상기 삽입공(410)의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4의 참고도 1,2 참조) 램프홀더(200)가 절개부(420)를 통해 원활하게 삽입공(410)쪽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삽입공 또는 절개부의 입구 양 모서리부에 경사면(440)을 형성시켜 절개부(420)나 삽입공(410)으로의 램프홀더(200) 최초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삽입공(410) 주변에는 덕트본체(100)와의 고정을 위한 볼트공(4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판(400)은 [도 4]와 [도 5]처럼 최초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덕트본체(100) 양단부를 통해 덕트본체(100)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때 설치판(400)의 바닥면은 배선공간부(110)의 바닥, 즉 반사면(120)의 상 단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설치판(400)의 양측단부의 상면은 덕트본체(100)의 연결레일(130)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140)바닥에 맞닿은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판(40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판(400)의 양측길이가 덕트본체(100)의 내측폭과 동일하고 설치판(400)의 두께는 돌출부(140)의 바닥면과 반사면(120)의 상단면 간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과정에서 삽입판(400)의 상·하부면이 돌출부(140)와 반사면(1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렇게 덕트본체(100)내에 설치판(40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램프홀더(200) 중 덕트본체(100)에 끼워진 부분이 설치판(400)의 절개부(420)에 삽입되고, 곧바로 삽입공(410)까지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설치판(400)의 삽입공(410)과 램프홀더(200)의 걸림턱(210)과의 폭차이에 의해 걸림턱(210)이 설치판(400)에 걸려 램프홀더(200)가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설치판(400)에 형성된 볼트공(430)에 볼트(B)를 삽입하여 덕트본체(100)와 체결킴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램프홀더(200)는 반사면(120)의 관통공(150)을 관통한 상태이기 때문에 관통공(150)에 의해 전후 이동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굳이 상기 볼트(B)체결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램프홀더(200)에 결합된 설치판(400)이 이동될 우려가 없다.
다만 강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설치판(400)이 전측으로 이동되어 램프홀더로 부터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판(400)과 덕트본체(100) 및 램프홀더(20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선공간부(110) 중 반사면(120)과 덕트본체(100)사이에 형성된 공간부(A) 윗부분을 설치판(400)이 막고 있는 형태가 되므로, 상기 공간부(A)를 따라 배설되는 케이블(C)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판(400)을 덕트본체(10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덕트본체(100)에 기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130)에 의한 돌출부(140)를 이용해 설치판(40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판(4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현할 필요가 없어 덕트본체(100)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램프홀더의 종류에 상관없이 단순히 설치판(40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램프홀더(200)가 설치판(400)의 절개부(420)를 통해 삽입공(410)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램프홀더의 형태에 상관없이 손쉽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등기구형 배선덕트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일반적인 덕트본체의 연결레일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판이 걸리도록 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덕트본체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설치판과 램프홀더간에 슬라이딩방식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램프홀더의 형태에 무관하게 손쉽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형 배선덕트는,
일반적인 덕트본체의 연결레일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와 반사면 사이에 설치판을 삽입하여 설치함에 따라, 설치판의 설치를위해 별도의 설치구조를 구비시켜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덕트본체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램프홀더가 설치판의 절개부를 통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램프홀더가 설치판의 삽입공을 직접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기존 기술과는 달리 램프홀더의 종류에 상관없이 설치판과 램프홀더간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배선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반사면이 형성된 덕트본체와,
    상단부가 상기 반사면을 관통하여 배선공간부 내에 위치되는 램프홀더 및 상기 램프홀더와 덕트본체를 연결하는 설치판을 포함한 등기구형 배선덕트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 상에는 램프홀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삽입공이 외부로 개방됨에 따라 램프홀더가 상기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삽입공 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형 배선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의 양측 내부벽면에는 덕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레일에 의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판은 배선공간부 중 상기 돌출부와 반사면 사이 간극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형 배선덕트.
  3. 삭제
  4. 삭제
KR2020070013514U 2007-08-14 2007-08-14 등기구형 배선덕트 KR200446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14U KR200446421Y1 (ko) 2007-08-14 2007-08-14 등기구형 배선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14U KR200446421Y1 (ko) 2007-08-14 2007-08-14 등기구형 배선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79U KR20090001579U (ko) 2009-02-18
KR200446421Y1 true KR200446421Y1 (ko) 2009-10-28

Family

ID=4129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14U KR200446421Y1 (ko) 2007-08-14 2007-08-14 등기구형 배선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2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044Y1 (ko) 2004-09-24 2004-12-13 주식회사 랩앤파트너스 천장 조명등 설치구조
KR100641816B1 (ko) 2004-09-07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100735118B1 (ko) 2004-10-27 2007-07-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100745191B1 (ko) 2005-03-21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16B1 (ko) 2004-09-07 2006-11-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KR200370044Y1 (ko) 2004-09-24 2004-12-13 주식회사 랩앤파트너스 천장 조명등 설치구조
KR100735118B1 (ko) 2004-10-27 2007-07-0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조명용 반사갓 일체형 배선덕트 모듈
KR100745191B1 (ko) 2005-03-21 2007-08-0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79U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882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vehicle room illumination lamp
KR100639121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천장전기 단자함
KR20090002456U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200446421Y1 (ko) 등기구형 배선덕트
FR2823602A1 (fr) Ensemble de montage de connecteur electrique
ES2297259T3 (es) Lampara de techo con un alojamiento de lampara alargado.
JP4204943B2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KR200318213Y1 (ko) 배선용 덕트
RU2000125826A (ru) Арматур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основание монтажного короба для проклад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KR200404598Y1 (ko) 전등용 덕트의 디퓨저 결합 구조
KR100721379B1 (ko) 다양한 고정구조에 적용 가능한 형광등기구 및 이를 이용한천정마감의 시공방법
US7140760B2 (en) Wire retention feature
JP5279131B2 (ja) 照明器具
KR20090001580U (ko) 덕트형 등기구
JP3556584B2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KR0130864Y1 (ko) 광고판에 설치되는 형광등 고정장치
JP6210361B2 (ja) 照明器具
EP1460334A1 (en) Recessed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CN218819991U (zh) 一种灯具堵头组件及灯具
KR200230756Y1 (ko) 형광등 장치
KR200446512Y1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1014827B1 (ko)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KR200186387Y1 (ko) 교환기의조명기구설치구조
KR200237603Y1 (ko) 형광등 소켓 장착구조
KR100584245B1 (ko) 형광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