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206B1 - 센서 위치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위치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206B1
KR102000206B1 KR1020190041971A KR20190041971A KR102000206B1 KR 102000206 B1 KR102000206 B1 KR 102000206B1 KR 1020190041971 A KR1020190041971 A KR 1020190041971A KR 20190041971 A KR20190041971 A KR 20190041971A KR 102000206 B1 KR102000206 B1 KR 10200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block
connecting block
vertical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
Priority to KR102019004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가 고정된 수직봉, 상기 수직봉에 연결된 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블록 및 상기 수평봉에 결합된 센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로서, 상기 수직봉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회전조정 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복수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수평 방향 서로 다른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조정 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끝 부분을 밀어서 수평봉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길이조정 볼트가 체결된 길이조정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위치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of sensor position}
본 발명은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장치의 부품 위치, 형상, 크기 등을 감지하기 위한 비전 카메라 등의 센서 설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 설비의 자동화가 일반화되면서 자동화 설비에 투입 또는 조립되는 부품의 유무, 형상, 공급위치, 형상 또는 크기 등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비전 카메라와 같은 비주얼 센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비전 카메라는 자동화 설비의 특정 영역을 관찰하고 센싱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정 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자동화 설비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어진다.
비전 카메라의 고정에 이용되는 것이 카메라 장착용 스탠드인데, 이러한 카메라 장착용 스탠드는 표준화된 상품으로 공급되는 경우가 많고, 자동화 장비의 설계 편의성, 경제성 등의 이유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착용 스탠드는 카메라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센서, 측정기기와 같은 디바이스가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용 스탠드의 설치 과정을 보면, 자동화 설비의 설치 마지막 단계에서 수작업으로 숙련자에 의하여 설치되며, 카메라 이미지에 따라 카메라 위치를 반복적으로 조정하면서 적절한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하고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숙련자에게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번거로운 과정이며, 초기에 위치가 고정된 후에 설비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가 조금씩 변동되는 경우에는 위치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이때마다 자동화 설비의 사용업체는 장비 공급업체에 AS를 요청하여야 하고, 그 동안에 자동화 설비를 가동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비전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2091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LCD/PDP 모니터 프레임 제조 후 검사카메라와 측정카메라를 이용하여 탭의 존재 유무와 탭 내경을 자동으로 검사하고 측정하는 비젼시스템에서 제품을 이송시키고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상에 지지되면서 제품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품을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파트와, 상기 컨베이어파트의 양편에 배치되는 2세트의 검사카메라 및 측정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식으로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되는 제품상의 탭 존재 유무와 탭 내경을 검사하고 측정하는 카메라파트와, 상기 카메라파트의 어느 1세트의 검사카메라 및 측정카메라의 위치를 제품의 크기에 따라 폭방향으로 조정하는 폭조절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PDP 모니터 프레임 제조설비용 비젼시스템의 제품 이송 및 카메라 위치조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카메라 위치장치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구동수단, 가이드 레일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서로 다른 자동화 설비에서의 응용성이 낮고 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작업자가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기존에 표준화되어 사용되는 카메라 스탠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카메라 위치 조정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직봉과 수평봉 및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카메라 고정장치에 용이하게 결합가능하며, 카메라의 위치를 수직, 수평 및 회전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비숙련자라도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게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가 고정된 수직봉, 상기 수직봉에 연결된 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블록 및 상기 수평봉에 결합된 센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로서, 상기 수직봉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회전조정 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복수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수평 방향 서로 다른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조정 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끝 부분을 밀어서 수평봉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길이조정 볼트가 체결된 길이조정 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이동의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조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조정 볼트는 상기 봉 연결블록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은 분리된 2개의 수직봉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분리된 수직봉 연결블록은 각각 한쪽이 오픈된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2개의 분리된 수직봉 연결블록이 결합되면 상기 오픈된 체결홀에 상기 수직봉의 삽입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은 상기 수직봉에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수직봉과 수평봉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 간단하게 체결하고 조정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카메라와 같은 센서의 위치를 수직, 수평 및 회전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2. 기존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는 봉 연결블록을 고정하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조정 볼트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다시 한번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카메라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기존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서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는 과정에서는 카메라 위치의 조정이 완료된 후에 고정볼트를 다시 한 번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회전시키면 센서 위치 조정장치의 고정 기능에 의하여 고정볼트의 조임에 따른 2차적인 위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 장착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복수개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 탈부착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자동화 설비에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센서 고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와 도 2b는 센서 고정장치에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센서 고정장치에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6은 길이조정 볼트의 회전에 의한 수직봉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고정된 수직봉, 상기 수직봉에 연결된 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블록 및 상기 수평봉에 결합된 센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로서, 상기 수직봉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회전조정 블록과,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복수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수평 방향 서로 다른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조정 볼트와,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끝 부분을 밀어서 수평봉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길이조정 볼트가 체결된 길이조정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자동화 설비에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 장착되어, 카메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기존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는 하부가 고정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연결된 봉 연결블록에 의하여 수직봉에 결합된 수평봉을 포함하고, 수평봉에 센서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고정 스탠드는 카메라의 수평, 수직 및 회전 방향 조절이 봉 연결블록의 위치 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조절은 봉 연결블록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조절한 후에 고정볼트를 조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볼트의 정위치를 잡는 과정이 온전한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위치를 잡는 것이 어려운 일이고, 정위치를 잡았다 하더라도 고정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위치가 다시 변화되기도 하여 카메라를 정위치로 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카메라 고정 스탠드의 봉 연결블록 위치 조절에 의하여 1차적으로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한 후에 카메라의 미세한 위치 조정을 2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미세 위치 조정은 봉 연결블록이 고정볼트에 의하여 어느 정도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센서 위치조정 장치의 조정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봉 연결블록의 미세한 위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기존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 간단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작업의 편의성을 구현할 뿐 아니라 하나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여러 대의 카메라 고정 스탠드에서 탈부착시키면서 카메라 위치 조정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위치 조정이 완료된 후에 봉 연결블록의 고정볼트를 다시 한 번 견고하게 체결하는 과정에서 각 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의하여 카메라 위치가 결정된 후에 봉 연결블록의 고정볼트를 견고하게 체결하는 과정에서 봉 연결블록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자동화 설비에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센서 고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고정장치(100)는 수직봉(110), 수평봉(120), 수직봉 고정부(130), 봉 연결블록(140), 센서 연결블록(150)을 포함하고, 센서 연결블록(150)에는 센서(160)가 연결된다. 센서 고정장치(100)는 부품의 조립, 이송 등에 관여하는 자동화 설비에 이용되고, 센서는 비전 카메라와 같은 비주얼 센서일 수 있다. 봉 연결블록(140)은 분리 가능한 단위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단위 블록이 결합되면서 봉 연결블록 내부에 수직봉(110)과 수평봉(12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141, 142)는 상기 단위블록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고정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홀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봉 연결블록이 수직봉 및 수평봉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연결블록(150)은 수평봉(120)의 끝 부분에 결합되는데, 센서 연결블록(150)에는 비전 카메라와 같은 센서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센서는 봉 연결블록의 상하 이동, 수평 이동 및 회전 운동에 의하여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수직봉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수직봉 고정부는 자동화 설비의 프레임 또는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센서 고정장치에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200)는 센서 고정장치(100)의 수직봉(110)에 결합된다. 센서 고정장치(100)의 수직봉(110)에 결합된 센서 위치조정 장치(200)는 봉 연결블록(140)을 미세하게 밀거나 중력에 의한 하강을 유도하여 수직봉(110)에 결합된 센서(1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봉 연결블록(140)에 결합된 수평봉(120)을 미세하게 밀거나 당겨서 센서(160)의 수평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평봉(120)을 수직봉(110)을 중심으로 양쪽 중 어느 하나로 밀어서 센서(160)를 미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센서 고정장치에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200)는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이 수직봉(110)의 양쪽에 체결되면서,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의 사이에 형성된 체결홀(213)에 수직봉(110) 삽입되면서 고정볼트(215)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센서 위치조정 장치(200)는 고정볼트의 체결과 해제에 의하여 센서 고정장치의 수직봉에 간단하게 조립 및 해제가 되므로 하나의 센서 고정장치에서 사용한 후에 해체하여 다른 센서 고정장치의 센서 위치 조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위치조정 장치(200)는 수직봉 연결블록(211, 212), 회전조정 블록(220) 및 길이조정 블록(231, 232)을 포함한다. 수직봉 연결블록은 분리된 형태의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이 고정볼트(215)에 의하여 체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결합된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 사이에 형성된 체결홀(213)에 수직봉이 삽입된 형태로 고정볼트(215)에 의하여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에는 2개의 높이조정 가이드(216)가 통과할 수 있는 홀과, 높이조정 볼트(214)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정 볼트(214)는 제1수직봉 연결블록에 형성된 홀 내부의 탭을 따라 회전하면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이 수직봉에 고정된 상태에서 높이조정 볼트가 회전하면서 회전조정 블록(220)의 하부면을 밀어 회전조정 블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정 볼트(214)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수직봉에 느슨하게 결합한 봉 연결블록이 회전조정 블록(220) 위에 얹어진 상태로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수평봉의 위치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정 가이드(216)의 상부는 회전조정 블록(220)에 결합되고 높이조정 볼트가 회전하는 동안에 회전조정 블록이 수직 방향을 유지한 채 위 아래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조정 블록(220)은 상부로 연장된 2개의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와 결합되는데,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에는 각각 제1회전조정 볼트(231)와 제2회전조정 볼트(232)가 삽입되어 있다. 제1회전조정 볼트(231)와 제2회전조정 볼트(232)는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에 형성된 홀의 내부 탭을 따라 회전하면서 수평봉 방향의 돌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이 수직봉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회전조정 볼트(231)와 제2회전조정 볼트(232)의 상대적 돌출 거리가 변화되면, 수평봉은 수직봉을 회전축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회전조정 볼트(231)와 제2회전조정 볼트(232)는 수직봉이 삽입되는 제1수직봉 연결블록의 체결홀(213)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체결되어야 하고,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조정 블록(220)의 수평봉 방향의 측면에는 제1길이조정 블록(231)이 고정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어 있다. 제1길이조정 블록(231)의 상부에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기역'자의 단면을 가지는 제2길이조정 블록(232)이 고정볼트(234)로 연결되어 있고, 제2길이조정 블록(232)의 수직부에는 길이조정 볼트(233)가 삽입되어 있다. 길이조정 볼트(233)는 제2길이조정 블록의 수직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부(237)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길이조정 볼트의 끝 부분에는 탭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봉의 끝 부분에는 탭이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조정 볼트의 탭 영역은 수직봉의 탭이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있다. 길이조정 볼트가 제2길이조정 블록의 볼트 삽입홀을 따라 회전하면 길이조정 볼트의 위치를 변화하지 않으나, 길이조정 볼트의 탭을 따라 수직봉의 수평 위치가 당기거나 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길이조정 볼트에 의한 수평봉의 위치 이동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에는 1개의 높이조정 볼트(214) 및 2개의 높이조정 가이드(216)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정 블록(220)에는 높이조정 가이드(2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상부로 고정볼트(225)가 삽입되어 높이조정 가이드(216)과 체결되면서 높이조정 가이드(216)의 상부가 회전조정 블록(220)에 고정된다. 이때,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에 형성된 높이조정 가이드 관통홀에는 체결 가이드(216a)가 삽입된다. 체결 가이드(216a)는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의 관통홀 하부에 형성된 단차를 따라 더 이상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되고, 체결 가이드(216a)의 내경과 높이조정 가이드(216)의 외경이 대응하도록 하여 흔들림 없이 회전조정 블록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은 고정볼트(215)에 의하여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과 체결되고,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홀(213b)와 제2체결홀(213a) 사이로 수직봉이 고정된다. 회전조정 블록(220)은 상부로 연장된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를 가지고, 상기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에는 제1회전조정 볼트(223)와 제2회전조정 볼트(224)가 체결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의 내부에는 탭이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조정 볼트(223)와 제2회전조정 볼트(224)는 상기 탭을 따라 회전하면서 돌출거리가 조절되면서 수평봉의 서로 다른 영역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 수평봉의 서로 다른 영역은 수직봉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제1회전조정 볼트(223)와 제2회전조정 볼트(224)의 조절에 의하여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수직봉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조정 블록(220)의 측부에는 제1길이조정 블록(231)이 결합되는데, 제1길이조정 블록(231)은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221, 222)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되어 회전조정 볼트가 수평봉의 측면을 밀어내는 동시에 길이조정 볼트가 수평봉의 끝부분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제1길이조정 블록(231)의 상부에는 제2길이조정 블록(232)이 결합되는데, 제2길이조정 블록(232) 제1길이조정 블록의 수평부와 결합되는 수평부를 가지고, 직각으로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수직부에는 볼트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 삽입부에서 길이조정 볼트가 회전하면서 수평봉의 끝 부분을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제1길이조정 블록(231)과 제2길이조정 블록(232)의 수평부에는 결합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길이조정 블록(231)의 관통 홀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홀이고, 제2길이조정 블록(232)의 관통홀은 이격되어 형성된 원형의 홀이다. 상기 관통 홀의 구조에 의하여 제1길이조정 블록(231)과 제2길이조정 블록(232)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는 수직봉에서 연장된 수평봉의 길이가 상이한 센서 고정장치에서 호환이 가능하도록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설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센서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센서 고정장치의 봉 연결블록 위치를 조절하면서 센서의 수평, 수직, 회전방향 위치를 선 고정한다. 상기 선 고정은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대략적으로 센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과정이다. 이어서, 센서 위치조정 장치의 제1수직봉 연결블록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을 수직봉의 적절한 위치에 놓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제1수직봉 연결블록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을 수직봉에 고정한다. 이때, 센서 위치조정 장치의 제1수직봉 연결블록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의 고정은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센서 고정장치의 봉 연결블록은 상대적으로 덜 견고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의 조정 볼트를 이용하여 봉 연결블록의 상하 이동, 수평봉의 수평 이동 및 회전이동 과정에서 제1수직봉 연결블록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의 위치가 변화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센서 위치의 미세한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센서 고정장치의 봉 연결블록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센서 위치조정 장치의 조정 볼트를 이용하여 센서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과정에서 센서 고정장치의 봉 연결블록이 수직봉의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고, 수평봉의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센서 위치의 미세한 조정이 완료되면 센서 고정장치의 봉 연결블록을 수직봉와 수평봉에 다시 한번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6은 길이조정 볼트의 회전에 의한 수직봉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길이조정 볼트(233)는 제2길이조정 블록(232)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부(237)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길이조정 볼트(233)가 볼트 삽입부(237)에 삽입되는 영역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길이조정 볼트의 길이방향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길이조정 볼트(233)의 끝 부분은 수직봉(120)의 끝 부분에 형성된 볼트 삽입 홀(238)에 삽입되는데,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길이조정 볼트(233)의 외부면과 볼트 삽입 홀(238)의 내부면에는 대응하는 탭이 형성되어서((A) 영역) 길이조정 볼트(233)의 회전을 따라 수직봉(120)이 길이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높이조정 볼트 및 회전조정 볼트에 의하여 센서 고정장치의 수평봉의 높이와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변화시킨다. 이때, 높이조정 볼트에 의하여 센서 고정장치의 회전조정 블록 높이가 변화되는 과정에서 회전조정 블록의 수직방향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회전조정 블록과 높이조정 볼트가 맞닿는 위치에서 회전조정 블록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조정 볼트에 의한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도 수평봉과 회전조정 볼트가 맞닿는 위치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을 수평봉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평봉의 홈을 원형의 단면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조정 볼트에 의한 수평봉의 회전의 유도과정에서 수평봉의 미세한 각도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는 다양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수직봉와 수평봉으로 이루어진 센서 고정장치에 매칭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로, 다양한 길이의 수평봉에 매칭되기 위한 구성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길이조정 블록(231)과 제2길이조정 블록(232)에는 상호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길이조정 블록(23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체결홀(235a)이 형성되어 있고, 제2길이조정 블록(232)에는 상기 제1길이조정 블록의 체결홀(235a)와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길이는 가지는 평행한 체결홀(235b)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볼트를 제1길이조정 블록의 복수개의 체결홀(235a)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고, 제2길이조정 블록의 체결홀(235b)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면서 수평봉의 길이에 따라 길이조정 볼트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길이조정 볼트와 수직봉의 센터를 맞추는 것인데, 이는 길이조정 볼트가 수직봉의 볼트 삽입 홀에 삽입되기 위한 조절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조정 블록(220)과 제1길이조정 블록(231)에는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회전조정 블록(220)의 체결홀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반면에 제1길이조정 블록(231)의 체결홀은 소정의 길이는 가지는 길쭉한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조정 블록과 제1길이조정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호 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대적인 체결 위치의 조절에 의하여 수직봉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수직봉과 길이조정 볼트의 센터를 맞출 수 있다.
세 번째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수직봉에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이 결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수직봉 연결블록(211)과 제2수직봉 연결블록(212)에는 각각 체결홀(113b, 11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홀은 브이(V)자의 형상을 가져 서로 다른 직경의 수직봉에도 수직봉 연결블록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센서 고정장치 110 : 수직봉
120 : 수평봉 130 : 수직봉 고정부
140 : 봉 연결블록 141, 142 : 고정볼트
150 : 센서 연결블록 160 : 센서
200 : 센서 위치조정 장치 211 : 제1수직봉 연결블록
212 : 제2수직봉 연결블록 213 : 체결홀
214 : 높이조정 볼트 215 : 고정볼트
216 : 높이조정 가이드 220: 회전조정 블록
221, 222 : 회전조정 볼트 체결부 223 : 제1회전조정 볼트
224 : 제2회전조정 볼트 231 : 제1길이조정 블록
232 : 제2길이조절 블록 233 : 길이조정 볼트
234 : 고정볼트 235 : 거리 조절 홈
237 : 볼트 삽입부 238 : 볼트 삽입 홀

Claims (4)

  1. 하부가 고정된 수직봉, 상기 수직봉에 연결된 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을 연결하는 봉 연결블록 및 상기 수평봉에 결합된 센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에 고정 결합되는 수직봉 연결블록;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회전조정 블록;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볼트;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복수개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수평 방향 서로 다른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조정 볼트; 및
    상기 회전조정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봉의 끝 부분을 밀어서 수평봉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길이조정 볼트가 체결된 길이조정 블록;을 포함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과 상기 회전조정 블록의 이동의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조정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정 볼트는 상기 봉 연결블록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을 밀어서 상기 수평봉의 회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은 분리된 2개의 수직봉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분리된 수직봉 연결블록은 각각 한쪽이 오픈된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2개의 분리된 수직봉 연결블록이 결합되면 상기 오픈된 체결홀에 상기 수직봉의 삽입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봉 연결블록은 상기 수직봉에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위치조정 장치.
KR1020190041971A 2019-04-10 2019-04-10 센서 위치조정 장치 KR10200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71A KR102000206B1 (ko) 2019-04-10 2019-04-10 센서 위치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71A KR102000206B1 (ko) 2019-04-10 2019-04-10 센서 위치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206B1 true KR102000206B1 (ko) 2019-07-15

Family

ID=6725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971A KR102000206B1 (ko) 2019-04-10 2019-04-10 센서 위치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02B1 (ko) * 2019-05-08 2020-04-02 주식회사 도우상사 재생 플라스틱 펠렛 제조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
CN114917624A (zh) * 2022-06-10 2022-08-19 江苏嘉通能源有限公司 油浴槽油液消泡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5798A (ja) * 1989-07-04 1992-10-08 ライ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位置決め自在な器具を保持するための台架
JPH094788A (ja) * 1995-06-19 1997-01-07 Nippon Control Kogyo Kk ロッド固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スタンド
JP2001107942A (ja) * 1999-07-27 2001-04-17 Iketsu Tei Zwj型角度調整器
KR200395849Y1 (ko) * 2005-06-15 2005-09-14 이정국 카메라 스탠드
JP2009244004A (ja) * 2008-03-31 2009-10-22 Japan Atom Power Co Ltd:The 非接触式変位センサ用冶具
KR20140137565A (ko) * 2013-05-23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측면 자동 백히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5798A (ja) * 1989-07-04 1992-10-08 ライ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位置決め自在な器具を保持するための台架
JPH094788A (ja) * 1995-06-19 1997-01-07 Nippon Control Kogyo Kk ロッド固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スタンド
JP2001107942A (ja) * 1999-07-27 2001-04-17 Iketsu Tei Zwj型角度調整器
KR200395849Y1 (ko) * 2005-06-15 2005-09-14 이정국 카메라 스탠드
JP2009244004A (ja) * 2008-03-31 2009-10-22 Japan Atom Power Co Ltd:The 非接触式変位センサ用冶具
KR20140137565A (ko) * 2013-05-23 2014-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측면 자동 백히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02B1 (ko) * 2019-05-08 2020-04-02 주식회사 도우상사 재생 플라스틱 펠렛 제조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
CN114917624A (zh) * 2022-06-10 2022-08-19 江苏嘉通能源有限公司 油浴槽油液消泡装置
CN114917624B (zh) * 2022-06-10 2023-12-22 江苏嘉通能源有限公司 油浴槽油液消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206B1 (ko) 센서 위치조정 장치
KR101215501B1 (ko) 케이블 안내 장치
KR101765900B1 (ko) 링타입 변위계를 이용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JP5583832B1 (ja) 管体支持装置、管体接続方法及び管体接続後処理方法
KR101765886B1 (ko)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0986640B1 (ko) 프로브 유닛 및 검사장치
EP2791570B1 (en) Support structure for an article, method of mount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KR102096502B1 (ko) 재생 플라스틱 펠렛 제조를 위한 자동화 장치의 센서 위치조정 장치
KR101765887B1 (ko) 측정정밀도 향상을 위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KR101765890B1 (ko) 정밀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지점변위 측정장치
WO2021109545A1 (zh) 拼接显示装置的自动化维护系统和解锁机构的定位方法
US20200132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for rtr scanner assembly
CN209840966U (zh) 一种用于自动控厚的光感应设备
JP6787760B2 (ja) チェーンの弛み測定装置
JP2003170295A (ja) 形鋼等におけるスリーブ管の位置決め装置とその位置決め方法
JP2011153494A (ja) 天井パ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パネル固定装置
JP2011174422A (ja) ポンプの内部部材抜き出し/組み込み装置及び方法
CN205720720U (zh) 一种影像投影检测仪
CN204359674U (zh) 光学检测设备的相机调节装置
KR20170027473A (ko)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20120066890A (ko) 타이어 소음 측정 장치
CN219799263U (zh) 一种漏装螺母检测装置
CN213568434U (zh) 一种治具、电机安装架及玻璃基板输送设备
CN113670721B (zh) 一种拉拔监测装置及其施工方法
CN216253277U (zh) 一种红外监测单管的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